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rop Crisis Follows Autumn Drought
  •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crops as the autumn drought begins to set in. According to the Provincial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the average rainfall has been 30mm since the latter part of last month, which is about one-quarter of the normal level of 121mm, and this phenomenon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Seogwipo(서귀포) and Gosan(고산) areas. According to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medium-term forecast, no rain is expected until the beginning of November,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the drought expanding throughout the entire region of Jeju. In response, it's recommended to utilize early mornings and evenings when water evaporation is minimal. Specifically for field-grown tangerines, it's advised to prioritize watering trees that have a lot of fruit or shallow root depth. 가을 가뭄 초기 현상, 농작물 관리 비상 이달 들어 가을 가뭄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농작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주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지난달 하순부터 평균 강수량은 30mm로 평년의 121mm에 비해 4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고 이같은 현상은 서귀포지역과 고산지역에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기상청 중기예보에도 11월초까지 비 예보가 없어 제주 전 지역으로 가뭄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농작물에 물을 줄 때는 수분 증발이 적은 저녁과 아침 시간을 활용하고 노지감귤의 경우 착과량이 많거나 토심이 얕은 나무 위주로 관수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3.10.25(wed)  |  이현
  • Public Vaccinations Next Month
  • Vaccinations for COVID-19 have begun for high-risk groups, including the elderly and those with compromised immune systems. The general population will also be able to receive vaccinations from next month. Vaccinations are available on the same day without prior reservation, and can be obtained for free at 111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s in the Jeju City area until March 31 of next year. Public Health authorities explained that the vaccine used for this round has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currently prevalent variants, and is said to have a preventive effect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vaccinations used last winter. 다음달부터 일반 대상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고령자와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시작된 가운데 다음달부터는 일반대상자도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전예약없이 당일 접종이 가능하며 제주시 권역 111개 위탁 의료기관에서 내년 3월 31일까지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는 이번 접종 백신이 현재 유행 변이에 대응해 개발된 제품으로 지난해 동절기 접종 백신보다 3배 높은 예방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3.10.25(wed)  |  이현
  • Local Currency Discounts End Next Year
  • The on-site discount for Jeju's local currency, Tamnaneunjeon(탐나는전), appears to be set for discontinuation starting next year. In order to maintain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e currency, the province is considering introducing a mileage point system next year instead of the current on-site discounts. The government has not allocated a budget related to local currencies, and is uncertain whether national funds will be secured. Decisions will be made based on evaluations concerning the dwindling resources in Jeju and the challenges in allocating local funds. 탐나는전 현장할인 내년부터 중단 수순 제주 지역화폐 탐나는전의 현장할인이 내년부터 중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도는 탐나는전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내년부터 현장 할인 대신 마일리지 포인트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 정부에서 지역화폐와 관련한 예산을 편성하지 않으며 국비 확보가 불투명한데다 제주 가용재원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올해와 같이 지방비 편성도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 2023.10.25(wed)  |  이현
  • Actions Intensified Against Cow Disease
  • Lumpy skin disease is on the rise nationwide, prompting heightened preventive measures for cattle farms, especially in Jeju. The Province is discouraging outsiders from entering cattle farms and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disinfection around the farms from periodically to once a day. There are over 700 cattle farms, with approximately 42,000 animals including Korean native cattle, beef cattle, and dairy cows being raised in the Jeju area. So far, no suspected cases of lumpy skin disease have been found and Jeju has been managed as a disease-free zone for cattle infectious diseases for decades. Lumpy skin disease, a Type 1 livestock infectious disease, is a viral disease that occurs only in cattle, and is known to be transmitted by blood-sucking insects such as mosquitoes. 소 럼피스킨병 전국 확산 '비상'…방역·예찰 강화 전국적으로 럼피스킨병 감염 농가가 늘고 있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소 사육농가에 대한 차단 방역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소사육농가에 외부인 출입을 자제하고 비정기적으로 하던 농가 주변 방역을 하루에 한번씩 실시하고 있습니다. 제주 지역 소 사육농가는 7백여 곳으로 한우와 육우, 젖소 4만 2천여 마리가 사육 중입니다. 지금까지 럼피스킨 의심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고 수십년 동안 제주는 소 가축 전염병 청정지역으로 관리됐습니다. 제1종 가축전염병인 럼피스킨병은 소에게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모기 등 흡혈 곤충이 매개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 2023.10.25(wed)  |  이현
