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uveniles Caught for Theft and Illegal Driving
  • A minor, who isn't subject to criminal penalties, was apprehended by the police for theft and unlicensed driving on three separate occasions within a month. The Jeju Dongbu Police announced that on the morning of the 27th of last month,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pprehended on suspicion of stealing three vehicles, including cars and motorcycles in Jeju City. According to the police investigation, one of the minors, A, was under 14 years of age. A stole a car and drove it without a license during the Chuseok holiday last September. As he was classified as a law-breaching minor, he was handed over to his parents, however, he attempted to steal money and valuables the following day, revealed to have committed crimes three times within a month. 한달새 '절도·무면허 운전' 세차례 촉법 소년 검거 형사 처벌을 받지 않는 10대 촉법 소년이 한달 사이 세 차례 절도와 무면허 운전을 하다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제주동부경찰서는 지난 달 27일 새벽, 제주시내 주택가와 상가에서 자동차와 오토바이 세 대를 훔친 혐의로 중학생 3명을 검거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이 중 한 명은 14세 미만의 촉법소년 A 군으로 알려졌습니다. A 군은 지난 9월 말 추석 연휴 때 차를 훔쳐 무면허 운전을 했고 촉법 소년에 해당돼 부모에 인계됐지만 이튿날 또 다시 차량에서 금품을 훔치려다 미수에 그치는 등 한달 사이 세차례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2023.11.06(mon)  |  이현
  • Jeju Healing Agriculture Center Opens
  • Jeju Healing Agriculture Center Opens Children place various vegetables on bread to make sandwiches. They showcase their own cooking using vegetables they have personally grown in the soil. The Jeju Healing Agriculture Center has developed a healing agriculture program targeting young people. Various activities such as smelling the earth, finding the scent of nature, creating participants' own gardens, and more have taken place over the past month. Children gain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through enjoyable activities in rural areas. INTERVIEW Lee Gi-ppeum / Healing Agriculture Program Participant I hadn't often focused on just listening to the sounds of nature, but it was really nice to concentrate on that, and I also heard sounds I hadn't heard before, so it was great. Analysis of the program's participants at the Healing Agriculture Center showed a 42% reduction in stress levels and a 106% increase in the sense of recovery. Measurement results for dementia patients also showed an 18% reduction in memory decline and over 38% reduction in depression. INTERVIEW Kim Do-hui / Expert People don't really know how to relieve stress and just keep traveling somewhere, but now there seems to be a growing demand for healing agriculture. You can really see that people are feeling much better and their stress is decreasing. The Jeju Healing Agriculture Center, which officially opened in October this year, plans to provide Jeju-style healing agriculture services to a variety of people in the future. The vision is to use healing agriculture to alleviate the stress and depression of participants and expand the scope of agriculture and the meaning of rural life. 제주치유농업센터 개관…"스트레스 감소 효과" 아이들이 식빵 위에 각종 채소를 올려 샌드위치를 만듭니다. 직접 땅에 심고 재배한 채소들을 활용해 자신만의 요리를 선보입니다. 제주치유농업센터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치유농업프로그램입니다. 지난 한달여간 흙내음 맡기와 자연 속 향기 찾기, 나만의 정원, 텃밭만들기 등 다양한 활동이 이뤄졌습니다. 아이들은 농촌에서의 즐거운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얻습니다. <인터뷰 : 이기쁨/치유농업프로그램 참가자> 자연의 소리만 듣는 것에 대해 자주 집중을 못 해봤던 것 같은데 그런 거에 집중을 해보는 게 정말 좋았던 것 같고, 평소에 들어보지 못했던 소리도 새롭게 들어본 것 같아서 좋았어요. 치유농업센터에서 실제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스트레스 지수는 42% 줄어들고 회복 경험의식은 1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치매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측정결과 역시 기억감퇴 정도는 18%, 우울감도 38% 이상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 김도희/강소농민간전문가> 사람들이 어디 가서 스트레스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도 잘 모르고 여행만 다니시는데 이제는 그 수요가 굉장히 많아지는 것 같아요. 정말 우울감이 많이 좋아지시고 스트레스도 많이 좋아지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올해 10월 정식 개관한 제주치유농업센터는 앞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제주형 치유농업 서비스를 제공할 게획입니다. 치유 농업을 통해 참가자들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완화하고 농업의 영역과 농촌의 의미도 확대해 나간다는 구상입니다.
