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Hallasan Forest Hosts Plant Event on 14th
  • Hallasan Ecological Forest is organizing an event to distribute companion plants to visitors. The event will take place at the forest's circular plaza starting at 9:30 AM on the 14th, with individuals able to receive four plants each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The plants include Camphor trees, Hibiscus, Sakaki, and Spearflower, all indigenous to Jeju. Meanwhile, Hallasan Ecological Forest has distributed over 6,600 native plants to visitors through similar events since 2021. 한라생태숲, 14일 반려식물 나눠주기 행사 개최 한라생태숲이 탐방객을 대상으로 반려식물 나눠주기 행사를 마련합니다. 이번 행사는 오는 14일 오전 9시 30분부터 한라생태숲 원형광장에서 진행되며 한 사람당 나무 4그루를 선착순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 나눠지는 반려식물은 녹나무와 주목, 무궁화, 비쭈기나무, 자금우 등 제주의 자생식물입니다. 한편, 한라생태숲은 지난 2021년부터 지금까지자생식물 나눠주기 행사를 통해 모두 6천6백여 그루를 탐방객들에게 나눠줬습니다.
  • 2023.10.12(thur)  |  이현
  • Jeju Initiates Mass-Vaccination on Livestock
  • Jeju City will carry out a unified vaccination program for cattle and goats to combat Foot-and-Mouth Disease through the end of the month. While self-vaccination is primarily encouraged, small-scale and other eligible farms experiencing difficulties have the option for vaccination via public veterinarians, including those managed by older individuals. Post-vaccination, monitoring tests will commence after four weeks. Farms not meeting the required antibody positivity rates may incur penalties of up to 10 million won, be barred from administrative support for two years, and undergo additional special oversight. 제주시, 구제역 방역 소·염소 백신 일제접종 제주시가 구제역 방역 조치를 위해 이달 말까지 소와 염소 농가를 대상으로 하반기 백신 일제접종을 실시합니다. 백신접종은 자가접종이 원칙이며 소규모 농가와 고령 등 자가접종이 어려운 농가는 공수의사를 통한 접종이 가능합니다. 일제접종 4주 이후부터는 모니터링 검사가 이뤄지며 항체양성률이 기준치에 미달될 경우1천만 원 이하 과태료, 2년간 행정 지원 제외 등 특별관리가 이뤄집니다.
  • 2023.10.12(thur)  |  이현
  • Seogwipo Levies 3.16 Bil in Transport Fees
  • Seogwipo City has levied 3.16 billion won in transportation impact fees across 1,622 instances this year, marking an increase of 96 cases and 1.19 billion won from the previous year. This surge is attributed to the cessation of COVID-19-related discounts. Payments are due from the 16th to the 31st of this month. Those with justifiable reasons, such as non-use for over 30 days or a change in ownership, are eligible for a reduction with the submission of relevant documents within 30 days of receipt of the notice. 서귀포시, 올해 교통유발부담금 31억 6천만 원 부과 서귀포시가 올해 교통유발부담금 1천 622건에 대해 31억 6천만원을 부과했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96건, 11억 9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코로나19에 따른 감면혜택이 종료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납부기간은 오는 16일부터 31일까지이며 30일 이상 미사용이나 소유권 변동 등 사유가 있는 경우 고지서 수령 후 30일 이내 신고서와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경감받을 수 있습니다.
  • 2023.10.12(thur)  |  이현
  • Gotjawal Land to be Purchased
  • Jeju is initiating the purchase of private properties within Jeju’s Gotjawal forests, aiming for systemat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The plan involves an investment of 20 billion won over the next five years, with an immediate allocation of 2 billion won this year to acquire 95,000 square meters of private land. Property owners interested in selling can apply until the 31st by completing and submitting an application form. On a related note, the protected Gotjawal area on the island encompasses 33.7 square kilometers, with private properties making up 65% of this land. 제주도, 곶자왈 사유지 매입 추진…5년 간 2백억 투입 제주도가 환경 자산인 곶자왈의 체계적인 보전과 관리를 위해 곶자왈 내 사유지 매입에 나섭니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앞으로 5년 동안 모두 2백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올해는 20억 원을 들여 사유지 9만5천 제곱미터를 매입할 계획입니다. 매도 신청은 오는 31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됩니다. 한편, 도내 곶자왈 보호지역은 33.7 제곱킬로미터로 이 가운데 65%가 사유지입니다.
