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Broccoli Black Spot Disease Warning
  • Broccoli Black Spot Disease Warning This is a broccoli field in (애월읍) Aewol-eup, Jeju City. The lush broccoli is being harvested. Although black spot disease has been spreading in the Aewol area, this farm has not been affected. Interview Jo Heung-cheol / Broccoli farmer If you plant too densely out of greed, diseases can spread quickly. But if plants are spaced properly, there should be no major damage. Black spot disease, a type of fungal infection, mainly occurs in overly moist and densely planted fields. Initially, black spot disease causes dry spots on leaves. As the disease spreads, black spots appear on flower buds, making them unsaleable. Studies show that black spot disease has affected 5% of the total area in the (애월) Aewol, (어음) Eoum, (봉성) Bongseong, and (곽지) Gwakji regions. Compared to the average annual damage of 1.7%, this is noticeably higher.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believes that the disease has spread due to the warm, autumn-like weather this winter, which has been followed by increased humidity after rainfall. Interview Kim Yong-chan /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f wet weather and humidity last for more than 12 hours, the disease spreads from leaves to flower buds. Farmers may need to control it when the flower buds are the size of a coin. To avoid the spread of black spot disease,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recommends that farmers use the appropriate fungicides to target the disease in its early stages.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symptoms are observed on the leaves or during periods of continuous rain. 브로콜리 '검은무늬병' 발생 주의 제주시 애월읍의 브로콜리 밭입니다. 푸릇하게 자란 브로콜리를 수확합니다. 최근 애월읍 일대에서 검은무늬병이확산하고 있지만 다행히 이 농가는 감염피해를 입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 조흥철/브로콜리 농가> 욕심에 밀식 재배를 하면 병반이 빨리 오기 쉬운데 정석적인 넓이로만 심는다면 큰 피해는 없을 것 같습니다. 검은무늬병은 곰팡이병의 일종으로 과습하고 밀식된 포장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검은무늬병에 감염되면 발병 초기엔 잎에 반점이 생기면서 마르기 시작하고 병이 확산하면 꽃봉오리에 검은점이 생기면서 판매할 수 없게 됩니다. 예찰결과 검은무늬병은 애월과 어음, 봉성, 곽지 지역에서 전체 면적의 5%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평균적으로 한해 1.7%의 피해수준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입니다. 농업기술원은 올겨울, 가을같이 포근한 날씨가 이어지고 비가 오고 난 뒤 습해지면서 병이 확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용찬/제주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잎에서 발병이 됐다가 그게 비날씨가 계속되고 습한 시간이 12시간 이상 지속되면 화뢰(꽃봉오리)에 전염이 됩니다. 화뢰가 동전크기 정도 어린 시기에 농가들이 방제를 해야하지 않을까… 농업기술원은 검은무늬병 확산 방지를 위해 잎에 병증이 확인되거나 비날씨가 계속될 경우 적용 살균제를 이용해 발생 초기에 집중 방제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 2023.12.20(wed)  |  이현
  • Jeju City Converts Food Waste to Compost
  • Jeju City is transforming food waste into eco-friendly compost through its resource recovery facilities and supplying it to local farms and residents. The Jeju City Food Waste Resource Recovery Facility processes approximately 133 tons of food waste daily using a drying method. The waste undergoes a series of steps including sorting, fermentation, and maturation to produce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ost. The by-product fertilizer from food waste has been supplied free of charge to 78 farms in the Bonggae area. For other interested farms in different regions, it is being sold at a nominal price of 2,000 Korean won per bag. 제주시, 버려지는 음식물 친환경 퇴비로 재활용 제주시가 음식물류 폐기물을 자원화시설을 통해 친환경 퇴비로 만들어 지역 농가와 주민들에게 공급합니다. 제주시 음식물자원화시설은 하루 평균 약 133톤의 음식물류 폐기물을 건조화 공법으로 처리해 선별과 발효, 부숙 과정을 거쳐 친환경 퇴비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음식물 부산물비료는 봉개지역 78개 농가에 무상 공급됐고 다른 지역 희망 농가의 경우 1포당 2천원으로 유상 판매하고 있습니다.