  • 2023.11.06(mon)  |  이현
  • Jeju Pursues 794 Billion Won Tax
  • As of the end of September, the overdue local tax amount in Jeju City reached 794 billion won. Consequently, aiming to achieve a delinquency rate of 3.1% or lower by year-end, the city plans to intensify its collection measures against defaulters. This includes seizing assets such as bank deposits, salaries, and rights, as well as impounding license plates and publicly disclosing the names of those in arrears. Simultaneously, for taxpayers in challenging financial situations or those falling through the welfare cracks, the city will undertake on-site surveys. Through these tailored tax collection initiatives, the city aims to bolster the community's social safety net. 제주시, 지방세 채납액 794억 원…징수 강화 제주시 지방세 이월 채납액이 지난 9월 말 기준 794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연말 체납률 3.1% 이하를 목표로 체납자를 대상으로 예금과 급여, 체권 등을 압류하고 번호판 영치와 명단 공개 등 체납액 징수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생계곤란자 등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납세자에 대해서는 현장 방문 실태조사를 실시해 맞춤형 체납액 징수활동을 통한 사회안전망 강화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입니다.
  • 2023.11.02(thur)  |  이현
  • Parents Donate to Hanna’s School
  • In memory of their daughter, Hanna Cho, who was tragically struck by a vehicle while crossing a pedestrian lane just before starting middle school, her parents made a donation to her former school on what would have been her birthday. According to Topyeong(토평)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Hanna’s parents visited the school on the 30th of last month and contributed 1 million won to the school's development fund. The parents, reminiscing about their daughter's fondness for reading, have been annually donating to the fund dedicated for book purchases. This year's contribution included the prize money won by Hanna’s brother won from a horse riding competition. 故 조한나 부모, 딸 모교에 발전기금 전달 중학교 입학을 앞두고 횡단보도를 건너다 차량에 치여 안타깝에 숨진 고 조한나양의 부모가 딸의 생일을 맞아 딸의 모교에 발전기금을 전달했습니다. 제주시 토평초등학교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조양의 부모가 학교를 방문해 학교발전기금 100만 원을 기탁했습니다. 조양의 부모는 평소 책 읽기를 좋아했던 딸을 추억하며 매해 도서 구입을 위한 발전기금을 기탁해 오고 있는데, 이번에 기탁된 발전기금은 조양의 오빠가 승마대회에서 우승해 받은 상금도 포함돼 의미를 더했습니다.
