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University Application Rate at 4.78 Per Person
  • For this year's rolling admissions, each University applicant applied an average of more than 4 tim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2024 Rolling Admission Data by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the average number of applications per applicant was 4.78 times. The application rate has decreased by 0.01 times compared to last year. Applicants for rolling admissions can apply up to a maximum of 6 times, and any violation of this will result in the invalidation of admission. Meanwhile, the total number of rolling University applicants nationwide this year hit 474,389, an increase of 3% from last year. 2024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1인당 평균 4.78회 지원 올 대입 수시모집에 수험생 1명당 평균 4회 이상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024학년도 수시모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험생 1인당 평균 지원 횟수는 4.78회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평균 지원 횟수는 지난해보다 0.01회 감소했습니다. 수시 모집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최대 6회까지 지원할 수 있고 이를 위반할 경우 입학이 무효 처리됩니다. 한편 올해 전국 대학 수시모집 지원 인원은 47만 4천 389명으로 지난해보다 3% 증가했습니다.
  • 2023.10.06(fri)  |  이현
  • Special Rates for Newlyweds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rovides interest support for rental deposit loans for newlywed and childbearing households. Residents who have either gotten married or had a child in the last 7 years, hold a rental deposit loan from a bank, and do not currently own a home are eligible to benefit as of the announcement date. The support covers 1.5% of the rental loan interest, capped at 1.2 million won. For families with multiple kids, disabilities, or from diverse backgrounds will receive an enhanced rate of 2%, with a max of 1.6 million won. Residents can submit their applications until the 3rd of next month at the local community center of their respective town or village. 신혼부부·자녀출산 가구 전세 대출이자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신혼부부와 자녀출산 가구 주택에 대한 전세자금 대출이자를 지원합니다. 대상은 공고일 기준으로 7년 이내 혼인신고를 했거나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로 금융권에서 전세자금을 대출받은 도민입니다. 지원은 전세대출 이자의 1.5%, 최대 120만원이며 다자녀와 장애인, 다문화가구는 대출이자의 2%, 160만원까지입니다. 접수는 다음달 3일까지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이뤄집니다.
  • 2023.10.06(fri)  |  이현
  • Delivery Support Falters in First Month
  • The performance of the newly implemented additional shipping fee support project for Jeju Island residents has faltered over the past month. According to the province, over the past month, there have been a total of approximately 30,000 applications for additional delivery fee support. The payouts for these applications total 90 million won, just under 5% of the 32.5 billion won government budget. The province announced that it would extend the additional shipping fee support project for another month starting from the 16th. 추가 배송비 지원 사업 참여 '저조'…연장 운영 지난 한달동안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처음 운영된 추가 배송비 지원 사업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한달동안 추가 배송비 지원 신청은 모두 3만여 건이 접수됐습니다. 이에 따른 지급 금액은 9천여만 원으로 당초 정부로부터 확보한 사업비 32억 5천만원의 5%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제주도는 오는 16일부터 한달동안 추가배송비 지원사업을 연장해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3.10.06(fri)  |  이현
  • Discarded and Lost, and Newly Purchased
  • Discarded and Lost, and Newly Purchased Jeju City initiated the public bicycle rental system back in 2011 to promote bicycle transportation. While it started with 131 bicycles, only a mere 36 remain. Many have been retired due to aging, and some have vanished without a trace. Despite years of operation, citizen usage remains notably low. Rentals have only reached around 1,500 for this year, with an average of just 6 rentals per day. The availability of public bicycle rental and return stations is limited, with just 11 scattered across Jeju City. This limitation has led to practical challenges. Moreover, these stations are often used differently from their intended purpose, lacking proper guidance and information. Despite these challenges, Jeju