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OVID Spouse Embezzlement Charge
  • The Jeju Prosecutors' Office has charged and detained three people, including a common-law partner, for stealing the assets of an individual who became critically ill from COVID-19. According to the prosecutor, the common-law spouse, identified as Mr. A, conspired with a paramour and a lawyer's office manager to embezzle 300 million won from a victim who was hospitalized with severe COVID-19. Initially, the police indicted only Mr. A and the paramour, sending some parts of the case to the prosecution with a recommendation of no charges. Further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lawyer’s office manager was the main perpetrator of the crime.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has lauded this as a 'model investigation,' highlighting its success in uncovering a case that could have gone unnoticed due to the victim's death. 코로나 중태 배우자 재산 수억원 빼돌린 일당 기소 제주지방검찰청은 코로나19로 중태에 빠진 피해자의 재산을 빼돌린 혐의로 사실혼 배우자 등 세 명을 구속 기소했습니다. 검찰에 따르면 사실혼 배우자 A 씨는 지난 2021년, 내연남, 변호사 사무장 등과 공모해 코로나19 위중증으로 입원 중인 피해자의 재산 3억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당초 경찰은 A 씨와 내연남만 기소하고 일부 무혐의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지만 검찰이 재수사를 통해 범행을 주도한 변호사 사무장까지 구속해 재판에 넘겼습니다. 대검찰청은 이 사건에 대해 피해자의 사망으로 묻힐뻔 한 사건의 전모를 밝혀냈다며 형사부 '우수 수사 사례'로 선정했습니다.
  • 2023.11.27(mon)  |  이현
  • Man Sued for Airport Bomb Threat
  • The government has filed a lawsuit for damages against a man in his 30s who posted bomb threats and murder warnings for airports on an online community site. In August, the Ministry of Justice reported that Mr. A had caused substantial financial loss due to his threatening posts related to five airports, including Jeju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After deploying 570 personnel, including local police and special units, and incurring expenses like police personnel fees and fuel for vehicles amounting to about 32 million won, the government has initiated a lawsuit. This case mirrors a similar incident from September regarding a lawsuit related to threats at Sinlim(신림) Station in Seoul, where 43 million won was charged for damages. Meanwhile, Mr. A, who was arrested and indicted on charges of threats, was sentenced to one year and six months in prison at his first trial held at the Jeju District Court. 정부, 공항 폭탄 테러글 30대에 손배소 정부가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에 공항 테러와 살인 예고글을 올린 30대 남성에게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무부는 지난 8월 A씨가 제주와 인천 등 공항 5곳에 폭탄테러와 살인 예고글로 인해 각 지역 경찰과 기동대 등 570여 명이 투입되고 경찰관 수당과 차량 유류비 등 3천 2백만 원 상당의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9월, 신림역 살인 예고글 게시자에게 4천 3백여만 원 상당의 손해배상 소송을 낸 이후 두 번째입니다. 한편, 공항 테러글을 올려 협박과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A씨는 제주지법 1심에서 징역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
  • 2023.11.27(mon)  |  이현
  • Apartment Sales Drop…Rentals Hold Steady
  • For the first time in over 15 months, apartment sale prices in the region, which had previously stabilized, are now beginning to fall again. The Korea Real Estate Institute reports that apartment sale prices in Jeju dropped by 0.03% in the third week of this month, marking a reversal from the stabilization observed just a week earlier. The decline in regional apartment sale prices, which had been ongoing due to the market slump and the effects of high interest rates, had shifted to a state of stability in the second week of this month. Furthermore the rental prices for apartments, which had been continuously declining stayed flat in the third week of this month. 아파트 매맷값 다시 하락 전환…전셋값은 '보합' 이달 들어 1년 3개월여 만에 보합세로 전환했던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한국부동산원(Korea Real Estate Institute)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 제주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3% 떨어지면서 보합으로 돌아선 지 일주일 만에 재차 하락 전환했습니다.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부동산 시장 침체와 고금리 여파로 하락세를 이어오다 1년 3개월여 만인 이달 둘째 주 보합 전환했습니다. 이와 함께 내림세를 지속하던 도내 아파트 전세가격은 이달 셋째주에 보합세를 보였습니다.
