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Cultural Organization Under Investigation
  • A cultural organization is under investigation for allegedly misusing tens of millions of won in government subsidies.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reports that the ex-chairman of a cultural organization and an associate are under suspicion for embezzling around 20 million which was intended for village festival expenses and maintenance projects back in November 2021. The individuals are facing charges of violating the Local Subsidies Act and the police will decide whether to refer the case to the prosecutor's office after completing investigations. 문화단체 수천만 원 보조금 횡령 의혹…경찰 조사 제주도내 한 문화단체에서 수천만 원 상당의 보조금 횡령 의혹이 포착돼 경찰 조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문화단체 전 이사장 등 2명은 지난 2021년 11월 경 마을 축제 비용이나 정비 사업 등의 명목으로 받은 보조금 집행 과정에서 2천만 원 상당을 지급 당시 용도와 다르게 사용해 지방보조금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경찰은 추가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검찰 송치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 2024.01.08(mon)  |  이현
  • Smishing Scam: 'Father Passed Away' Alert
  • Smishing Scam: 'Father Passed Away' Alert Recently, a worker, A, received a text message about a funeral. It claimed that their father had passed away and included a link with the time and address for the funeral. Though it looked like a normal funeral notice, it was actually a smishing text intended to install malware and steal financial information. Fortunately, no harm was done as the link was not clicked. INTERVIEW Smishing Text Recipient I received a text last night saying someone's father had passed away and it seemed to be guiding me to a funeral with a link. I was curious about who it was and thought about clicking the link, but something felt off, so I didn’t. Lately, it seems a lot of people around me are receiving these texts. They say it's voice phishing. The tactics of smishing are becoming increasingly sly and varied. Clicking the URL in the received text installs a malicious app on the phone, which can then steal personal and financial information to divert money. It can also send smishing texts to other numbers stored on the phone. Previously, there were many texts pretending to be about parcel delivery, but recently there's an increase in texts masquerading as funeral notices or wedding invitations. Especially since these texts are sent from regular phone numbers and not international calls, it's not easy to recognize them as smishing. Consequently, the police are spreading awareness through SNS card news, and banks are also sending cautionary texts, but smishing crimes continue unabated. In the past three years since 2020, there have been 28 cases of smishing in Jeju, and the number is increasing annually. To prevent smishing damage, it's crucial not to click on unclear URLs, even if the text comes from a known number. If a link has already been clicked, the police advise immediately switching the phone to airplane mode to prevent further damage. Installing the police department's Citizen Conan app, which detects malicious apps, can also help prevent damage. "아버지 돌아가셨어요" 알고보니 '스미싱' 최근 직장인 A가 받은 부고 문자메시지 한 통.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며 장례식장의 시간과 주소를 안내하는 링크가 첨부돼 있습니다. 평범한 부고 문자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악성코드를 설치하도록 유도해 금융정보 등을 빼내는 스미싱 문자입니다. 다행히 링크를 누르지 않으면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 스미싱 문자 수신자 > 보니까 어젯밤에 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그러면서 장례식을 안내하는 듯한 링크랑 같이 보냈더라고요. 그래서 누군지 궁금해서 링크를 누를까 하는데 느낌이 이상해서 제가 안 눌렀거든요. 요즘 알고 보니까 이런 문자를 받는 분들이 주위에 되게 많다고. 보이스피싱이라고 하더라고요. 스미싱 수법은 갈수록 교묘해지고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전송된 문자에 있는 URL을 누르면 휴대전화에 악성 앱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빼내 돈을 가로채거나 해당 휴대전화에 저장된 다른 번호로 또다시 스미싱 문자를 보내기도 합니다. 이전에는 택배 배송 등을 가장한 문자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부고 안내나 청첩장처럼 경조사를 가장한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전화 등이 아닌 일반 휴대전화 번호로 문자가 전송되면서 스미싱 문자라는 사실을 인지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경찰이 SNS 카드뉴스 등을 통해 주의사항을 알리고, 은행에서도 주의를 당부하는 문자를 전송하기도 하지만 스미싱 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부터 3년 간 제주에서 발생한 스미싱 범죄는 모두 28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미싱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는 번호로 문자가 오더라도 출처가 불분명한 URL은 의심하고 누르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만약 이미 링크를 눌렀다면 곧바로 휴대전화를 비행기 모드로 전환해 추가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경찰은 당부했습니다. 또 평소 악성 앱을 탐지하는 경찰청 시티즌 코난 앱을 설치하면 피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2024.01.08(mon)  |  이현
  • 266.3 Bil for Agri-Fisheries & Livestock