City plans to acquire 90 new bicycles for the public bicycle program, each costing 1 million won. Some criticize this decision, considering it excessive to spend such an amount on regular bicycles. INTERVIEW Local resident It's quite pricey. I don't understand why they're doing this. When ordinary folks see this, they don't find it beneficial. Also, it's important to highlight that it's not just about procuring new bicycles but also about enhancing related infrastructure and maintenance to encourage bicycle usage. INTERVIEW Kim Gi-hwan / Jeju councilor For bicycles to be convenient for residents, there should be connectivity. However, with basic infrastructure and bicycle lanes yet to be established. Jeju City explains that the cost of public bicycles has risen due to the installation of locks and rental/return systems. Once the bicycles are ready, they aim to introduce the newly purchased public bicycles, potentially by the end of this year. 폐기되고 분실되고…또 대당 100만원 자전거 구입 제주시가 지난 2011년부터 자전거의 교통분담률을 높이기 위해 시행해 온 공공자전거 대여 시스템. 131대의 자전거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고작 36대가 남았습니다. 노후화 등으로 이미 폐기처분 됐거나 심지어 일부 자전거는 분실돼 행방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운영됐지만 시민들의 이용률은 저조합니다. 올들어 대여 건수는 지난 달 말까지 1천 500여 건에 그치고 있습니다. 하루 평균 6대 꼴입니다. 공공자전거 대여와 반납이 가능한 스테이션이 제주시 전역에 11곳에 불과한 점도 이용에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는 이유로 꼽힙니다. 게다가 스테이션이 본래 목적과 다르게 쓰이고 변경사항 등 제대로 된 안내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 같은 현실에도 제주시는 공공자전거 사업을 위해 1대당 100만 원의 비용을 들여 90대의 자전거를 새롭게 구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일부에서는 전기자전거가 아닌 일반자전거를 100만 원에 구입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인근 주민> 비싸지 너무. 근데 저런 거 왜 하는지 몰라. 저런 거는 아무 소용이 없다고 봐 우리 서민들이 봤을 때는…. 또 단순 자전거 구입이 아니라 관련 인프라 확충과 정비 등을 통한 자전거 활성화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김기환 / 제주도의원> 자전거에 대한 연계성이 도민분들이 편리하기 위해서 연계가 되어야 하는데 기본적인 기반 시설이라든지 자전거 도로나 겸용도로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주시는 공공자전거의 경우 잠금장치 설치와 대여, 반납 시스템 장착 등으로 가격대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자전거 제작이 완료되면 빠르면 올해 말부터 새로 구입한 공공자전거를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 2023.10.06(fri)  |  이현
  • Jeju Fights Seasonal Livestock Diseases
  • The Province is taking special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ntagious livestock diseases during the winter season, including Foot-and-Mouth Disease, Avian Influenza, and African Swine Fever. In accordance with these measures, strict monitoring of livestock entry will be enforced at the airport, as well as disinfection of vehicles and visitors from other regions. Additionally, ten control posts will be set up and operated along roads near densely populated livestock farming areas. Inspections will also focus on disinfection and vaccine compliance at the farms. 동절기 악성가축전염병 특별방역대책 추진 제주특별자치도가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동절기 악성가축전염병에 대한 특별방역대책을 추진합니다. 이에따라 공항만에서의 반입금지 가축에 대한 단속은 물론 다른지방 입도객과 반입차량에 대한 소독을 강화합니다. 또 주요 축산밀집지역 도로변 등에 10개소의 거점.통제 초소를 설치 운영하고 축산농장에서의 소독과 백신 이행여부를 집중 점검합니다.
  • 2023.10.04(wed)  |  이현
  • Jeju Actively Recruits for Tangerine Season
  • The Province is preparing for the tangerine harvest season by deploying a total of 15,000 workers from both within and outside the region. The workforce comprises 8,000 paid workers, 2,000 volunteers, and 5,000 seasonal workers, with support from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nd local authorities. The province is actively enlisting workers through the Agricultural Manpower Support Center, along with other agricultural-related organizations and senior citizens' associations. A situation room will operate until December 22nd to allocate manpower where required and support with administrative tasks. 감귤 수확철 대비 도내외 인력 1만5천명 투입 제주특별자치도가 감귤수확철에 대비해 도내외 인력 1만 5천명을 투입합니다. 유상인력(paid workers) 8천명과 무상인력 2천명, 공공형 계절근로자 5천명으로 농협중앙회와 행정시를 통해 농업 인력 지원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현재 농업인력지원센터(Human resources support center created for area farms) 를 통해 다른 지방 농업 관련 단체와 대한노인회 등에서 인력을 모집중입니다. 제주도는 12월 22일까지 농업인력지원 종합상황실을 운영해 필요한 인력을 배치하고 각종 민원에 대처할 계획입니다.
