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Secures 300 Bil Disaster Funding
  • Jeju has secured a national budget worth 300 billion KRW for 2024 to be used for disaster prevention. Jeju has earmarked 300 billion KRW for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next year, spanning five initiatives across 23 regions. The funding, comprising both national and local contributions amount to a total of 600 billion KRW, including the redevelopment of (대정읍) Daejeong-up in Seogwipo City, which suffered flood damage last year, with improvements expected until 2027. 내년 재해예방사업 국비 300억 확보 제주도가 국비 3백억 원을 확보하고 내년도 재해예방사업을 추진합니다. 내년에 추진될 재해예방사업은 모두 5개 사업, 23개 지구에서 진행되며 국비와 지방비 모두 6백억 원이 투입됩니다. 특히 지난해 태풍과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가 컸던 서귀포시 대정읍 일대 정비사업이 신규로 선정되면서 2027년까지 우수관로 정비와 저류시설이 설치될 예정입니다.
  • 2023.09.20(wed)  |  이현
  • Gapado to Launch Drone Delivery Trial
  • Gapado will launch a drone delivery service. Gaepo Island is set to launch a drone delivery service as part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drone pilot city project. A 600 million KRW investment will drive the service until November. The drone deliveries will follow established flight paths, dropping packages into collection nets at a height of 2-3 meters above ground. To support the trial,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as assigned addresses, including GPS coordinates, to Gapado Island and designated 14 drone delivery points '드론 택배' 서비스 가파도서 시작 드론으로 택배를 배송하는 서비스가 가파도에서 시범 운영됩니다. 드론 택배 서비스는 국토부의 드론 실증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6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오는 11월까지 추진됩니다. 드론 택배는 사전에 구축된 비행로를 따라 비행해 집 마당 2~3m 상공에서 택배물을 수취망에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앞서 행안부는 시범 사업을 위해 가파도에 GPS 좌표를 포함한 주소 체계를 부여하고 드론 배달점 14곳을 지정했습니다.
  • 2023.09.20(wed)  |  이현
  • Cases of Lost Hikers Increasing
  • Cases of Lost Hikers Increasing A dense forest of tall trees covers this hill. Here, visitors dressed in windbreakers stand still, not knowing which way to go. As soon as they spot an approaching drone, they signal to it. A report was filed that a family of three lost their way on (세미) Semi Oreum in Jocheon-eup, Jeju City. The family went out looking for wild vegetables but got lost in the tall grass. The police, upon arriving at the scene, deployed a drone to pinpoint the location of the caller from the air. Firefighters also joined the search operation and successfully rescued a woman in her seventies and two others within 20 minutes. On October 8th, a visitor in their 20s who got lost in Jeju Gotjawal National Park was also found and rescued by firefighters and rescue personnel. Now, as autumn approaches, more people are going out to hike the volcanic cones, Olle walking trails, and other remote paths, leading to an increase in cases of people getting lost.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re have been about 280 cases of people losing their way while out in nature. That number, which used to be solely in the double digits, exceeded 100 cases last year, indicating an upward trend. In particular, incidents of people getting lost while exploring Jeju’s volcanic cones (or oreum), its Olle walking trails, and other remote paths, accounted for 62.5 percent of all incidents, totaling 175 cases. To prevent incidents of getting lost, it is advisable to hike in groups. Make sure your mobile phone is fully charged and