  • 2023.11.27(mon)  |  이현
  • Jeju Cuts 2024 Budget by 45.9 Bil Won
  •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Council, while reviewing next year's budget, has cut 45.9 billion won through adjustments by standing committees. By committee, the Environment and City Committee and the Economic Committee for Agricultural, Fishery, Livestock Agriculture, Fisheries each was cut by 12 billion won. The Culture, Tourism, and Sports Committee’s budget dropped by 8.7 billion won, the Health, Welfare, and Safety Committee by 8.1 billion won, and the Administration and Autonomy Committee by 5.1 billion won. The major cuts include a 3.6 billion won reduction in funding for low-floor buses to aid those with mobility challenges, a 3.3 billion won decrease in fuel tax subsidies for the freight and bus industries, and a 2.7 billion won cut in subsidies for the purchase of electric cars and motorcycles. Additionally, another 990 million won for child health experience activities was dropped and 1 billion won for the Seogwipo Glocal Festa was eliminated. 내년 제주도 예산 상임위별 459억 원 삭감 제주도의회가 내년 예산안을 심사하고 있는 가운데 상임위원회별 계수조정을 통해 459억원을 삭감했습니다. 상임위원회별로 보면 환경도시위원회와 농수축경제위원회가 각각 120억원, 문화관광체육위원회 87억원, 보건복지안전위원회 81억원, 행정자치위원회 51억원 입니다. 주요 삭감 내용을 보면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도입 36억원과 화물운수업계와 버스업계 유류세 연동 보조금 33억원, 전기차와 전기이륜차 구입 보조금 27억원 등입니다. 또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지원금 9억 9천만원과 서귀포 글로컬페스타 개최 비용 10억원 전액을 삭감했습니다.
  • 2023.11.27(mon)  |  이현
  • Road Used for Decades Blocked
  • Road Used for Decades Blocked This is a coastal road in Jeju City. Vehicles slow down and carefully exit the road. Part of the road, used publicly for decades, has been blocked by the landowner who installed obstacles claiming it as their private property. Vehicles passing by damaged the installations, prompting the addition of large sandbags weighing about 1 ton along with warning signs. Residents are greatly inconvenienced by having to use only half of the narrow, approximately 5-meter wide road overnight. INTERVIEW Kim Jeong-nam / Village resident We can't pass in both directions, and only small cars can barely pass through. Larger vehicles are completely unable to pass. INTERVIEW Jo Min-seong / Village resident There are only two roads to the west. But if you come from the east, the road is blocked, and there's no place to turn the car around. The landowner who installed the obstacles on the road says there's nothing they can do. Months ago, the administrative city was asked for compensation for the land incorporated into the road, such as easing the building floor-area ratio or purchasing the incorporated land, but there has been no response. INTERVIEW Party of the landowner Now they're in a hurry and asking us to remove this first and then resolve the issue through a lawsuit. But lawsuits take forever. How long should we wait? The administration also has not been able to propose a solution. With the road already officially notified as a road, it's difficult to ease the floor-area ratio as demanded by the landowner. While requesting the landowner to remove the obstacles to alleviate residents' inconveniences, the administration states that it's difficult to forcibly remove obstacles on private property. “내 땅으로 못 가"…수십년 사용 도로 통행 막아 제주시 한 해안가 도로입니다. 달리던 차량이 속도를 늦추더니 조심스럽게 도로를 빠져나갑니다. 수십 년 동안 공용으로 쓰이던 도로 일부가 자신의 토지라며 장애물을 설치했기 때문입니다. 지나가는 차량에 설치물이 훼손되자 경고문과 함께 1톤 가량의 커다란 모래 주머니까지 동원됐습니다. 하루 아침에 폭 5미터 가량의 좁은 도로를 반쪽 밖에 이용해야하는 주민들의 불편은 이만 저만이 아닙니다. [인터뷰 김정남 / 마을 주민 ] 양방향으로 통행을 못하고 소형 차들만 겨우 통과할 수 있으니까 조금 큰 차라든지 그런 거는 통행이 전형 안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조민성 / 마을 주민 ] 서쪽으로 길이 2개 밖에 없거든요. 그런데 만약에 동쪽에서 오면 차가 막혀서 후진하고 차를 돌릴 데가 없어요. 도로에 장애물을 설치한 토지주측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수개월 전부터 행정시에 도로에 편입한 토지에 대한 보상으로 건축 용적률 완화나 편입 토지 매입을 요구했지만 묵묵부답이라는 겁니다. [ 장애물 설치 토지주 관계자 ] 이제 와서야 급하니 이것을 먼저 철거해 주면 안되겠냐 앞으로 소송으로 해결해라...소송이 언제 끝날 줄 알고 그 소송을 언제까지.. 행정에서도 이렇다 할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미 도로로 고시된 상황에서 토지주의 요구대로 건축 용적률 완화는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토지주측에 철거를 요청했지만 개인 소유지에 설치된 장애물이라 강제 철거는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결국 행정소송 등 법적 절차를 통한 해법을 모색하고 있지만 소송 절차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주민들의 불편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 2023.11.27(mon)  |  이현