  • 2023.10.04(wed)  |  이현
  • Provincial Philharmonic Orchestra Recruits
  • The Jeju Provincial Philharmonic Orchestra is currently accepting applications for new members. They are seeking a total of three members, including a Principal Horn, a Principal Trombone, and a Choir Trainer. The application period will run from the 11th to the 18th of this month and final successful candidates will be announced in November following document screening, practical tests, and interviews. The appointed members will serve for a period of two years, which may be extended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s. 제주시, 도립제주예술단 신규 단원 공모 제주시가 도립제주예술단(Jeju Provincial Philharmonic Orchestra) 신규 단원을 공개 모집합니다. 모집 인원은 호른 수석(Principal Horn)과 트롬본 수석, 합창단 트레이너 등 모두 3명입니다. 원서 접수 기간은 오는 11일부터 18일까지며 최종 합격자는 서류전형과 실기, 면접전형을 거쳐 오는 11월 발표될 예정입니다. 최종 합격자 위촉 기간은 2년이며, 평정을 통해 연장할 수 있습니다.
  • 2023.10.04(wed)  |  이현
  • Seogwipo Strengthens Road Surveillance
  • Interval surveillance will be implemen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ormer (동홍동) Donghong-dong community center in response to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due to the downhill road structure in Seogwipo City. Seogwipo City plans to invest 70 million Korean Won for the installation of surveillance equipment by the end of this month as part of improvement measures at the former (동홍동) Donghong-dong community center intersection. The existing equipment will be relocated to the (하효동) Hahyo-dong branch. In June, a 25-ton truck descending near the (동홍동) Donghong-dong community center intersection collided with three vehicles, resulting in two fatalities and two injuries. 옛 동홍동주민센터 교차로 일대 '구간단속' 실시 내리막길 도로 구조로 교통사고 위험이 있는 서귀포시 남주고 사거리 교차로에서 옛 동홍동주민센터 교차로 구간에서 '구간단속'이 실시됩니다. 서귀포시는 옛 동홍동주민센터 교차로 교통사고에 따른 개선방안으로 사업비 7천만원을 투입해 이달 말까지 구간단속장비 설치 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구간단속장비 설치 예정지 사이에 있던 기존 단속장비는 하효동 지점으로 이설될 예정입니다. 지난 6월, 동홍동 주민센터 교차로 인근에서 내리막을 달리던 25톤 트럭이 차량 3대를 들이받아 2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습니다.
  • 2023.10.04(wed)  |  이현
  • Paid Parking Fee at Jeju Sports Stadium
  • Starting in November, the parking lot at the Jeju Sports Stadium in Jeju City will begin to collect fees for parking. Jeju City announced its plans to commence paid operation in November, after conducting a trial operation this month to address any issues. The paid operation will be in effect from 9 AM to 6 PM on weekdays, with the first hour being free, and a fee of 300 Korean Won per 15 minutes thereafter. Weekend and special event parking will remain free, and employees of institutions within the Sports Stadium will enjoy a 50% discount on monthly parking passes. 제주종합경기장 주차장 11월부터 유료화 제주시 제주종합경기장(Jeju Sports Stadium) 주차장이 오는 11월부터 유료화됩니다. 제주시는 주차장 유료화 사업이 지난 8월 마무리됨에 따라 이번달 시범 운영한 뒤 미비점을 보완해 11월부터 유료로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유료 운영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로 최초 1시간은 무료고 이후 15분 초과할때마다 300원씩 요금이 부과됩니다. 주말과 대형 행사 때는 무료로 개방되며 종합경기장 입주 기관 직원 차량은 월 정기권이 50% 할인됩니다.
  • 2023.10.04(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