  • Jeju City plans to inject 266.3 billion won into three sectors - agriculture, fisheries, and livestock - this year, aiming to improve the income of the primary industry. Jeju will be investing 161.2 billion won in agriculture, focusing on safety insurance and tangerine industry upgrades. Additionally, 55.4 billion won will be allocated to the marine fisheries sector, including retirement pensions for Haenyeo women divers and ocean environment protectors. The livestock sector will see an investment of 49.7 billion won for operations including public treatment facilities for livestock manure. Jeju City pushes for early execution of agricultural and fisheries projects, seeking prompt economic benefits and urging active farmer and fisherman participation. 제주시, 올해 농수축산 분야 2천663억 원 투입 제주시가 올해 1차산업 소득향상을 목표로 농수축산 3개 분야에 2천663억 원을 투입합니다. 우선 농업 분야에는 안전재해 보험과 감귤 현대화 사업 등에 1천612억 원이 투입됩니다. 또 해양수산 분야에는 고려해녀 은퇴수당과 바다 환경 지킴이 등에 554억 원, 축산 분야는 가축분뇨 공공처리 시설 운영 등 497억 원이 투입됩니다. 제주시는 상반기에 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신속한 집행을 노력하겠다며 농어업인들의 관심과 분야별 사업 공모에 적극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 2024.01.04(thur)  |  이현
  • 400,000 KRW Offered for Housing Support
  •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extends its housing assistance program for young and middle-aged employees in SMEs into this year, following last year's initiative. The project offers up to 300,000 won per month for one year in rent subsidies to SMEs that provide rental housing or housing subsidies to their workers.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public listing promotion project, the support increases to 400,000 won per month. Last year, the province supported 180 companies with 1.14 billion won in housing subsidies. '월 최대 40만원' 청년.중장년 보금자리 지원 제주도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에 대한 보금자리 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 근로자에게 숙소를 임차해 제공하거나 주택보조금을 지원하는 도내 중소기업에 임차료로 월 최대 30만원을 1년간 지원하는 사업으로 상장기업 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의 경우 40만원입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180개 기업에 11억 4천만원의 주택보조금을 지원한 바 있습니다.
  • 2024.01.04(thur)  |  이현
  • Jeju's Small Business Outlook Worsens
  • The economic outlook for small business owners and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in Jeju is expected to worsen this month. According to the Small Enterprise Market Promotion Agency, the economic outlook index for local small businesses this month is 80.4, a decrease of 10.1 points compared to a month ago. The economic outlook index for traditional markets is 75.5, down 12.3 points from the previous month. Both small business owners and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cited the decrease in consumer spending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as the main reason for the worsening economic outlook. 이달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전망 '악화' 이달 제주지역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의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이달 도내 소상공인 경기 전망지수는 80.4로 한 달 전과 비교해 10.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전통시장 경기 전망지수는 75.5로 전달보다 12.3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 모두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를 경기전망 악화의 주된 이유로 꼽았습니다.
  • 2024.01.04(thur)  |  이현
  • Over 30 Trees Threatened by Graffiti
  • Halla Arboretum is suffering from graffiti caused by visitors. Jeju World Heritage Headquarters reported damages to over 30 bamboo trees with graffiti along Arboretum trails. The headquarters suspects that the graffiti was done by young people visiting including school excursion groups. They plan to install additional graffiti prohibition signs along the trails and strengthen on-site guidance. 한라수목원 낙서 '골머리'…대나무 30여 그루 훼손 제주 한라수목원이 탐방객들의 낙서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제주세계유산본부에 따르면 수목원 탐방로에 심어진 대나무 가운데 낙서로 훼손된 30여 그루가 확인됐습니다. 본부 측은 수학여행단을 비롯한 젊은 탐방객들이 낙서를 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탐방로에 낙서 금지 표지판을 추가로 설치하고 현장 지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4.01.04(thur)  |  이현
  • Jeju Abolishes Drunk Relief Center
  • The emergency medical centers for intoxicated persons at general hospitals are expected to close doors as the police force stationed there withdraws.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the police have recently informed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Seogwipo Medical Center of their plans to terminate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centers for intoxicated persons, citing a shortage of public safety personnel. Since 2019, three police officers have been stationed at the emergency medical centers of Halla Hospital, Seogwipo Medical Center, and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owever, the daily average number of intoxicated persons taken into custody has been less than one. Medical institutions are expressing concerns, stating that without the police presence, it will be difficult to respond to incidents of violence against medical staff. 종합병원 주취자 응급센터 폐지…"경찰 인력 철수" 종합병원 주취자 응급의료센터가 상주하던 경찰 인력이 철수하면서 문을 닫게 될 전망입니다. 제주경찰청 등에 따르면 경찰은 치안 인력 부족을 이유로 최근 제주대학교병원과 서귀포의료원에 주취자 응급의료센터 운영을 종료할 계획이라고 통보했습니다. 2019년부터 한라병원과 서귀포의료원, 제주대병원 응급의료센터마다 경찰관 3명씩 상주해왔지만 주취자 보호 관리 실적은 하루 평균 1명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료기관은 경찰관이 철수하면 의료진 폭행 사건에 대한 대응이 어려워진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4.01.04(thur)  |  이현