  • Cultivating Olives in Jeju
  • Cultivating Olives in Jeju Under the warm Jeju sun, olive trees are thriving. Harvesting operations are in full swing as olives ripen in October. It's already the third year since olive trees were planted here. Although the production volume is still modest, it is expected to ramp up significantly from next year. Currently, 15 Jeju farms are engaged in olive cultivation. They have an Olive Research Society to promote technology exchanges and are actively planning to develop Jeju-grown olive brands next year. INTERVIEW Hong Sung-rok, Olive farmer As olives start to oxidize as soon as they are picked, it seems beneficial to harvest and process them domestically. There are advantages to cultivating them domestically from a trust standpoint as well. With research confirming the feasibility of olive cultivation in Jeju, its value as an income crop is on the rise. INTERVIEW Kang Ji-ho / Advisor,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Olive trees are a valuable resource, providing both fruit and leaves with a variety of uses. Therefore, there is great potential for integrating them into rural multifunctional industries, such as tourism and experiences. Currently, olive cultivation is considered suitable in Jeju and some areas along the South Coast. While experimental cultivation is taking place in other regions, they face difficulties such as frost damage.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believes that by effectively installing windbreaks and wind protection facilities in Jeju, crop yields can be increased. Climate change is also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olive cultivation in Jeju. While olive imports are on the rise, domestic olive cultivation areas have also been gradually expanding, from 0.2 hectares in 2017 to over 20 hectares in 2023. The Olive Research Society aims to develop cultivation technology to ensure stable yields and diversify market outlets, including processed foods and experiential products. 기후변화로 제주에서도 올리브 재배 따뜻한 제주의 햇살 아래 올리브나무가 싱싱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올리브가 탐스럽게 익어가는 10월을 맞아 수확작업이 한창입니다. 이곳에 올리브 나무를 심은지도 벌써 3년차. 아직 생산량이 많지는 않지만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출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제주에서는 현재 15농가가 올리브 재배를 하고 있는데, 올리브연구회를 결성해 기술교류를 실시하고 내년에는 제주산 올리브 브랜드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 홍성록/올리브 재배 농가> 올리브가 산화가 바로 시작이 되니까 아무래도 국내에서 바로 수확해서 바로 가공하거나 그런 면에서 괜찮을 것 같습니다. 믿음적인 측면에서도 국내에서 재배하는 게 이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실증 결과 제주에서 올리브 재배가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소득작목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강지호/서부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올리브는 열매뿐만 아니고 잎까지 영양이 풍부하기 때문에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활용가치가 높고 체험이라든지 관광 등을 연계해서 농촌융복합 산업의 가능성이 크다고…. 국내에서는 아직 제주와 일부 남해안지역에서만 시설 없이도 재배가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시범 재배중인데, 서리 피해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농업기술원은 제주지역의 바람 피해를 막는 지주대와 방풍 시설을 잘 설치한다면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제주에서의 올리브 재배 가능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올리브 수입량이 점차 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올리브 재배면적도 2017년 0.2ha에서 20ha 이상으로 조금씩 확대되고 있습니다. 올리브 연구회는 안정적인 착과가 가능하도록 재배기술을 확립하고 가공식품이나 체험용으로 판로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 2023.10.25(wed)  |  이현
  • Jeju Displays '100-Year School' Exhibit
