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City Supports Ethical Pricing Shops
  • Jeju City has announced that it will distribute local currency (탐나는전) ‘Tamnaneunjeon’ to ‘Ethical Pricing Shops’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A total of 183 businesses will be included with each business receiving 230,000 Korean Won. "Originally, this assistance was intended solely for new businesses. However, due to additional funding, it has been extended to all eligible businesses. Jeju City has considered feedback from shop owners and, beginning this year, it has shifted from offering incentives in the form of trash bags to distributing Tamnaneunjeon. 제주시, 착한가격업소에 탐나는전 23만 원 지급 제주시가 올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착한가격업소(Ethical Pricing Shops) 에 탐나는전을 지급했다고 밝혔습니다. 하반기 인센티브 지원 업소는 183곳으로 한 곳당 탐나는전 23만 원이 지급됐습니다. 당초 신규 업소에만 지원할 예정이었지만 추경을 통해 예산이 확보됨에 따라 전체 업소로 확대됐습니다. 제주시는 올해부터 착한가격업소 업주들의 의견을 반영해 인센티브 지원 물품을 종량제봉투에서 탐나는전으로 변경해 지급하고 있습니다.
  • 2023.10.04(wed)  |  이현
  • Urban Horticulture Enriches City Life
  • Urban Horticulture Enriches City Life Jeju's 4.3 Peace Park is bursting with colorful flowers. People gather to plant autumn flowers like chrysanthemums and marigolds, creating a picturesque landscape. Urban horticulture experts engage in gardening activities in urban areas, cultivating vegetable gardens and flower gardens. INTERVIEW Kim Seung-ho/President, Jeju Master Gardener Chapter For those living in rural areas or those who desire rural living but are unable to do so, urban horticultural activities allow them to cultivate gardens and share the joy of gardening, ultimately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ll the members gathered here have obtained Master Gardener qualifications through a combination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volunteer work. As Master Gardeners, they engage in volunteer gardening activitie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chools, and play a role in sharing various horticultural techniques. INTERVIEW Im I-ran / Master Gardener I've always loved flowers, and by volunteering with various people, I've gained valuable information and shared my own knowledge. While I'm part of several volunteer organizations, being here brings me a sense of fulfillment. Members can improve their mental health and get a sense of pride through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related to agriculture. They also gain an appreciation for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agriculture. INTERVIEW Ko Hee-yeol /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We inform urban residents about agriculture, enhance city life, create eco-friendly spaces, and raise awareness for agriculture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The Jeju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plans to expand the availability of urban horticulture courses, making agriculture more accessible to urban residents. They will provide training on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urban horticulture, therapeutic agriculture, correct pesticide usage methods for different crops, and practical agricultural material training. Educational programs like these, which make the most of agricultural resources, are expected to help create eco-friendly urban environments and improve city dwellers’ quality of life. [영농] "정원·텃밭 가꿔요"…도시원예 전문가 육성 제주 4.3평화공원 화단에 형형색색의 꽃들이 가득합니다. 사람들이 모여 가을꽃 촛불맨드라미와 국화를 보기 좋게 심습니다. 도심속에서 텃밭과 정원 가꾸기 활동을 하는 도시원예 전문가들입니다. <인터뷰 : 김승호/제주 마스터가드너 지회장> 전원생활을 하면서 또는 전원생활을 원하는데 하지 못하는 분들이 도시 원예 활동으로 텃밭을 가꾸고 꽃을 가꾸고 나누고 심으면서 생활을 좀 더 윤택하게 하는 겁니다. 이곳에 모인 회원들은 모두 일정시간 이상의 농업 교육과 봉사활동을 통해 마스터가드너 자격을 얻었습니다. 마스터가드너로 활동하면서 사회복지시설이나 학교 등에 가서 정원가꾸기 봉사활동을 하거나 다양한 원예기술을 전파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임이란/ 마스터가드너> 꽃을 좋아했고 또 여러 사람들과 봉사를 하다 보면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제가 아는 정보를 나누기도 하고 그래서 다른 봉사 단체도 많이 가입돼 있지만 여기는 정말 뿌듯함을 갖고…. 농업과 관련한 생산적인 여가활동을 통해 회원들은 정신적 안정감과 뿌듯함을 느낍니다. 또 농업에 대한 가치와 우리 농산물에 대한 소중함도 깨닫게 됩니다. <인터뷰 : 고희열/제주농업기술센터 근교농업팀장> 농업, 농촌의 그런 공익적 가치를 도시민에게 알리는 역할도 하고 도시 속에서 삶의 질 향상이라든지 자연친화적인 도시 공간 조성 이런 역할도 하고 또 어린 후계 세대의 농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제주농업기술센터는 도시민들이 농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시원예 전문가 과정 교육을 확대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도시원예와 치유농업 교육을 비롯해 작물별 올바른 농약사용방법과 농자재 실습까지 다양한 주제로 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다양한 농업자원을 활용한 교육들이 도심 속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 2023.10.04(wed)  |  이현
  • Focused crackdown on illegal tourism for foreign tourists
  • The province is intensifying crackdown on unauthorized tourism activities targeting foreign tourists. The enforcement targets encompass travel agencies that hire unqualified tourist guides, unregistered travel operators, and individuals not utilizing their tourism interpreter-guide licenses, and those engaging in paid transportation services. Since 2018, seven travel businesses and two unqualified guides have been penalized for unauthorized activities. 외국인 관광객 대상 무자격 불법관광행위 중점 단속 제주특별자치도가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무자격 불법관광행위를 중점 단속합니다. 단속대상은 무자격 관광안내사를 고용한 여행사와 무등록 여행업,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미패용, 유상운송행위 등입니다. 지난 2018년 이후 무자격 가이드 고용으로 행정처분을 받은 여행업체는 7곳이며, 과태료 처분을 받은 무자격 가이드는 2명입니다.