  • 8.7% Increase in School Meal Funds
  • The Province is set to increase support for eco-friendly meals this year for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increase is set at 8.7%, with the support per meal being 570 KRW for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630 KRW for middle schools, 680 KRW for high schools, and 780 KRW for special schools. This year, the Province plans to invest 11.8 billion KRW in eco-friendly meal expenses for approximately 105,000 individuals across 807 institutions, including schools, kindergartens, local children's centers, and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제주도, 올해 친환경 급식 지원단가 8.7% 상향 제주도가 올해 제주도내 학교와 어린이집 등 지원 대상에 대한 친환경 급식 지원단가를 상향 조정합니다. 인상분은 8.7%로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경우 1식당 570원, 중학교 630원, 고등학교 680원, 특수학교 780원 등입니다. 제주도는 올해 학교와 어린이집, 지역아동센터, 비인가 대안학교 등 807개교, 10만 5천여명에게 친환경급식비로 118억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 2024.01.04(thur)  |  이현
  • Jeju Pushes to Host APEC 2025
  • Jeju Pushes to Host APEC 2025 Jeju is once again throwing its hat in the ring to host the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summit. This comes 20 years after the island’s unsuccessful bid in 2005. Participation from 21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ustralia, and Canada, is expected to yield significant host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Jeju Research Institute, hosting APEC here would result in 1.783 trillion won in production, 481.2 billion won in added value, and employment for approximately 9,000 people. Four local governments, including Jeju, Incheon, Gyeongju, and Busan, are competing to host the APEC summit to be held in Korea next year. INTERVIEW Kim Tae-wan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We are concentrating on developing a proposal that emphasizes Jeju's one-of-a-kind features. We are diligently preparing for the presentation and on-site inspection and plan to conduct both online and offline promotions in the capital region simultaneously. Jeju is highlighting its strengths: optimized facilities for international conferences, extensive hosting experience, and a milder climate in November compared to other regions. A second convention center, which is slated for completion in 2025, is also part of the plan to host the APEC summit. Jeju's advantage is that APEC summits have often been held at relaxed resorts with few formalities. With Governor Oh Young-hoon's initiatives in urban air mobility, private space industry, and green hydrogen, the province is garnering attention for aligning with APEC's goals. Recording Oh Young-hoon / Jeju Governor I believe that Jeju is the city that best aligns with APEC's goals: trade and investment, an innovative digital economy, and inclusive and sustainable growth. Currently,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campaigning for the bid and Jeju’s more aggressive strategy is being emphasized in light of the impact of Korea’s recent failed attempt to host the World Expo in 2030. APEC 유치 20년 만에 재도전…올해 결정 제주도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의 유치에 다시 한 번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지난 2005년 고배를 마시고 20년 만에 설욕전에 나서는 겁니다. 미국을 비롯해 일본과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 21개국이 참여하는 만큼 막대한 유치 효과를 기대케하고 있습니다. 제주연구원은 APEC을 제주에 유치하면 1조 783억 원의 생산 유발과 4천812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 9천여 명의 취업유발 효과 창출을 예측하기도 했습니다. 내년에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는 제주를 비롯해 인천과 경주, 부산 등 4곳의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김태완 / 제주도 경제일자리과장> 제주의 차별화를 중점적으로 부각하는 제안 신청서 작성에 집중하고 있고요. PT(프레젠테이션) 준비와 그리고 현장 실사 준비도 철저히 해나감과 동시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홍보도 같이 병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제주도는 이미 최적화된 국제회의 시설과 다수의 국제회의 경험, 개최 시기가 11월인 만큼 다른 지역보다 온화한 날씨 등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중인 제2컨벤션센터 역시 APEC 정상회의 유치를 위한 전략 가운데 하나입니다. 특히 그동안 APEC 정상회의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여유로운 휴양지 등에서 자주 개최됐다는 특징도 제주로서는 유리한 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오영훈 도정들어 추진하고 있는 UAM과 민간 우주산업, 그린수소 에너지 등 미래신산업이 APEC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부합하는 점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APEC이 추구하는 목표, 무역과 투자, 혁신 디지털 경제 그리고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이라는 APEC이 가지는 목표를 가장 잘 부합해 낼 수 있는 도시는 제주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유치전을 대대적으로 펼치고 있고 세계엑스포 유치 실패가 변수가 되면서 제주도의 보다 공격적인 유치 전략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2024.01.04(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