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math of Axing Disposable Item Rules
There is no plastic waste in this store.
This is because they use biodegradable plastic cups made from eco-friendly materials derived from corn.
The government had planned to impose fines for the use of plastic straws and paper cups, which had heightened interest in these eco-friendly alternatives.
However, manufacturers of these eco-friendly products recently faced a setback as the government virtually withdrew its regulatory plan before full implementation.
Orders for eco-friendly substitutes, which had surged in anticipation of the regulations, are now being canceled or returned.
INTERVIEW
Lee Si-a / CEO of GreenGrim
Interest directly led to purchases. But now, those purchases are being canceled or requested for refunds. In our case, we're facing losses in the tens of millions of won, especially with supplies to franchises and large stores.
The loosening of rules is predicted to result in an increase in waste, such as paper cups, in restaurants and cafes, raising fears of a "balloon effect."
Crucially, the eco-friendly consumption movement, a critical goal in our society to reduce carbon emissions, is facing a major crisis.
There are concerns that the province's environmental policies may deteriorate as the government relaxes regulations, especially since Jeju was closely monitoring the expansion of the disposable item deposit system.
INTERVIEW
Lee Kyung-ah / Planner at Earth Watering Hole
Jeju is implementing a disposable cup deposit system similar to Sejong City. But sinc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leave the disposable item deposit system to local governments' discretion, the return of disposable cup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last October. This shows that creating environmental policies without regulations is nonsensical.
Companies that were prepared for the new eco-friendly market are now at a critical crossroads of survival or closure, as the government overturns an environmental policy it had been working on for over a year.
'일회용품 규제' 철회 후폭풍...주문 취소 잇따라
이 매장 안에선 버려지는 플라스틱이 없습니다.
옥수수를 이용한
친환경 소재의 분해성 플라스틱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정부가
플라스틱 빨대와 종이컵 등을 사용하면
과태료 부과를 예정해
이 같은 친환경 대체품에 대한 관심은 높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관련 제품을 생산하던 업체들이 날벼락을 맞았습니다.
정부가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규제 방안을 사실상 철회했기 때문입니다.
[친환경 대체품 주문 취소·반품 잇따라]
규제 시행을 앞두고 쇄도했던 친환경 대체품 주문이 취소되거나
반품되는 경우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시아 / 그린그림 대표 ]
관심이 바로 구매로 이어졌었거든요. 그 구매들이 이제는 다 취소가 되거나 환불요청으로 지금 이어지고 있는 상태라서.. 저희 같은 경우는 프랜차이즈나 대형 매장 같은데 납품을 어떤 양으로 말씀드리기는 애매하지만 천만원 대 피해를 보고 있고...
규제 완화로 음식점과 카페에서
다시 종이컵을 비롯한
폐기물 증가가 예상되는 등 풍선 효과도 우려됩니다.
무엇보다 우리사회 주요 과제로 떠오른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친환경 소비 운동이 큰 위기를 맞게 됐습니다.
일회용품 보증금제 확대에 눈치를 보던 제주도가
이번 정부의 규제 완화 조치에
환경정책이 후퇴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경아 / 지구별약수터 기획자 ]
제주도가 일회용컵 보증금 제도를 세종시와 같이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환경부가 일회용품 보증금 제도도 지자체 자율에
맡기겠다고 발표하고 나서 지난 10월달에만 일회용컵 반환이 엄청나게 많이 줄어들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규제 없이 환경정책을 만들어 간다는 것은 정말 말이 안된다라고 보는 건데...
정부가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덜어주겠다며
1년 넘게 준비해 온
환경정책을 뒤집으면서
현장에선 혼란과 함께 새로운 친환경 시장에 준비해 온 업체들이
존폐 기로에 서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