  • Jeju Winter Prep Intensified
  • Jeju City is strengthening its preparedness for winter natural disasters. To this end, additional stockpiling of snow removal equipment and materials will be carried out. Automatic snow removal equipment such as road heating cables and automatic saltwater spraying devices will be operated in steep, icy sections. Furthermore, to protect vulnerable groups, the city plans to minimize cold wave damage by maintaining cold wave shelters and emergency contact networks, as well as operating heated seats at bus stops and cold-weather tents. 제주시, 겨울철 대설·한파 대비 준비태세 강화 제주시가 겨울철 자연 재난에 대비해 준비 태세를 강화합니다. 이에 제설장비와 제설자재를 추가 비축하고 급경사 결빙 구간에 도로 열선과 자동염수분사장치 등 자동 제설 장비를 운영합니다. 또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한파쉼터와 비상연락망을 정비하고 버스정류장 온열의자와 방한텐트 등을 운영해 한파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 2023.11.22(wed)  |  이현
  • Evacuation ‘Disaster Map’ Launched
  • In response to unexpected situations caused by typhoons and heavy rain, disaster maps have been created and distributed to aid in rapid evacuation. The province received confirmation for the 2nd Comprehensive Plan for Natural Disaster Reduction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August this year and has completed the disaster map. The map includes information on flooding, evacuation sites, routes, and action guidelines. It can be viewed on the official Jeju website, the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website, and the Jeju Geographic Information Portal. 자연재해 정보·대피요령 담은 '재해지도' 제작 태풍과 집중호우 등 풍수해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피를 도울 재해지도가 제작돼 보급됩니다. 제주도는 올해 8월 행정안전부로부터 제2차 제주도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을 확정받고 재해지도를 완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재해지도에는 침수 정보와 대피장소, 경로, 행동요령이 담겨 있으며 제주도 누리집과 재난안전대책본부 누리집, 제주도지리정보포털에서 볼 수 있습니다.
  • 2023.11.22(wed)  |  이현
  • Halla Gymnastics Fest, 25-26th
  • An international gymnastics festival, attended by approximately 1,300 gymnasts and coaches is set to take place in Jeju. The Korea Gymnastic Association, Jeju Branch announced that the international festival will be held for two days, on the 25th and 26th, at the Halla Sports Complex in Jeju City. The event will feature 250 athletes from 11 countries, 900 domestic athletes, and various coaches, totaling around 1,300 participants. 국제해피체조페스티벌 25~26일 한라체육관서 개최 국내외 체조선수들과 지도자 1천3백여명이 참가하는 체조 축제의 장이 제주에 마련됩니다. 제주도체조협회는 오는 25과 26일 이틀에 걸쳐 제주시 한라체육관(Halla Sports Complex)에서 제주국제해피체조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11개국에서 250명의 국제선수와 국내선수 9백명 그리고, 지도자 등 1천3백여명이 참여할 예정입니다.
  • 2023.11.22(wed)  |  이현
  • 20 Awarded for Drug Eradication Contest
  •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awarded 20 people through the 'Drug Eradication Safe Four-Cut' contest. During the nationwide contest held for a month from September, among the 240 applicants, the grand prize was awarded to Park Ju-ha, a 1st grade student at Jeju Seo Middle School, and the top excellence award went to Park Dae-geon(대건), a 2nd grade student at Namju High School. In total, 26 winners were awarded. Meanwhile, in Jeju, the number of teenage drug offenders has more than tripled, increasing from 2 last year to 7 this year. 마약 근절 '안전 네컷' 공모전 20여명 수상 제주경찰청이 '마약 근절 안전 네컷' 공모전을 통해 20여 명을 시상했습니다. 지난 9월부터 한달간 진행된 전국 공모에 240여 명이 응모한 가운데 대상에는 제주서중 1학년 박주하, 최우수상은 남주고 2학년 박대건 등 26명의 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됐습니다. 한편 제주에서는 10대 마약 사범이 지난해 2명에서 올해 7명으로 세 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 2023.11.22(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