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Airport Lanes Undergo Facelift
  • Airport Lanes Undergo Facelift The bus-exclusive lanes around the airport were established six years ago. They were expected to facilitate smooth traffic flow, but turned out to be inefficient. Buses and taxis drive on lanes where signals are on. The exclusive lanes are often empty, while the two general lanes are congested. Recording Van Driver I hardly use the priority lane coming down to the airport. That lane. It's slower. Waiting there takes much longer than the regular lane next to it. The lane is empty. Both of them. Eventually, the exclusive lanes around the airport will be scaled back. One of the two exclusive lanes for entering the airport will be reduced and converted to a regular lane. The 600-meter uphill exclusive lane from the airport to (신제주) sin-Jeju is being revoked due to low usage and a problematic structure where the lane is interrupted in the middle. This is the first revocation of exclusive lanes since their establishment. Jeju City plans to renovate the signal system and lanes, followed by a trial run. Recording Representative, Jeju City It's challenging for us to do this across the board, so we're looking at revoking it in some sections as soon as possible after a joint inspection. We aim to do it this month. Exclusive lanes for taxis and buses, available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emi-public system in 2017, were expanded throughout Jeju City. However, the airport lanes, controversial for their effectiveness, are ultimately being phased out. 실효성 논란 '공항 전용차로' 폐지 수순 공항 일대 버스 전용차로는 6년 전 조성됐습니다. 원활한 교통 흐름을 기대했지만 효율성은 떨어졌습니다. 버스와 택시가 신호가 켜진 차선을 입맛대로 주행하기 때문입니다. 정작 전용차로는 텅텅 비고 두개 차선인 일반차로만 혼잡이 빚어집니다. <씽크:승합차 운전자> 공항으로 내려오는 우선차로는 거의 안 써요. 그 차선은. 더 늦어지니까. 거기에 대기하면 옆에 있는 일반차로보다 훨씬 늦어요. 차선이 텅텅 빈다니까요. 두 개나. 결국 공항 일대 전용차로가 축소 조정됩니다. 공항으로 진입하는 전용차로를 현재 두 개에서 한개로 줄이고 일반차로로 전환합니다. 공항에서 신제주로 가는 오르막 전용차로 600미터 구간은 이용량이 적고 중간에 차선이 끊기는 기형적 구조여서 해제합니다. 전용차로 조성 이후 지정 해제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제주시는 조만간 신호체계와 차선 등을 새롭게 정비한 뒤 시범운행할 예정입니다. <씽크: 제주시 관계자> 저희가 전체적으로는 힘들고 일부 구간만 해제하는 쪽으로 해서 최대한 빨리 합동점검을 해서 의견을 들어봐야 합니다. 이달 중에 최대한 하려고 합니다. 택시와 버스 등이 운행 가능한 전용차로는 2017년 준공영제 도입 이후 제주시 전역으로 확대됐습니다. 하지만 공항 차로는 실효성 논란을 빚으며 결국 폐지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 2023.11.20(mon)  |  이현
  • Jeju Air: Exam Student Discounts
  • Jeju Air is offering a discount on domestic flight tickets for students and their families who are taking the 2024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discount, valid until February 23rd of the following year based on the date of boarding, will apply to students and one accompanying member, with a 20% discount. To receive the discount, students must present one of the following documents at the Jeju Air counter on the day of the flight: a college application form, an application receipt, or a test admission ticket. 제주항공, 대입 수험생 국내선 항공권 할인 제주항공이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한 수험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국내선 항공권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탑승일을 기준으로 내년 2월 23일까지 수험생 본인과 동반자 1인에 한해 항공료를 정규운임에서 20% 할인해 줄 예정입니다. 수험생은 탑승 당일 제주항공 카운터에서 대입지원서와 원서접수증, 수험표 가운데 1개를 제시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3.11.15(wed)  |  이현
  • Jeju Upgrades Traditional Market Facilities
  • Jeju City is investing 4.5 billion KRW this year to modernize facilities in 14 traditional markets, including Dongmun(동문) Market and traditional five day markets. Among these, 10 markets including Dongmun(동문) , Seomun(서문), Donam(도남) Markets as well as the traditional five day markets have completed the installation of solar power facilities, replacement of elevators as well as repairs. Additionally, projects like the installation of scenic lighting in Jungang-ro(중앙) shopping street and the replacement of refrigerators in Jungang(중앙)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re expected to be completed this year. Jeju City plans to continue this modernization project next year, targeting 15 markets with an investment of 5.3 billion KRW. 제주시,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사업 실시 제주시가 올해 45억 원을 투입해 동문시장과 민속오일시장 등 14개 전통시장과 상점가에 시설 현대화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동문공설시장과 서문공설시장, 민속오일시장, 도남시장 등 10개 시장의 경우 태양광 시설 설치와 승강기 교체, 시설물 보수공사를 마무리했습니다. 또 중앙로 상점가 경관조명 설치 사업과 중앙지하상가 냉동기 교체 공사 등은 올해 안에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제주시는 내년에도 15개 시장을 대상으로 53억원을 투입해 시설현대화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2023.11.15(wed)  |  이현