  • 2023.09.27(wed)  |  이현
  • Jeju POE Finds 26 Old Buildings
  • Out of the educational buildings under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6 buildings were identified to be over 30 years old. According to the Jeju POE, the 26 buildings are spread across 10 institutions including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eadquarters, Seogwipo City Office of Education Education, Tamna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and Jeju Instructors in English Education Center. The average age of these buildings is 37 years, with the oldest, a classroom at Jeju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at 59 years old.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considering relocating agencies to the (동인) Dongin Elementary School site. 도교육청 건축물 26개 준공후 30년 이상 '노후' 제주도교육청 산하 건축물 가운데 지은 지 30년이 넘은 건축물은 26개 동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준공 후 30년 이상 경과된 건축물은 제주도교육청 본청과 제주시.서귀포시교육지원청, 그리고 탐라교육원과 제주국제교육원 등 10개 기관에 26개 동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건축물의 평균 경과 연수는 37년으로 가장 노후된 건축물은 제주국제교육원 교실동으로 59년에 달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현재 동인초 부지를 활용해 도교육청 산하 기관들의 이설 등을 검토중입니다.
  • 2023.09.27(wed)  |  이현
  • Corporate Debt Hits 140 Billion
  • In July, the outstanding loan balance in Jeju showed a continued increase, predominantly in corporate loans. According to the Bank of Korea Jeju Headquarters, Jeju's financial institutions saw a loan balance increase of 156.1 billion won in one month, roughly a 50 billion won hike from the previous month. By borrower types, corporate loans in Jeju spiked by 140.7 billion won, while household loans slightly decreased, falling by 7.7 billion won. Moreover, in July, there was a remarkable increase of 1 trillion 1,916 billion won in deposit balances within Jeju's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was driven by deposits from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빚 증가폭 확대…기업대출 1,400억 '껑충' 지난 7월 제주지역 대출잔액이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제주지역 금융기관 여신잔액은 지난 7월 한 달동안 1천 561억원 늘면서 전월보다 증가규모가 500억원 가량 확대됐습니다. 차입주체별로 보면 기업대출이 1천 407억원 늘며 증가세를 이어갔고 가계대출은 77억원 줄어들면서 감소폭이 축소됐습니다. 이와 함께 지난 7월중 도내 금융기관 수신잔액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예금을 중심으로 1조 1천916억원 큰 폭 증가했습니다.