  • 2023.12.18(mon)  |  이현
  • Jeju Seafood Promotion… 30% Discounts
  •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various fisheries cooperatives, events are taking place at multiple locations across the region until the 24th. Various fisheries associations will be hosting discounts at various locations including the Seogwipo Fisheries Cooperative Fish Market and its Ara branch, the Jeju Fish Farming Cooperative main office its Donghwa(동화) Flatfish Village, the Citizen Welfare Town, Dodu(도두) Port Plaza, and the Moseulpo Port area. A wide range of products, including hairtail, red snapper, mackerel, squid, and amberjack, are available for purchase at more than 30% off the regular market prices. 제주수산물 소비촉진 할인행사…30% 할인 제주도가 도내 수협과 함께 오는 24일까지 제주수산물 소비촉진 할인행사를 도내 곳곳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귀포수협은 서귀포수협 수산물직판장과 아라지점에서, 제주어류양식수협은 본점과 동화마을 내 광어촌에서, 한림수협은 시민복지타운에서, 수산물가공유통협회는 도두동 오래물광장에서, 모슬포수협은 모슬포항 일원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갈치와 옥돔, 고등어, 한치, 방어 등 대부분의 품목을 시중 가격의 30% 이상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 2023.12.18(mon)  |  이현
  • Jeju Campaign Exceeds 10K Donors
  • The number of donors participating in the Jeju Hometown Love Donation campaign has surpassed 10,000.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current total number of donors is 10,011, with 10,459 donations made, and the total amount raised stands at 1.21 billion Korean won (approximately 1.21 million USD). It has been observed that donors are predominantly between the ages of 30 and 50, accounting for 81% of the total. Among the donors, 41 individuals, including expatriates from Jeju, emigrants, athletes, singers, and actors, have contributed more than 2 million Korean won each. To further encourage donations, Jeju is running events until the 31st, including giving away Gyullojangsaeng(귤로장생) branded mandarin fruits as a token of appreciation. 제주 고항사랑기부 참여 1만 명 돌파 제주 고향사랑기부에 참여한 기부자가 1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현재 누적 기부자는 1만 1명으로 기부건수는 1만 459건, 모금액은 12억 1천 300만원입니다. 제주고향사랑 기부자는 30에서 50대가 전체의 81%로 파악됐으며 200만원 이상은 재외도민과 출향민, 운동선수, 가수, 배우 등 41명입니다. 제주도는 오는 31일까지 귤로장생 브랜드 감귤 증정 등의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2023.12.18(mon)  |  이현
  • Influenza Spreads Throughout Jeju
  • Jeju is experiencing a significant outbreak of influenza, prompting heightened attention to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current rate of influenza-like illness in the region is 116.3 per 1,000 people, which is 17 times higher than the epidemic threshold of 6.5. This rate is nearly twice the national average of 61.3. The spread of the virus has been rapid and alarming. The number of cases was 52 in the first week of November, increased to 85 in the third week, 109 in the last week, and is now approaching 120. In response to this, the Province is urging compliance with personal hygiene rules, along with vaccina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influenza. 제주 인플루엔자 대유행, 한달만에 2배 이상 증가 제주에서 인플루엔자가 크게 유행하면서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는 1천명당 116.3명으로 유행기준인 6.5명에 17배 많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국 평균 61.3명에 비해서도 2배 가까이에 이르고 있습니다. 특히 11월 첫째주만 하더라도 52명이었으나 11월 셋째주 85명, 마지막 주 109명에 이어 최근 120명에 육박하며 한달만에 2배 이상 늘어나는 등 확산정도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제주도는 인플루엔자 감염 예방을 위해 접종과 함께 개인위생수칙의 준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3.12.18(mon)  |  이현
  • Jeju's Pushes for MZ Influencers
  • A marketing initiative targeting the MZ generation in China, who are becoming key independent visitors to South Korea. The Province, Jeju Tourism Organization, and the Guangzhou office of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hosted a familiarization (FAM) tour for seven famous Chinese travel influencers. The tour, which took place from the 11th to the 15th, spanned four nights and five days. During the tour, the influencers toured new tourist destinations favored by individual travelers and created related content. This content is planned to be promoted to the Chinese MZ generation through social media networks. 중국 MZ 잡아라"…여행 인플루언서 초청 팸투어 중국 내 주요 개별 방한객으로 자리 잡은 MZ세대를 유치하기 위한 마케팅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 한국관광공사 광저우지사는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4박 5일간 중국 유명 여행 인플루언서 7명을 제주로 초청해 팸투어를 진행했습니다. 이들은 팸투어 기간 개별관광객이 선호하는 신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관련 콘텐츠를 제작해 SNS을 통해 중국 MZ 세대에게 홍보할 예정입니다.
  • 2023.12.18(mon)  |  이현
  • Rise in Jeju School Violence
  • The survey results on school violence in the Jeju region have revealed a slight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victimization. According to a survey on school violence released by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total of 1,435 students, which is 2.9% said they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This is a 0.3 percentage point increase compared to the first survey conducted last year. In terms of types of victimization, while verbal violence decreased by 4.9 percentage points, both physical violence and group ostracism increased by 1.9 percentage points. Among the students who admitted to perpetrating violence said there was no particular reason or it was done for fun. Meanwhile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helped the victim or reported the incident was 69.2%. 학교폭력 피해 경험 소폭 증가…가해 이유 '장난' 제주지역 학교 폭력 조사결과 피해를 경험했다는 학생이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이 발표한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2.9%, 1천435명으로 지난해 1차 조사때와 비교해 0.3%포인트 증가했습니다. 피해 유형별로는 언어폭력이 4.9%포인트 줄었지만 신체폭력과 집단 따돌림은 모두 1.9%포인트 늘었습니다. 가해 경험이 있다고 답한 학생 중 가해 이유로는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뒤 피해학생을 도와주거나 신고하는 등 행동을 한 학생 비율은 69.2%로 나타났습니다.
