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Real Estate Transactions Fall by 15%
  • Jeju land transactions have sharply declined, with a 15% decrease last month, as the real estate market stagnation persists. According to Jeju Island authorities, the number of land transactions in Jeju last month amounted to 2,158 parcels, marking a 14.9% de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reaking it down by region, Jeju City saw a 16.7% decrease, while Seogwipo City dropped by 10.6%. Additionally, land transactions on the island have decreased by 35.2% year-to-date compared to last year. 제주 토지 거래 급감…지난달 15% 감소 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제주지역 토지 거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 토지거래 건수는 2천158필지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4.9%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시가 16.7%, 서귀포시가 10.6% 각각 줄었습니다. 이와 함께 올 들어 지난달까지 도내 토지거래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5.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3.11.09(thur)  |  이현
  • Jeju Recruits Kindergarten Students
  • The application period will be from the 16th to the 21st, and it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Kindergarten Admission Management System 'Cheoeum Hakgyoro(처음 학교로).' On the first day, the 16th, only online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as pre-registration. From the 17th to the 21st, both online and on-site applications will be possible. For regular admissions, up to 3 choices can be submitted, and a lottery system will be used to prevent overlapping selections. 공·사립 유치원 신입생 모집 16일부터 시작 제주도교육청이 내년도 공립과 사립 유치원 신입 유아를 모집합니다. 접수 기간은 오는 16일부터 21일까지로 유치원입학관리시스템 '처음학교로'를 통해 이뤄집니다. 16일 첫날은 사전접수로 온라인 접수만 가능하고 17일부터 21일까지 사흘동안은 온라인 접수와 현장 접수 모두 가능합니다. 일반모집 선발은 3지망까지 접수한 후 중복 선발을 제한하는 밀어내기식 추첨으로 이뤄집니다.
  • 2023.11.09(thur)  |  이현
  • Jeju Boosts Pest Control Amid Bedbug Surge
  • Amidst a recent nationwide surge in bedbug incidents causing concerns among residents, Jeju Island is intensifying its efforts in pest control. Authorities are offering preventive measures to lodging and bathing facilities and conducting hygiene inspections and educational outreach. Additionally, residents are encouraged to regularly inspect areas such as mattresses, sofas, and bookshelves for any signs of infestation and to utilize high-temperature steam or vacuum cleaners for contamination. As of now, there have been no reported bedbug incidents on Jeju Island. 전국적 빈대 출현 잇따라, 방역 활동 강화 최근 전국적인 빈대 출현으로 도민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제주도가 방역활동을 강화합니다. 이를 위해 숙박업소나 목욕업소 등 관련시설에 예방수칙을 안내하고 위생점검과 계도활동에 나섭니다. 또 가정에서는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 책장 등 틈새를 자주 살피고 고열의 스팀이나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청소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제주에서는 빈대 발생 신고는 없는 상태입니다.
  • 2023.11.09(thur)  |  이현
  • Disposable Cup Deposit System 'Wobbling'
  • Disposable Cup Deposit System 'Wobbling' This is a coffee shop franchise located in Jeju City. This outlet has been participating in the disposable cup deposit system since June, installing cup return machines and actively participating. However, recently, they have essentially joined a boycott of the system. The national expansion of the disposable cup deposit system, which is currently being piloted in Jeju, is now up in the air. INTERVIEW Oh Jeong-hoon / Cafe owner Clearly, we cannot continue to be a part of this situation. As I said at the outset of its implementation, a wider range of businesses should be involved in this. A bill has been proposed to allow regional governments to implement the system voluntarily,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said that they will decide on whether to expand the system based on on-site feedback. The industry sees it as the near-total abandonment of nationwide implementation. The number of disposable cup returns began at 180,000 in the first week of October. But this dropped by 20,000 the following week and continued to decline. The number of returns reached a low of 120,000 in the last week of that month. The government is repeatedly introducing relaxed policies, such as excluding paper cups from the list of disposable cup usage regulations, which is adding to the confusion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Recording Im Sang-jun / Vice Minister of Environment The government plans to streamline regulations on these item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disposable) items and the current situation on-site, and intends to transition to policies that support voluntary participation by citizens in the future. Jeju has set aside funds to keep the disposable cup deposit system in place next year. However, the government’s conflicting policies with the province are only adding to the industry's confusion. 일회용컵 보증금제 '휘청'…이탈 잇따라 제주시내에 있는 한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입니다. 이 매장은 지난 6월부터 일회용컵 보증금 제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매장 안에 컵 반납기까지 설치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지만 최근 사실상 보이콧에 나섰습니다. 현재 제주에서 시범운영되고 있는 일회용 컵 보증금제의 전국 확대 계획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 오정훈 /카페 점주> 당연히 이 상태로는 참여를 계속할 수 없는 상황이고요. 초기 시행 때부터 말씀 드렸다시피 좀 더 넓은 범위의 업체가 참여하고 다 같이 참여해야… 지차제 상황에 맞게 자율적으로 시행하자는 관련 법안이 입법예고 됐고 환경부도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확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히며 업계에서는 전국 시행이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달 첫째 주 일회용컵 회수량은 18만 개로 시작해 일주일 만에 2만 개가 줄며 하락세가 이어졌고 마지막 주에는 12만 개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가 종이컵을 일회용컵 사용규제 품목에서 제외하는 등 완화된 정책을 잇따라 제시하고 있는 점도 제도 정착에 혼란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싱크 : 임상준 / 환경부 차관 > 정부는 (일회용)품목별 특성과 현장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 품목들에 대한 규제를 합리화 하고 앞으로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에 기반하는 지원 정책으로 전환하고자 합니다. 제주도는 내년에도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계속 시행하겠다며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정부와 제주도의 제각기가 정책에 업계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3.11.09(thur)  |  이현
  • Urban Regeneration Week Held on the 9-12th
  • The Jeju Urban Regeneration Center will host the Jeju Urban Regeneration Week from the 9th to the 12th in the old downtown of Jeju City and areas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The event, organized under the theme of 'Rediscovering the City,' will serve as a platform for local stakeholders involved in urban regeneration to share updates on their projects and strengthen their network. In addition, various programs will be operated, including markets led by residents or social enterprises, outings in the old downtown, and local tours. '도시재생 주간' 행사 9~12일 원도심서 열려 제주도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제주시 원도심과 도시재생사업 추진 지역에서 제주도시재생 주간을 개최합니다. 도시 재발견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도내 도시재생 관계자들이 모여 도시재생사업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자리로 꾸며집니다. 이와함께 주민 또는 사회적기업이 중심이 된 마켓과 원도심 소풍, 로컬 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됩니다 .