  • The Jeju Education Museum is organizing a special exhibition for schools in Jeju celebrating its’ 100th anniversary. This exhibition will first focus on three of five schools in the province celebrating their 100th anniversary this year: Gu-um(구엄), Ae-wol(애월), and Han-rim(한림) Elementary, all located in the western region. The exhibit will showcase over 180 items from the Jeju Education Museum's collection, ranging from awards and report cards to student anthologies and graduation albums, spann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modern times. The museum is gearing up for a second exhibit later this year, spotlighting Kim-nyeong(김녕) Elementary School and Dong-nam(동남) Elementary School. 제주교육박물관, '개교 100년 학교 이야기'전 제주교육박물관이 개교 100주년을 맞는 제주의 학교 기획전을 마련합니다. 이번 전시는 올해로 개교 100년이 되는 도내 5개교 가운데 우선 서부지역에 위치한 구엄초와 애월초, 한림초등학교 3개교를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제주교육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해당 학교의 일제강점기부터 최근까지의 상장과 통지표, 학생 문집, 졸업앨범 등 180여 점의 자료가 전시됩니다. 교육박물관은 연말에 김녕초등학교와 동남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두번째 기획전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2023.10.23(mon)  |  이현
  • Pet Boom, Fewer Stray Rescues
  • The number of stray dogs captured and rescued has declined while pet registration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past decade. According to Jeju City, animal registration cases have surged from about 1,500 in 2013 to over 48,000 this year. Conversely, the number of stray dogs captured or rescued has decreased, with figures showing a decline from 4,000 in 2018 to 2,600 last year. Jeju city attributes this positive trend to growing social concern for animal welfare, amendments to the Animal Protection Law, and the expansion of animal welfare programs. 반려동물 급증…유기견 포획·구조 건수 감소 최근 10년간 반려동물 등록은 크게 늘었지만 유기견 포획, 구조 건수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동물등록 건수는 지난 2013년 1천 500여 마리에서 올해 4만 8천여 마리로 급증했습니다. 반면 유기견 포획이나 구조건수는 2018년 4천여 마리에서 지난해 2천 600여 마리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시는 동물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동물보호법이 개정되고 동물복지 사업이 확대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3.10.23(mon)  |  이현
  • Jeju Disability Welfare 'Excellent' for 4 Years
  • Jeju has received an excellent rating for four consecutive years in a nationwide comparison evaluation of the welfare leve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provinces. Jeju ranked 73.78 points in income and economic support and 67.91 in mobility, cultural leisure, and information access, beating the national average in both areas. Notably, in the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the funding for vocational rehab facilities and per-pers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ess for those with disabilities, stood out as the highest in the nation. Conversely, the percentage of independence fund loans for the disabled and the use rate of cultural and leisure support programs were seen as below par. Additionally, since 2005, the Korea Differently Abled Federation, a nonprofit, has been conducting yearly assessments of the welfare standards for those with disabilities. 제주도 장애인 복지 수준 4년 연속 '우수' 등급 제주도가 전국 시도별 장애인 복지 수준 비교 평가에서 4년 연속 우수 등급을 받았습니다. 제주도는 이번 평가에서 소득과 경제활동 지원 영역에서 73.78점을, 이동과 문화여가, 정보접근 영역에서는 67.91점을 기록해 두 기준 모두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특히, 세부 평가 기준 가운데 직업 재활 시설 지원 예산액과 장애인 1인당 정보통신접근 예산 지원액이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 비율이나 문화여가 활동 지원사업 이용률은 저조한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장애인 복지 수준 평가는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 2023.10.23(mon)  |  이현
  • UNWTO Honors Two Jeju Villages
  • Sehwa-ri(세화리) in Gujwa-eup(구좌읍) and Dongbaek Village located in Shinheung-2ri(신흥2리), Namwon-eup(남원읍) have been selected as the top villages in the 3rd UN World Tourism Organization (UNWTO) Tourism Village competition. According to Jeju authorities, these villages were recommended by relevant institutions after the competition began in April and were selected after reviews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the UNWTO. Sehwa-ri has local residents directly selling tourism products focused on Jeju Haenyeo (female divers), stone walls, and carrots. Similarly, (동백) Dongbaek Village has established various tourism systems utilizing camellia resources. Meanwhile, the UNWTO's Best Tourism Village competition aims to address sustainable local tourism development, rural area imbalance, and population decline issues in the tourism industry and has been conducted since 2021. 세화·신흥2리, 유엔세계관광기구 최우수 마을 선정 구좌읍 세화리와 남원읍 신흥2리 동백마을이 제3회 유엔세계관광기구 관광마을 공모전에서 최우수 마을에 선정됐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이들 마을은 지난 4월 공모 시작 후 유관기관을 통해 추천 받아 한국관광공사와 유엔세계관광기구 심사를 거쳐 선정됐습니다. 구좌읍 세화리는 해녀와 밭담, 당근을 활용한 관광 상품을 지역 주민들이 직접 판매하고 있고, 남원읍 신흥2리 동백마을도 동백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관광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한편, 유엔세계관광기구 최우수 관광마을 공모전은 지속가능한 지역관광 개발과 농어촌 지역 불균형, 인구 감소 문제를 관광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21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 2023.10.23(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