keep the GPS function on for contingencies. It's also helpful to wear bright clothing, and if possible, avoid hiking immediately prior to dusk. INTERVIEW Han Dae-ho / Jeju Fire Department Before going hiking, it's crucial to inform people around you. If you cannot return within a certain time, people around you may report it. Most importantly, be sure to bring equipment such as a mobile phone, backup battery, and water, which will be very helpful in finding your way, even if you get lost for a long time. If you do lose your way, blow a whistle or make loud noises to let other people know your location and secure help from those around you. After making a call to emergency services, do not move to another location, but wait for the rescue team at your current location. As the weather gradually cools down, more people are exploring Jeju’s natural attractions. But keep in mind that it's essential to follow basic safety guidelines and exercise extra caution when you head out on an unfamiliar, or even familiar, trail. 오름·둘레길 곳곳서 길 잃음 사고 잇따라 빽빽하고 높게 자란 나무가 펼쳐져 있는 오름. 나무 사이에 바람막이 차림의 탐방객들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서 있습니다. 하늘에 있는 드론을 발견하고는 이내 손을 흔듭니다. 제주시 조천읍 세미오름에서 일가족 3명이 길을 잃었다는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가족들이 함께 양하를 구하러 갔다가 풀숲이 우거지면서 길을 잃은 겁니다. 현장에 도착한 자치 경찰은 드론을 투입해 공중에서 신고자의 위치 파악에 나섰고, 소방대원들도 수색작업에 나선 끝에 20분 만에 70대 A씨 등 3명을 모두 구조했습니다. 지난 8일에는 제주곶자왈도립공원에서 길을 잃은 20대 탐방객이 소방 구급대원들에 의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최근 가을에 접어들며 오름이나 올레길 등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길 잃음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제주에서 발생한 길 잃음 사고는 모두 280여 건. 두 자릿수에 그치던 길 잃음 사고가 지난해에는 100건을 넘어서며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오름이나 올레길, 둘레길을 탐방하다 길을 잃는 경우는 모두 175건으로 전체 사고의 62.5%를 차지했습니다. 길 잃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오름이나 둘레길을 갈 때 여러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대전화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하고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GPS 기능을 켜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가급적 밝은 옷을 입고 되도록 해가 지는 늦은 시간에는 탐방을 삼가야 합니다. <인터뷰 : 한대호 / 제주소방서 이도119센터 > 산행을 하시기 전에 주변 분들에게 알리시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일정 시간 이상 지나서 귀가 못 하시는 경우에는 주변 분들이 신고하시는 경우도 더러 있어서 알리시는 것도 되게 중요하고요. 무엇보다 핸드폰이나 보조배터리, 물 이런 장비들을 충분하게 챙기고 가셔야 장시간 길을 잃으시더라도 길 찾는 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만약 길을 잃었다면 호루라기를 불거나 큰 소리로 자신의 위치를 알려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신고 후에는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말고 그 자리에서 구조대를 기다리는 게 좋습니다. 조금씩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오름과 올레길에 사람들이 늘어가는 요즘. 즐거운 탐방을 위해서는 기본 예방수칙 준수와 함께 탐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2023.09.20(wed)  |  이현
  • Seogwipo Launches Child Development Program
  • Seogwipo City is launching a new program this year to support the healthy growth of children. The initiative will focus on assessing 4-year-old children attending preschools in Seogwipo City, including child development and emotional assessments, and in-depth interviews. Parents can apply for the assessments through their child's preschool, and the program will run until December. 서귀포시, 영유아 발달·정서 검사 지원 사업 실시 서귀포시가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영유아 발달, 정서 검사 지원사업을 올해 처음 도입해 추진합니다. 이번 사업으로 서귀포시 어린이집에 다니는 4살 유아를 대상으로 영유아 발달.정서 검사를 실시하고 심층 면접 검사를 제공하게 됩니다. 검사 신청은 신청은 어린이집을 통해서 이뤄지며 오는 12월까지 추진됩니다.