  • 2023.11.02(thur)  |  이현
  • Seogwipo Launches Night Olle Course
  • Seogwipo City is opening a new nighttime course on the Hayoung Olle Trail so that both locals and tourists can enjoy the downtown area even after dark. The newly launched "Light of Hayeong" nighttime walking course connects parts of Hayoung Olle Course 1 and Course 2, allowing visitors to stroll through the heart of Seogwipo City in under an hour during nighttime hours. On the 10th and 11th, the city will host the Seogwipo Moonlit Hayoung Walking Event as a launch celebration, showcasing a variety of street performances and walking activities. 서귀포 원도심 하영올레 야간코스 개장 서귀포시가 시민과 관광객들이 야간에도 원도심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영올레 야간코스를 신규로 개장합니다. 이번에 개장하는 하영올레 야간걷기코스 '빛의 하영'은 하영올레 1코스와 2코스 일부 구간을 연결해 야간시간에 한시간 이내로 서귀포시 도심 속을 걸을 수 있도록 짜여졌습니다. 오는 10일과 11일에는 개장이벤트인 서귀포 달빛 하영걷길을 개최해 다채로운 거리 공연과 걷기 행사 등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 2023.11.02(thur)  |  이현
  • Southern Drought Threatens Crops
  • The autumn drought is intensifying as it has not rained for nearly a month. The Jeju Agricultural Technology Institute reported that as of the 30th, the soil moisture content in over 30 surveyed areas decreased compared to two weeks ago, and the number of initial drought-affected areas increased from 5 to 11 during the same period. In particular, areas such as Wimi and Jungmun are described to be in a state of autumn drought due to a severe lack of moisture. The Institute has issued a warning that if the current low levels of rainfall persist, there is a risk that the autumn drought may extend across the entire province. They are advising farmers to regularly irrigate their fields to mitigate the effects. "남부 중심 가을 가뭄 확산"…작물 생육 관리 비상 한달 가까이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가을 가뭄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지난 30일 기준 조사지역 30여 곳의 토양 수분 함량이 2주 전보다 적어졌고 초기 가뭄 지역도 같은 기간 5곳에서 11곳으로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위미와 중문은 수분 상태가 매우 부족해 가을 가뭄에 들어간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농업기술원은 지속적으로 강우량이 적을 경우 도 전역으로 가을 가뭄이 확대될 수 있다며 농가에선 주기적으로 물 공급을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2023.11.02(thur)  |  이현
  • Illegal Net Found Near Chagwido
  •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nounced that on the 30th of last month, they detected and forcibly removed illegal fishing nets installed by Chinese fishing vessels in the waters approximately 150 km southwest of Chagwido, which is within our Exclusive Economic Zone (EEZ). The nets that were found ranged from 300 to 500 meters in length and were approximately 70 meters wide. The end part of the net, often referred to as a "sweeping net," has a diameter of just about 2 cm. The use of these nets is banned in South Korea. The Ministry plans to dispose of the collected nets and will request the Chinese side to take measures to prevent a recurrence. South Sea Fisheries Management Service 차귀도 해상 '싹쓸이 어구' 불법 그물 발견 해양수산부는 지난 달 30일, 우리측 배타적경제수역인 차귀도 남서쪽 150km 부근 해상에서 중국측 어선이 설치한 불법 포획 어구 그물을 발견해 강제 수거 처리했습니다. 발견된 어구는 길이 300에서 500m, 폭은 70m 정도인 그물로 그물 끝부분 지름이 2cm 밖에 안돼 일명 싹쓸이 어구로 알려져 우리나라에선 사용이 금지돼 있습니다. 해수부는 그물을 수거해 폐기 처리하고 중국 측에 재발 방지를 요청할 방침입니다.
  • 2023.11.02(thur)  |  이현
  • ‘Hometown Love Donation” Launches First Event
  • The first event to be launched under the "Hometown Love Donation" will be a marine plogging even, which will take place in various areas of Jeju starting on the 4th. This relay event will commence on November 4th in Daejeong-eup, Seogwipo City, where professional divers will start by collecting trash from the sea. On the 11th, the event will be held at Hamdeok Beach, and on the 25th, at Hyeopjae Beach, where both locals and tourists will participate in plogging. Furthermore, on the 3rd of the following month, there will be a marine environment concert where attendees can listen to a lecture by Lee Jung-mo, the former director of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고향사랑기부금 1호 사업 '해양 플로깅' 4일부터 진행 고향사랑기부금 1호 사업인 해양 플로깅이 오는 4일부터 제주 곳곳에서 진행됩니다. 이번 릴레이 플로깅은 11월 4일 서귀포시 대정읍에서 전문 다이버들이 바다 속에서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을 시작으로 11일은 함덕해변, 25일에는 협재해변에서 도민과 관광객 모두가 함께하는 플로깅이 진행됩니다. 또, 다음달 3일에는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 관장의 강연을 들을 수 있는 해양 환경 콘서트가 마련될 예정입니다.