  • 2023.10.12(thur)  |  이현
  • Jeju Fire Festival Goes Without Fire
  • The Jeju Fire Festival will be held without any fire in the future. Jeju Mayor (강병삼) Kang Byung-sam announced during a briefing at the Jeju City Hall press room that, reflecting the recommendations presented by the Deliberative Roundtable Operating Committee, Jeju will not have any further fire ignitions during the next Jeju Fire Festival. He also stated plans to transform it into a festival that aligns with ecological values and expands citizen participation. He also added that next year, the Fire Festival will not be held, and they will focus on developing new content to relaunch it as a sustainable event, designating the year for festival preparation.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놓기' 폐지…내년 행사 취소 제주들불축제가 앞으로 불 없는 행사로 치뤄집니다. 강병삼 제주시장은 제주시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숙의형 원탁회의 운영위원회에서 제시한 권고안을 반영해다음 축제부터 오름 불놓기를 진행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운영위가 권고한 생태적 가치에 부합하고 시민 참여 확대를 위한 축제로 만들어 나가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함께 내년에는 들불축제를 개최하지 않고 새로운 콘텐츠 개발에 집중해 지속가능한 축제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축제 준비의 해로 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 2023.10.12(thur)  |  이현
  • Crackdown on Illegal Entries
  • Crackdown on Illegal Entries Early on the morning of October 3rd, a report came in that an unidentified vessel was approaching (보령) Boryeong, South (충청) Chungcheong Province. The Coast Guard and military were dispatched, leading to the arrest of more than 20 Chinese nationals hiding in the vicinity of the harbor parking lot. They were attempting to illegally enter the country on vessels from Shandong, China. While there haven't been cases of illegal entry from China to Jeju via the sea, inspections have been intensified following the (보령) Boryeong incident. Jeju’s high density of vessels docking at its ports are considered especially vulnerable. INTERVIEW Lee Deok-moon / Jeju Coast Guard With attempts and cases of illegal entry via the sea using small boats on the rise, the Jeju Coast Guard is beefing up coastal patrols. We also encourage active reporting by residents, including fishermen. The risk of unauthorized entry is growing as people attempt to exploit the visa-free stay system, which allows one month of residence in Jeju without a visa. Earlier this year, 11 Thai nationals who had entered with visa-free status were apprehended while attempting to leave the island for the mainland without authorization. Over the past 6 years, more than 40 individuals have been arrested for similar offenses. The situation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with criminal activity being planned and organized in chat rooms. The full resumption of Chinese group tourism has raised hopes for regional tourism, but concerns about foreign crimes such as unauthorized departures and public safety remain. The Jeju Immigration Office has announced that it will collaborate with the Coast Guard to conduct intensive crackdowns on illegal residents until the end of the year. The crackdowns will focus on cases where tourists overstay their visas and become illegal residents. The office says that there are thousands of foreigners whose whereabouts are unknown. 밀입국·무단이탈 고개 드나?…"단속 강화" 지난 3일 새벽, 충남 보령에 미확인 선박이 접근하고 있다는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해경과 군이 출동했고 항구 주차장 일대 숨어있는 중국인 20여 명을 검거했습니다. 중국 산둥성에서 선박을 통해 밀입국을 시도하다 적발된 겁니다. 아직 제주에선 중국에서 직접 밀입국한 사례는 없지만 보령 사건을 계기로 점검이 한층 강화됐습니다. 