  • Jeju City's Free Winter Vaccination Drive
  • The Jeju City Western Health Center is conducting free vaccinations for COVID-19 and influenza in preparation for the winter season. For the vaccination, all citizens aged 12 and older, regardless of their address, can be vaccinated for free. Senior citizens aged 60 and over and members of facilities vulnerable to infection can get their shots at the Western Health Center, while other citizens aged 12 and above can be vaccinated at designated clinics and hospitals in Jeju City. Regarding influenza vaccinations, children aged 6 months to 13 years, pregnant women, and seniors aged 65 and above can receive free vaccinations at nearby clinics and hospitals until April. It is confirmed safe to receive the influenza vaccination concurrently with the COVID-19 vaccine. 코로나19·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실시 제주시 서부보건소가 겨울철을 맞아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주소지 상관없이 12살 이상 시민이면 누구나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60살 이상 어르신과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은 서부보건소에서, 나머지 12살 이상 시민은 제주시내 지정 병의원에서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접종은 생후 6개월에서 13살 어린이, 임산부, 65살 이상 어르신의 경우 내년 4월까지 가까운 병의원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코로나19와 동시 접종도 가능합니다.
  • 2023.11.15(wed)  |  이현
  • Jeju Tangerines Hit Record Prices
  • The price of outdoor-grown tangerines this year has hit a record high, showing a strong upward trend. According to Seogwipo City, the average price of this year's outdoor-grown tangerines is 10,058 KRW for 5kg, which is 21% higher than last year's price of 8,313 KRW. Particularly in November, the price soared between 9,200 KRW and 12,500 KRW, breaking record with the highest average price in history. Seogwipo City attributes this increase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roduction of mainland fruits such as apples and pears, coupled with the expectation of a shortage in tangerine supply, which has led to an increase in purchasing power. 노지감귤 가격 호조세…11월 역대 최고가 기록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이 역대 최고가를 기록하며 호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올해산 노지감귤 평균 가격은 5kg에 1만 58원으로 지난해 8천 313원보다 21% 높은 가격이 형성됐습니다. 특히, 11월 들어 9천200원에서 1만2천500원 사이로 가격이 연일 급등하면서 11월 같은 기간 평균가격 대비 역대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서귀포시는 사과나 배 등 육지부 과일 생산량이 크게 감소한데다 감귤 물량도 부족할 거라는 예상으로 인해 구매력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3.11.15(wed)  |  이현
  • Delivery Fee Support Deadline Extended
  • The Province has extended the application period for additional parcel delivery fee support to the end of the month. With the extension, the limit on the amount of support per individual has been abolished, and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small business enterprises can now apply for this support. For any purchase that incurred 'additional delivery fees', or with the submission of required documents, the province will support 3,000 KRW per case. The province will receive applications until the end of this month, verify documents, and will offer the delivery fees by December. 택배 추가배송비 신청 연장…'1인 한도 폐지' 제주도가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 신청을 이달 말까지로 연장합니다. 신청 기간을 연장하면서 1인 지원 한도액을 폐지했고 개인 뿐 아니라 소상공인사업체도 신청 대상에 포함됩니다. '추가배송비'를 낸 구매 내역이나 지불 자료를 제출하면 건당 3천원을 지원 받습니다. 제주도는 이달 말까지 신청을 받은 뒤 증빙 서류를 확인해 12월 중으로 배송비를 지급할 예정입니다.
