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ivating Olives in Jeju
Under the warm Jeju sun, olive trees are thriving.
Harvesting operations are in full swing as olives ripen in October.
It's already the third year since olive trees were planted here.
Although the production volume is still modest, it is expected to ramp up significantly from next year.
Currently, 15 Jeju farms are engaged in olive cultivation.
They have an Olive Research Society to promote technology exchanges and are actively planning to develop Jeju-grown olive brands next year.
INTERVIEW
Hong Sung-rok, Olive farmer
As olives start to oxidize as soon as they are picked, it seems beneficial to harvest and process them domestically. There are advantages to cultivating them domestically from a trust standpoint as well.
With research confirming the feasibility of olive cultivation in Jeju, its value as an income crop is on the rise.
INTERVIEW
Kang Ji-ho / Advisor,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Olive trees are a valuable resource, providing both fruit and leaves with a variety of uses. Therefore, there is great potential for integrating them into rural multifunctional industries, such as tourism and experiences.
Currently, olive cultivation is considered suitable in Jeju and some areas along the South Coast.
While experimental cultivation is taking place in other regions, they face difficulties such as frost damage.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believes that by effectively installing windbreaks and wind protection facilities in Jeju, crop yields can be increased.
Climate change is also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olive cultivation in Jeju.
While olive imports are on the rise, domestic olive cultivation areas have also been gradually expanding, from 0.2 hectares in 2017 to over 20 hectares in 2023.
The Olive Research Society aims to develop cultivation technology to ensure stable yields and diversify market outlets, including processed foods and experiential products.
기후변화로 제주에서도 올리브 재배
따뜻한 제주의 햇살 아래 올리브나무가 싱싱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올리브가 탐스럽게 익어가는 10월을 맞아
수확작업이 한창입니다.
이곳에 올리브 나무를 심은지도 벌써 3년차.
아직 생산량이 많지는 않지만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출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제주에서는 현재 15농가가 올리브 재배를 하고 있는데,
올리브연구회를 결성해 기술교류를 실시하고
내년에는
제주산 올리브 브랜드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 홍성록/올리브 재배 농가>
올리브가 산화가 바로 시작이 되니까 아무래도 국내에서 바로 수확해서 바로 가공하거나 그런 면에서 괜찮을 것 같습니다. 믿음적인 측면에서도 국내에서 재배하는 게 이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실증 결과 제주에서 올리브 재배가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소득작목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강지호/서부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올리브는 열매뿐만 아니고 잎까지 영양이 풍부하기 때문에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활용가치가 높고 체험이라든지 관광 등을 연계해서 농촌융복합 산업의 가능성이 크다고….
국내에서는 아직 제주와 일부 남해안지역에서만
시설 없이도 재배가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시범 재배중인데, 서리 피해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농업기술원은
제주지역의 바람 피해를 막는 지주대와 방풍 시설을 잘 설치한다면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제주에서의 올리브 재배 가능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올리브 수입량이 점차 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올리브 재배면적도 2017년 0.2ha에서 20ha 이상으로
조금씩 확대되고 있습니다.
올리브 연구회는 안정적인 착과가 가능하도록 재배기술을 확립하고
가공식품이나 체험용으로 판로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