  • 2023.11.06(mon)  |  이현
  • Jeju Small Businesses Markets Uptick
  • Last month, the perceived economic conditions of small business owners and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in Jeju showed signs of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gency for Traditional Market Administration, the business sentiment index for small business owners in Jeju last month was 71.4, which is a 2.9-point increase compared to a month ago. The traditional market business sentiment index also rose by 2 points to 70.4, being the only one to improve among the 17 provinces and cities nationwide. Small business owners and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cited seasonal factors such as the weather and the base effect of holidays, as well as an increase in customers, as reasons for the improvement. 제주 소상공인·전통시장 체감경기 '개선' 지난달 제주지역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의 체감경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도내 소상공인 경기 체감지수는 71.4로 한 달 전과 비교해 2.9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전통시장 경기 체감지수는 70.4로 전달보다 2포인트 오르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개선됐습니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은 경기 호전 이유로 날씨와 명절 기저효과 등 계절적 요인과 고객 증가를 꼽았습니다.
  • 2023.11.06(mon)  |  이현
  • Patriotic Veteran Benefits Increase
  • Various veteran compensations are expected to be expanded starting next year. The province plans to increase the veteran welfare compensation from 90,000 won to 100,000 won per month starting next year. For the war honor allowance, those under 80 years old will see an increase from 120,000 won to 150,000 won per month, while those 80 years old and above will see an increase from 220,000 won to 250,000 won. Additionally, the welfare allowance for spouses of war veterans is also planned to increase from 90,000 won to 120,000 won per month. In addition, the province has allocated a budget of 12.87 billion won for these veteran allowances next year. 내년부터 각종 보훈 수당 확대…월 최고 25만원 내년부터 각종 보훈 관련 수당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내년부터 보훈예우수당을 월 9만원에서 10만원으로, 참전명예수당의 경우 80살 미만은 월 12만원에서 15만원으로, 80살 이상은 22만원에서 25만원으로 인상합니다. 또 참전배우자 복지수당 역시 월 9만원에서 12만원으로 늘릴 예정입니다. 제주도는 이같은 보훈 수당으로 내년 예산에 128억 7천만원을 반영해 놓고 있습니다.
  • 2023.11.06(mon)  |  이현
  • Child Benefits Increased Selectively in 2024
  • The Child Health Experience Activity Fee, which had been a matter of controversy for a while, is expected to be expanded selectively from next year. The province has allocated 6.63 billion won for the Fee in next year's budget. The eligibility criteria have been broadened from the current age range between 8 to 10 years of age to now include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up to 12 years old. However, the support is limited to those with household incomes less than 120% of the median income. In addition, children who already receive sports vouchers are excluded. The province estimates that approximately 10,000 children will be eligible for the Child Health Experience Activity Fee. 아동건강체험활동비 내년부터 선별적 확대 한동안 논란이 됐던 아동건강체험활동비는 내년부터 확대하되 선별적으로 이뤄질 전망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내년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아동건강체험활동비로 66억 3천만원을 반영했습니다. 지원대상을 현재 96개월 이상부터 119개월 미만까지의 8살 이상 10살 미만에서 156개월인 12살 이하의 모든 초등학생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중위소득 120% 이하로 제한하고 스포츠바우처 지원 아동은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지원 대상은 대략 1만명에 이를 것으로 제주도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 2023.11.06(mon)  |  이현
  • Budget Cuts on Local Currency
  • Next year, the budget related to the local currency 'Tamnaneunjeon(탐나는전)'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along with its benefits. The province has allocated 9 billion won for the local currency-related budget in next year's budget. Compared to the total budget of 32.7 billion won from this year, which includes a pre-discount national cost of 12.7 billion won and an on-site discount local cost of 20 billion won, the budget is shorter than 30% of the previous amount. The national funding is also expected to be completely discontinued starting next year. In response, Jeju is contemplating a shift to a system next year where approximately 3% of points are accumulated, without implementing any pre-discounts or on-site discounts. 탐나는전 예산 대폭 감소하며 혜택도 줄어 내년에 지역화폐인 탐나는전 관련예산이 대폭 삭감되며 이용 혜택 역시 줄어들 전망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내년 예산에 탐나는전 관련 예산으로 90억원을 편성했습니다. 올해 선할인 국도비 127억원과 현장할인 지방비 200억원 등 전체 327억원에 비해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국비 역시 내년부터 전면 중단될 전망입니다. 이에따라 제주도는 내년부터 선할인이나 현장할인 없이 3% 정도의 포인트 적립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2023.11.06(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