  • 2023.11.15(wed)  |  이현
  • Jeju Examines 62 4·3 Incident Cases
  • According to the province, since the initiation of applications for amendments to the family register in July, a total of 62 cases have been filed as of the 14th. 50 of the applications are requests to restore parental relationships, while 8 cases involve requests to establish new family registers for victims who passed away without birth registrations. The province plans to conduct interviews with applicants and guarantors, review the documents, and subsequently request deliberation and approval from the April 3rd Incident Review Committee. 4·3 가족관계 정정 '사실조사'…62건 접수 제주도가 4.3 가족관계 정정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사실 조사에 들어갑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7월, 가족관계등록부 정정 신고가 시작된 이후 14일 기준 62건이 접수됐습니다. 친자 관계를 회복시켜 달라는 신청이 50건으로 가장 많았고 출생신고 없이 사망한 희생자의 호적을 신설해달라는 창설 요구가 8건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는 신청인과 보증인에 대한 면담 조사와 제출 자료를 검토한 뒤 4.3 실무위원회에 심의 의결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 2023.11.15(wed)  |  이현
  • Aftermath of Axing Disposable Item Rules
  • Aftermath of Axing Disposable Item Rules There is no plastic waste in this store. This is because they use biodegradable plastic cups made from eco-friendly materials derived from corn. The government had planned to impose fines for the use of plastic straws and paper cups, which had heightened interest in these eco-friendly alternatives. However, manufacturers of these eco-friendly products recently faced a setback as the government virtually withdrew its regulatory plan before full implementation. Orders for eco-friendly substitutes, which had surged in anticipation of the regulations, are now being canceled or returned. INTERVIEW Lee Si-a / CEO of GreenGrim Interest directly led to purchases. But now, those purchases are being canceled or requested for refunds. In our case, we're facing losses in the tens of millions of won, especially with supplies to franchises and large stores. The loosening of rules is predicted to result in an increase in waste, such as paper cups, in restaurants and cafes, raising fears of a "balloon effect." Crucially, the eco-friendly consumption movement, a critical goal in our society to reduce carbon emissions, is facing a major crisis. There are concerns that the province's environmental policies may deteriorate as the government relaxes regulations, especially since Jeju was closely monitoring the expansion of the disposable item deposit system. INTERVIEW Lee Kyung-ah / Planner at Earth Watering Hole Jeju is implementing a disposable cup deposit system similar to Sejong City. But sinc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leave the disposable item deposit system to local governments' discretion, the return of disposable cup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last October. This shows that creating environmental policies without regulations is nonsensical. Companies that were prepared for the new eco-friendly market are now at a critical crossroads of survival or closure, as the government overturns an environmental policy it had been working on for over a year. '일회용품 규제' 철회 후폭풍...주문 취소 잇따라 이 매장 안에선 버려지는 플라스틱이 없습니다. 옥수수를 이용한 친환경 소재의 분해성 플라스틱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정부가 플라스틱 빨대와 종이컵 등을 사용하면 과태료 부과를 예정해 이 같은 친환경 대체품에 대한 관심은 높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관련 제품을 생산하던 업체들이 날벼락을 맞았습니다. 정부가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규제 방안을 사실상 철회했기 때문입니다. [친환경 대체품 주문 취소·반품 잇따라] 규제 시행을 앞두고 쇄도했던 친환경 대체품 주문이 취소되거나 반품되는 경우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시아 / 그린그림 대표 ] 관심이 바로 구매로 이어졌었거든요. 그 구매들이 이제는 다 취소가 되거나 환불요청으로 지금 이어지고 있는 상태라서.. 저희 같은 경우는 프랜차이즈나 대형 매장 같은데 납품을 어떤 양으로 말씀드리기는 애매하지만 천만원 대 피해를 보고 있고... 규제 완화로 음식점과 카페에서 다시 종이컵을 비롯한 폐기물 증가가 예상되는 등 풍선 효과도 우려됩니다. 무엇보다 우리사회 주요 과제로 떠오른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친환경 소비 운동이 큰 위기를 맞게 됐습니다. 일회용품 보증금제 확대에 눈치를 보던 제주도가 이번 정부의 규제 완화 조치에 환경정책이 후퇴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경아 / 지구별약수터 기획자 ] 제주도가 일회용컵 보증금 제도를 세종시와 같이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환경부가 일회용품 보증금 제도도 지자체 자율에 맡기겠다고 발표하고 나서 지난 10월달에만 일회용컵 반환이 엄청나게 많이 줄어들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규제 없이 환경정책을 만들어 간다는 것은 정말 말이 안된다라고 보는 건데... 정부가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덜어주겠다며 1년 넘게 준비해 온 환경정책을 뒤집으면서 현장에선 혼란과 함께 새로운 친환경 시장에 준비해 온 업체들이 존폐 기로에 서게 됐습니다.
  • 2023.11.15(wed)  |  이현
  • Jeju City Activates CSAT Support Hub
  • Jeju City is operating a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in preparation for the 2024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hich will be held on the 16th. The comprehensive center is dedicated to ensuring that students can take the exam in a stable environment by providing support for transportation and noise prevention. On exam day, student transportation vehicles will be positioned along major roads near the city hall and in different areas. Additionally, efforts will be made to halt noisy construction activities to prevent any disruptions during the exam. 제주시, 수능 수험생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 제주시가 오는 16일 실시되는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수험생 지원 종합상황실을 운영합니다. 종합상황실은 수험생들이 안정된 환경에서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교통수송과 소음방지 등을 지원합니다. 이에 따라 시험 당일 시청과 읍면동 주요 도로변에 수험생 수송차량을 배치하고 소음 발생이 예상되는 공사장에서 공사를 중지할 수 있도록 계도활동을 벌일 예정입니다.
  • 2023.11.13(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