  • 2023.11.02(thur)  |  이현
  • Satellites Spot Illegal Chinese Fishing
  • Satellites Spot Illegal Chinese Fishing The Coast Guard's special forces are in pursuit of a fleeing vessel. Recording On-site sound Helm, confirmed the theft. Approximately six crew members on the deck. However, the vessel continues to evade the authorities, ignoring the Coast Guard's signals and repeated orders. Recording On-site sound Continuous issuance of orders for the unlicensed gillnet fishing vessel, but it continues to move while disregarding them. Personnel in high-speed dinghies swiftly board the detained vessel. Upon capture, it was revealed that the fleeing ship was an illegal Chinese fishing vessel that had entered Korean waters without permission. This ship, which uses illegal fishing gear known as "gillnets," catches even young fish. When lost, this gear becomes marine debris that can cause accidents at sea. The area where the vessel was apprehended is approximately 150 km southwest of (차귀도) Chagwido Island, an intrusion of about 7 km into Korean waters. The vessel was found to be using sonar for fishing purposes, and had a catch of about 100 kilograms and numerous gillnets on board. This is the first time a Chinese vessel has been apprehended since China lifted its fishing ban in mid-October and resumed operations. More than 180 Chinese fishing boats have been operating daily in Jeju’s waters lately, and it is anticipated that illegal fishing will rise in the future, with unlicensed vessels, such as those equipped with gillnets, entering the area. The Coast Guard has placed more large traps in Korean waters. It is also closely monitoring Chinese fishing vessel movements using satellite data available from this year. Recording Kim Kwang-chul / Jeju Coast Guard Chinese vessels are more sophisticated in illegal activities, such as not reporting inbound and outbound information or falsifying fishing logs. We will analyze satellite data provided by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to enforce regulations. Meanwhile, in 2023 the Coast Guard has apprehended 13 illegal fishing vessels and repelled 360 unlicensed Chinese vessels attempting to enter Korean waters. 금어기 해제 후 적발…"위성으로 잡는다" 해경 특수기동대가 달아나는 어선을 추격합니다. <씽크: 현장 씽크> 조타실, 도난 인지하였음. 선미 갑판 위 선원 6명 추정. 하지만 어선은 해경의 수신호와 수차례 정선 명령을 무시하고 도주합니다. <씽크:현장음> 무허가 범장망 어선 상대 정선 명령 지속적 실시하고 있으나 계속 무시한 채 이동하고 있음. 고속단정을 탄 대원들이 접근한 도주어선에 신속히 올라 탑니다. 잡고 보니 도주 선박은 중국에서 허가 없이 우리 해역으로 넘어온 불법 조업 어선이었습니다. 어린 물고기까지 싹쓸이 하고 유실되면 바다 폐기물이 돼 어선 사고까지 일으킬 수 있는 불법 포획 장비인 범장망 설치 선박으로 확인됐습니다. 적발 해역은 차귀도 남서쪽 150km 부근 해상으로 우리측 해역 약 7km를 침범했습니다. 조업 목적으로 탐지기를 이용해 어장을 찾고 있었고 어선에서 어획물 100kg과 포획틀도 다수 발견됐습니다. 이달 중순 금어기가 해제되고 중국어선 조업이 재개된 이후 첫 적발 사례입니다. 최근 제주 해역에는 하루 평균 180 척이 넘는 중국어선이 조업하고 있고 범장망 같은 무허가 어선까지 들어오면서 앞으로 불법 조업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경은 우리측 해역에 대형 함정을 추가 배치하고 올해부터 도입한 위성정보를 활용해 중국어선 조업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씽크:김광철/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비계장> 그리고 중국 어선은 예년과 다르게 최근 입출어 정보를 통보하지 않거나 조업일지를 교묘하게 허위로 기재하는 등 각종 위법 형태가 지능화되고 있습니다. 항공 우주연구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성정보 데이터를 분석해서 단속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한편 해경은 올해 불법 조업 어선 13척을 나포했고 우리측 해역 진입을 시도하려는 무허가 중국어선 360척을 퇴거 조치했습니다.
  • 2023.11.02(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