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ellites Spot Illegal Chinese Fishing
The Coast Guard's special forces are in pursuit of a fleeing vessel.
Recording
On-site sound
Helm, confirmed the theft. Approximately six crew members on the deck.
However, the vessel continues to evade the authorities, ignoring the Coast Guard's signals and repeated orders.
Recording
On-site sound
Continuous issuance of orders for the unlicensed gillnet fishing vessel, but it continues to move while disregarding them.
Personnel in high-speed dinghies swiftly board the detained vessel.
Upon capture, it was revealed that the fleeing ship was an illegal Chinese fishing vessel that had entered Korean waters without permission.
This ship, which uses illegal fishing gear known as "gillnets," catches even young fish. When lost, this gear becomes marine debris that can cause accidents at sea.
The area where the vessel was apprehended is approximately 150 km southwest of (차귀도) Chagwido Island, an intrusion of about 7 km into Korean waters.
The vessel was found to be using sonar for fishing purposes, and had a catch of about 100 kilograms and numerous gillnets on board.
This is the first time a Chinese vessel has been apprehended since China lifted its fishing ban in mid-October and resumed operations.
More than 180 Chinese fishing boats have been operating daily in Jeju’s waters lately, and it is anticipated that illegal fishing will rise in the future, with unlicensed vessels, such as those equipped with gillnets, entering the area.
The Coast Guard has placed more large traps in Korean waters. It is also closely monitoring Chinese fishing vessel movements using satellite data available from this year.
Recording
Kim Kwang-chul / Jeju Coast Guard
Chinese vessels are more sophisticated in illegal activities, such as not reporting inbound and outbound information or falsifying fishing logs. We will analyze satellite data provided by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to enforce regulations.
Meanwhile, in 2023 the Coast Guard has apprehended 13 illegal fishing vessels and repelled 360 unlicensed Chinese vessels attempting to enter Korean waters.
금어기 해제 후 적발…"위성으로 잡는다"
해경 특수기동대가
달아나는 어선을 추격합니다.
<씽크: 현장 씽크>
조타실, 도난 인지하였음. 선미 갑판 위 선원 6명 추정.
하지만 어선은
해경의 수신호와
수차례 정선 명령을 무시하고 도주합니다.
<씽크:현장음>
무허가 범장망 어선 상대 정선 명령 지속적 실시하고 있으나
계속 무시한 채 이동하고 있음.
고속단정을 탄 대원들이 접근한 도주어선에 신속히 올라 탑니다.
잡고 보니 도주 선박은
중국에서 허가 없이 우리 해역으로 넘어온 불법 조업 어선이었습니다.
어린 물고기까지 싹쓸이 하고
유실되면 바다 폐기물이 돼
어선 사고까지 일으킬 수 있는
불법 포획 장비인 범장망 설치 선박으로 확인됐습니다.
적발 해역은
차귀도 남서쪽 150km 부근 해상으로
우리측 해역 약 7km를 침범했습니다.
조업 목적으로
탐지기를 이용해 어장을 찾고 있었고
어선에서 어획물 100kg과 포획틀도 다수 발견됐습니다.
이달 중순 금어기가 해제되고
중국어선 조업이 재개된
이후 첫 적발 사례입니다.
최근 제주 해역에는
하루 평균 180 척이 넘는
중국어선이 조업하고 있고
범장망 같은 무허가 어선까지
들어오면서 앞으로 불법 조업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경은 우리측 해역에
대형 함정을 추가 배치하고
올해부터 도입한
위성정보를 활용해
중국어선 조업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씽크:김광철/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비계장>
그리고 중국 어선은 예년과 다르게 최근 입출어 정보를 통보하지 않거나
조업일지를 교묘하게 허위로 기재하는 등 각종 위법 형태가 지능화되고 있습니다. 항공 우주연구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성정보 데이터를 분석해서 단속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한편 해경은
올해 불법 조업 어선 13척을 나포했고
우리측 해역 진입을 시도하려는
무허가 중국어선 360척을 퇴거 조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