  • 2023.09.27(wed)  |  이현
  • Discount for Delivery App 'Mukkaebi'
  • Jeju's collaborative delivery app (먹깨비) 'Mukkaebi' offers a 3,000 won discount on delivery fees to lessen the cost for residents. Customers have the option to utilize this daily discount, and what's even more appealing is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other promotional coupons for added savings. Within the app, users can currently enjoy up to a 10% discount and a 5% payback on selected transactions, along with a 2,000-won paper coupon. 민관협력형 배달앱 '먹깨비', 배달비 3천원 지원 제주도 민관협력형 배달앱 '먹깨비'가 도민들의 배달비 부담 완화를 위해 배달비 3천원을 지원합니다. 배달비 3천원 쿠폰은 1인당 매일 1회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이벤트 할인 쿠폰과 중복 사용 가능합니다. 현재 앱 내에서는 탐나는전 결제에 따른 최대 10% 할인과 탐나는전 페이백 5%, 지류쿠폰 2천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23.09.27(wed)  |  이현
  • Jeju Maintains UNESCO Natural Heritage Status
  • Jeju has maintained its status as a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thanks to its preservation efforts. According to the Province, Jeju’s report was accepted at the 45th 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meeting, which was held in Saudi Arabia. This marks the second instance following the initial adoption back in 2012. The UNESCO regular report encompasses a comprehensive set of 299 questions spanning 15 categories that assess the conservation status, preservation, research initiatives, educational efforts, and visitor management. 제주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지위 유지 제주도가 천혜의 자연환경의 가치를 지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지위를 유지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제45차 회의를 열어 제주도의 유네스코 정기보고서를 채택했습니다. 지난 2007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된 이후 2012년 1차 정기보고서 채택에 이어 이번에 2번째입니다. 유네스코 정기보고서는 15개 항목에 299개 설문으로 구성돼 있으며 보존 상태와 영향 요인, 연구조사 진행, 교육, 방문객 관리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2023.09.27(wed)  |  이현
  • Restaurants Busted for Labeling Violations
  • The Jeju Municipal Police Bureau recently conducted a widespread operation targeting restaurants that violated labeling of the origin on products. In the crackdown, 10 restaurants were caught, including four famous and two top-ranked delivery app restaurants, one shared kitchen, and three general eateries. Surprisingly, many of these establishments, including popular and highly-ranked restaurants, were caught using foreign ingredients despite their claims. In addition, they also used expired sauces and falsely advertised imported squid as domestic in Hairtail dishes. 원산지 표시 위반 유명 음식점 잇따라 적발 제주도 자치경찰단이 원산지 표시를 위반한 음식점을 무더기로 적발했습니다. 이번에 적발된 음식점은 모두 10곳으로 누리소통망 유명음식점 4개소를 비롯해 배달앱 상위순위 맛집 2군데, 배달형 공유주방 한 곳, 일반음식점 3개소입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식자재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표기했지만 실제로는 외국산을 사용하는가 하면 유통기한이 지난 소스를 보관 사용하다 적발됐습니다. 또 외국산 오징어 40kg을 국내산으로 거짓 표시하고 갈치조림과 갈치구이를 판매하면서 원재료의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 2023.09.27(wed)  |  이현
  • Green Persimmons See Sharp Decline
  • Green Persimmons See Sharp Decline This is the (갈옷) galot attire that Jeju islanders wore in the past. Made from green persimmon juice soaked in water and dried repeatedly under the sun, it was once the everyday clothing of Jeju residents. Furthermore, its design has evolved to a more contemporary style, with various colors like indigo being added, transforming galot into a fashionable everyday garment. INTERVIEW Park Myeong-jin / 3rd grader in elementary school The design is beautiful, and the colors are very pretty. While seeking to meet consumer preferences by making galot attire more modern, galot manufacturers are currently facing a crisis due to climate change. Obtaining the main dye, green persimmon, has become as difficult as finding stars in the sky. With Jeju's indigenous persimmon production plummeting to just 10 percent of previous years, even with significantly higher prices, it has become nearly impossible to purchase. INTERVIEW Gang Yu-ok / Natural dye clothing manufacturer There is usually a chance of some flowers and fruit falling during the monsoon season. However, this year, everything just fell off, the weather was strange. Some speculate that the drastic decline in green persimmon production may be attributed to factors related to climate change, such as the possible decline of bee colonies, which could disrupt proper pollination. However, the exact causes remain unclear. As a result, in related industries, there is currently an adequate reserve of green persimmon, ensuring no immediate disruption in galot production. Nevertheless, concerns linger that if the current production levels do not recover to previous volume, it could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Jeju's galot attire production. 감 생산 '급감'에 갈옷업계 '울상' 과거 제주인들이 입었던 갈옷입니다. 풋감 즙으로 물을 들여 햇볕에 여러 번 말린 전통 의복으로 과거 제주도민들의 일상복으로 사용됐습니다. 여기에 디자인도 현대적으로 바뀌고 쪽빛 등 여러 색을 덧입혀 갈옷은 일상에서도 입을 수 있는 세련된 옷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박명진 / 초등학교 3학년 ] 디자인도 예쁘고 색감도 너무 예뻐요.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갈옷들이 새롭게 변하를 모색하는 가운데 최근 갈옷 제작업체들이 기후 변화에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감물을 들이는 주 염료인 풋감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제주 토종 감 열매 생산량이 예년의 10분의 1수준으로 급감하면서 수매 가격을 갑절 가까이 불러도 구하기가 어려운 현실입니다. [인터뷰 강유옥 /천연염색 의류제작업체 대표 ] 꽃이 맺히고 열매가 장마 때 조금 떨어지는 확률은 있어요. 그런데 올해는 그냥 몽땅 떨어져서 날씨가 그래서 이상하게 감이 조금씩 이렇게 자란 것도 그냥 다 떨어져서... 일각에선 풋감 생산량 급감이 꿀벌의 집단 폐사로 수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기후 변화 요인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관련 업계에선 다행히 감물 비축량이 있어 당장의 갈옷 생산에는 차질이 없지만 지금의 생산량이 예년 수준을 되찾지 못할 경우 제주 갈옷 생산에 적잖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 2023.09.27(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