  • 2023.09.18(mon)  |  이현
  • Unpaid Wages Rise 49% to 14.5 Bil Won
  • Unpaid wages have seen a significant rise in the Jeju region, with the construction sector at the heart of this issue. Jeju has s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unpaid wages, reaching 14.52 billion won by the end of last month. This marks a substantial 48.9% ri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with the construction sector accounting for the highest portion at 34.4%. Authorities are working to address the issue before the Chuseok holiday in collaboration with relevant agencies, including the Gwangju Regional Employment and Labor Administration. 제주 체불임금 145억원…전년 대비 49% 늘어 제주지역 임금체불이 건설업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제주도가 체불임금 실태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체불임금 신고액은 145억 2천9백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8.9% 증가했습니다. 업종 별로는 건설업이 34.4%로 가장 많았고 음식 숙박업, 서비스업이 뒤를 이었습니다. 제주도는 광주지방고용노동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추석 명절 전에 체불임금 문제가 최대한 해소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3.09.18(mon)  |  이현
  • Seogwipo Sees Surge in Traffic Accidents
  • The Seogwipo central roundabout has emerged as the most accident-prone area for traffic accidents in Jeju. According to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the Seogwipo central roundabout has witnessed over 60 traffic accidents in the past three years, topping the list of 60 high-accident zones in Jeju. Main causes include 19 cases of signal violations, 15 cases of reckless driving, and 11 cases of tailgating. The traffic signal system at the roundabout, coupled with its intersection connecting seven roads, contributes to its elevated accident risk. 서귀포 중앙로터리, 최근 3년간 교통사고 '최다 발생' 서귀포 중앙로터리 일대가 제주에서 교통사고가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곳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서귀포 중앙로터리 일대는 최근 3년 사이 60여 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교통다발지역 60곳 가운데 가장 많았습니다. 신호 위반이 19건으로 가장 많았고 안전 운전 불이행 15건, 안전거리 미확보 11건 등이 사고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중앙로터리는 7개 방면 도로와 연결된 교차로인데다 교통 신호체계가 복잡해 다른 교차로보다 사고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2023.09.18(mon)  |  이현
  • 75% of Dream Notebooks Damaged
  • A large number of laptops handed out to new middle school students this year suffered mainly from screen damage. (김광수) Kim Kwang-soo,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nounced today that 75% of laptop damage among new middle school students this year was screen-related. To address the issue, protective cases will be provided, and laptop tracking will be improved. Additionally, cost reduction measures for laptop repairs will be implemented targeting low-income families. 드림노트북 파손 75% '액정'…"보호케이스 제공" 올해부터 중학교 신입생에게 제공된 노트북 파손 대부분이 액정 파손으로 조사됐습니다. 김광수 교육감은 오늘 교육행정질문에서 드림노트북 지원에 따른 문제점 개선 방안을 발표하면서 노트북 활용과정에서 발생한 파손의 약 75%가 액정파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액정 파손을 줄이기 위해 노트북 보호케이스를 제공하고 노트북 위치 추적 기능도 강화해 분실에 대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밖에도 저소득층의 노트북 수리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3.09.18(mon)  |  이현
  • Crackdown on Origin Labeling Prior to Chuseok
  • The Jeju Municipal Police bolster efforts against origin labeling violations ahead of the Chuseok holiday. A special task force will conduct inspections at traditional markets, large supermarkets, restaurants, popular social media food spots, prestigious hotels, and tourist restaurants until the 30th. They will also monitor online platforms and food delivery apps with a dedicated cyber team. Inspections will cover improper storage or use of expired food items and deceptive labeling of livestock products. 추석 앞두고 원산지 표시 위반 단속 강화 제주도 자치경찰단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원산지 표시 위반 행위 단속을 강화합니다. 이번 단속은 오는 30일까지 특별단속반을 편성해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음식점, SNS 맛집, 유명 호텔, 관광 식당 등을 중심으로 이뤄집니다. 사이버 전담팀을 활용해 온라인과 배달앱에 대한 모니터링도 실시합니다. 단속 기간 유통기간이 지난 식품을 보관 또는 사용하는 행위와 축산물 허위 표시와 과대 광고에 대한 점검도 병행합니다.
  • 2023.09.18(mon)  |  이현
  • 7% Off Local Currency From the 20th
  • Jeju offers its first-ever discount on Jeju’s local currency ‘Tamnaneunjeon,’ ahead of the Chuseok holiday. Starting on the 20th, a 7% discount will be offered for paper currency purchases of ‘Tamnaneunjeon’ or top-ups up to 700,000 won per person. In addition, consumers are allowed to make combined discount purchases ranging between 5% to 10%, for a potential 17% total discount. However, if demand surges, merchant discounts may be discontinued in the month of September. 20일부터 탐나는전 충전·구매 7% 할인 추석을 앞두고 제주도가 올 들어 처음으로 탐나는전을 할인 발행합니다. 이에 따라 20일부터 1인당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탐나는전을 지류로 구입하거나 충전하면 7%의 할인이 적용됩니다. 5에서 10%에 이르는 가맹점 할인도 중복 지원돼 소비자는 최대 17%의 할인 혜택을 받게 됩니다. 다만 제주도는 탐나는전 할인 확대로 이용자들이 많아질 경우 이르면 9월 중 가맹점 할인 혜택은 중단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3.09.18(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