특히 제주에선 항포구와 부두 같은 선박 밀집 시설이 취약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이덕문 /제주해양경찰서 외사계장> 소형 보트를 이용해 해상을 통한 밀입국 시도 및 적발 사례가 발생하면서 제주해양경찰서에서도 관내 해안가 순찰을 강화하는 한편 어업인 등 도민들의 적극적인 신고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비자 없이 한달 동안 체류 가능한 무사증 제도를 노린 무단 이탈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 올해 초, 무사증으로 온 태국인 11명이 제주를 몰래 빠져나가려다 적발되는 등 지난 6년 동안 40여 명이 검거됐습니다 . 채팅방을 이용해 사전에 조직적으로 범행을 공모하는 등 수법도 교묘해지는 상황입니다. 중국인 단체관광이 전면 허용되면서 지역 관광이 살아날 수 있다는 기대도 있지만 무단 이탈 같은 외국인 범죄와 치안에 대한 우려도 상존합니다.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은 관광객에서 불법체류자로 전환돼 소재를 파악 중인 경우만 수천명이라면서 해경과 함께 연말까지 집중 단속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2023.10.12(thur)  |  이현
  • Use of Sports Centers for Disabled Skyrockets
  • The usage of the Jeju Disabled Sports Center is on the rise. According to Jeju, as of last August, the number of users of the Jeju Disabled Sports Center reached over 53,000, approximately an 11-fold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significant rise in users is credited to the revival of programs post-COVID-19 and ongoing facility upgrades. The province plans to introduce more diverse programs, including yoga, jump rope, and badminton and intends to renovate outdoor walking paths and parking facilities for better convenience. 장애인스포츠센터 이용자 전년 대비 11배 급증 제주 장애인스포츠센터 이용자가 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제주장애인스포츠센터 이용자는 5만 3천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종식 이후 프로그램이 재개되고 지속적으로 시설을 개보수 한 것이 이용자 급증 요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제주도는 앞으로 요가와 줄넘기, 배드민턴 등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야외 산책로와 주차장 등 편의 시설을 보수할 계획입니다.
  • 2023.10.06(fri)  |  이현
  • Sept Prices Rise 2.7%, 2nd Month Surge
  • The rise in consumer prices in the Jeju region has expanded for two consecutive months. According to the Jeju Office of (호남) Honam Regional Statistics, the consumer price increase rate in Jeju last month was 2.7%, a 0.4% point increase from a month ago. The local consumer price rise hit a low point of 1.2% in July, but the increase has grown for two straight months since then. Electricity, gas, and water saw the steepest increase by product type, at 17.9%. There were also upticks in industrial products, and services, as well as agricultural,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9월 소비자물가 2.7% 상승…2개월째 오름폭 확대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2개월 연속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로 한 달 전보다 0.4%포인트 확대됐습니다.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1.2%로 저점을 찍은 이후 2개월 연속 오름폭이 커졌습니다. 품목성질별 상승률은 전기·가스·수도가 17.9%로 가장 높았으며 공업제품과 서비스, 농축수산물 등도 일제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3.10.06(fri)  |  이현
  • Arrears Worth 677 Bil Won to be Collected
  • Jeju will strengthen its collection activities for unpaid local taxes by the end of the year. Plans are underway to search homes of major tax defaulters and track assets through litigation and virtual asset seizures. Moreover, collection efforts on financial assets, wages, and sales receivables will be ramped up. Collaborative clampdowns on vehicles with outstanding taxes are also on the agenda.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with significant outstanding amounts, administrative measures such as public name disclosure and travel restrictions will be enforced. The unpaid local tax amount currently stands at 677 billion won. 지방세 체납액 677억…징수활동 강화 제주도가 연말까지 지방세 체납액 징수 활동을 강화합니다. 고액 또는 고질 체납자 가택 수색을 실시하고 소송과 가상자산 압류 등을 통해 은닉 재산을 추적해 징수할 방침입니다. 또, 금융자산과 급여, 매출채권 등에 대한 추심을 강화하고 체납차량 합동 단속도 실시할 계획입니다. 특히, 고액 체납자에 대해서는 명단 공개나 출국 금지 등 행정제재도 이행합니다. 현재 지방세 체납액은 677억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 2023.10.06(fri)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