  • 2023.12.18(mon)  |  이현
  • Fishing Lines Threat to Coral Ecosystem
  • Fishing Lines Threat to Coral Ecosystem The corals have turned ash-colored. This is a phenomenon where the corals turn white as their cell tissues die. Since last July, 11 dead corals have been confirmed in the seas around (범섬) Beomseom Island and (문섬) Munseom Island in Jeju, due to bleaching. Nearly 70 corals have been damaged by organisms parasitizing them. The risk of artificial damage to corals is also increasing. 20 corals have been affected by being entangled in fishing lines and gear, preventing them from feeding. A civilian exploration team consisting of Jeju Haenyeo (female divers) and professional scuba divers has been monitoring the coral reefs around (범섬) Beomseom Island and (문섬) Munseom Island for the past year, marking the first time such damage has been recorded. Recording Ko Myeong-ho / Exploration team member (Haenyeo) When fishing lines or gear get caught on corals, each polyp is a life, and they die off one by one. If the entire coral gets entangled, it falls off to the bottom and dies. In addition to discovering two new unrecorded coral species, they noted the spread of tropical stony corals due to rising water temperature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s and research. INTERVIEW Shin Ju-hee/ Exploration Team Member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discovered unrecorded species and identified various risk factors. We plan to continue and expand this activity next year. Based on these records, we want to conduct more extensive surveys and accurate research through cooperation with experts, related ministries, and the government. The natural coral ecosystem in the seas of Jeju is facing accelerated risk of damage due to complex factors including climate phenomena,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systematic protection and management measures by the government. '낚싯줄·기생생물까지'…제주 산호 생태계 '위협' 산호가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세포 조직이 죽으면서 산호가 하얗게 변하는 현상입니다. 지난 7월 이후 제주 범섬과 문섬 바다에서 백화 현상으로 고사한 산호만 11 개체가 확인됐습니다. 산호에 달라붙어 기생하는 생물로 인한 피해 개체도 70개에 육박했습니다. 인위적인 산호 훼손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 낚시 줄이나 어구 등에 감겨 먹이 활동을 못하는 산호 역시 20개체에 달했습니다. 제주 해녀와 전문 스쿠버 등으로 구성된 민간 탐사대가 산호 군락지인 범섬과 문섬 일대를 지난 1년 동안 모니터링 하면서 확인한 첫 피해 실태입니다. <씽크:고명효 / 탐사대원(해녀)> 낚싯줄이나 어구가 산호에 걸리게 되면 폴립(촉수) 하나하나가 생명인데 하나씩 떨어지면서 죽는 거예요. 아예 전체적으로 감기면 산호가 탈락돼서 바닥으로 떨어져서 죽게 됩니다. 이 밖에 미기록종 산호 2종을 새롭게 발견하고 수온 상승으로 열대성 돌산호가 확산하고 있다며 추가 실태조사와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인터뷰: 신주희/ 탐사대원> 이번 조사를 통해 미기록종도 발견했고 여러 위험요인도 확인했습니다. 저희는 내년에도 이 활동을 계속 확대해서 할 예정인데요. 이 기록을 토대로 전문가와 관계 부처, 정부 협력을 통해서 좀 더 확장된 조사와 정확한 연구까지 진행하고 싶습니다. 제주 바다의 천연 산호 생태계가 기후 현상을 포함한 복합적 요인으로 훼손 위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보호 관리 대책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 2023.12.18(mon)  |  이현
  • Jeju Pushes Gift Certificate Swap
  •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urged the exchange of the now discontinued Jeju Love Gift Certificates for the Tamna voucher. Jeju Love Gift Certificates are currently not usable in the market, and it was explained that they can be exchanged at all branches of Jeju Bank. Jeju estimates that the value of the Jeju Love Gift Certificates that have not yet been collected amounts to 967 million KRW. 미회수된 제주사랑상품권 9억 6천…"교환해야 제주특별자치도가 발행이 종료된 제주사랑상품권을 탐나는전으로 교환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제주사랑상품권의 경우 현재 시중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제주은행 모든 지점에서 교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도는 현재까지 회수되지 않은 제주사랑상품권이 9억 6천 7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 2023.12.14(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