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Earns Level 2 Integrity Rating
  • Jeju received an excellent rating of Level 2 in the comprehensive integrity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by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The evaluation combines the perceived integrity score, which is based on surveys of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with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Jeju’s anti-corruption policies, and deducts points for corruption cases. For the first time, The Province has achieved Level 2 for four consecutive years. In this evaluation, no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rated Level 1. For Level 2, Jeju was selected along with Sejong, North Gyeongsang, and Daegu, among four regions. Jeju’s comprehensive integrity score was 3.4 point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the 17 metropolitan governments. 제주도 종합청렴도 평가 4년 연속 2등급 달성 제주도가 국민권익위원회의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우수인 2등급을 받았습니다. 내외부 고객의 설문으로 이뤄지는 청렴체감도와 제주도의 반부패 시책 추진실적 평가를 합산하고 부패사건 점수를 감해 산출되는 방식으로 제주도의 경우 처음으로 4년 연속 2등급을 달성했습니다. 이번 평가에서 1등급 광역자치단체는 없으며 2등급의 경우 제주를 포함해 세종과 경북, 대구 등 4군데가 선정됐습니다. 제주의 종합청렴도 평가점수는 17개 광역자치단체 평균 점수보다 3.4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3.12.29(fri)  |  이현
  • Jeju Real Estate Downturn Continues
  • This year's Jeju real estate market is still expected to be sluggish. A survey by the Jeju Research Institute, which involved 100 experts both from within and outside the province, focused on this year's real estate market in Jeju. The findings showed a significant number of experts perceiving a downturn in the market. Nonetheless, the proportion of experts anticipating a recovery in the sectors of apartments, land, and single-family homes was marginally higher compared to last year's expectations. Experts also predict 72% have no intention of investing in real estate this year, citing reasons such as lack of discretionary funds, uncertainty in real estate investment, and concerns over loans and real estate regulations. 내년 제주지역 부동산 시장 여전히 침체 전망 올해 제주지역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침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제주연구원이 도내외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올해 제주지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침체기로 보는 비율이 높았고 다만 아파트와 토지, 단독주택은 회복기에 들어갈 것이라는 비율이 작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또 올해 부동산 투자의향에 대해 '없음'이 72%로 가장 많은 가운데 이유로는 여유자금 부족, 부동산 투자 불확실성, 대출과 부동산 규모를 꼽았습니다.
  • 2023.12.29(fri)  |  이현
  • Cheonmicheon Gains National River Status
  • Cheonmicheon in Jeju Island has been elevated in status from a local stream to a national river, marking the first instance of such a promotion.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Committe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cided to designate a total of 20 rivers, including Cheonmicheon(천미천), as national rivers, considering the urgency of flood damage response and the need for integrated management. Accordingly, 11.33 km of the lower region of the stream, from the Cheonmi reservoir to the coast of Pyoseon-myeon, totaling 28.98 km, is expected to be designated as a national river by 2025. This promotion is aimed at enhancing disaster prevention by managing it as a national river, and more efficient management is anticipated in the future with national budget support. 천미천, 제주 첫 국가하천 승격…효율적 관리 기대 천미천이 제주에서 처음으로 지방하천에서 국가하천으로 승격됐습니다. 환경부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는 지방 하천 가운데 홍수 피해 대응 시급성과 통합관리 필요성 등을 고려해 천미천을 포함해 모두 20개 하천을 국가 하천으로 지정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천미천 전체 28.98km 가운데 하류 지역인 천미저류지부터 표선면 해안까지 11.33km 구간이 2025년에 국가하천으로 지정될 예정입니다. 이번 승격은 재해 예방 강화차원에서 국가하천으로 지정 관리하기 위해 추진됐으며 앞으로 국가 재정 지원으로 더욱 효율적인 관리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 2023.12.29(fri)  |  이현
  • Seogwipo Submarine Discontinued
  • After 36 years, the operation of a submarine in Seogwipo, which has been a subject of controversy due to its impact on the protected area around Munseom(문섬), will be discontinued. According to the industr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decided not to reauthorize the operation of the Seogwipo tourist submarine. The reason for the denial is reportedly due to concerns about the damage to coral colonies caused by the submarine operations. Meanwhile, the company operating the Seogwipo submarine contends that the decision to deny reauthorization without offering any options for corrective measures or a process for reconsideration is excessively harsh. '문섬 훼손 논란' 관광잠수함 36년 만에 운영 중단 보호구역인 문섬 일대 훼손 논란을 빚은 서귀포 잠수함 운영이 36년 만에 중단됩니다. 업계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서귀포 관광잠수함 운항 재허가 불허 결정을 내렸습니다. 불허 이유는 잠수함 운항으로 인한 연산호 군락 훼손 우려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업체 측은 보완 지시나 재심의 절차 없이 재허가를 불허한 처분은 과하다는 입장입니다.
  • 2023.12.29(fri)  |  이현
  • Jeju Life Satisfaction: Moderately Rated
  • The results of a recent survey indicate that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Jeju is at an average level. According to the '2023 Jeju Social Indicators' report released by Jeju Provinc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ir life scored an average of 6.37 out of 10. Additionally, the satisfaction level with household income was rated at 2.81 out of 5, and 3.4 with the public education environment. The top policy priority, as identified for the third consecutive year, is the creation of good jobs and the enhancement of employment quality. This objective remains at the forefront, followed closely by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is social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ne 1 to June 28, targeting individuals aged 15 and above in 3,000 selected households throughout the province. It encompassed 79 indicators across 7 different categories. 도민 삶의 만족도 '보통'…"일자리 창출 우선" 제주도민의 삶의 만족도가 보통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도가 발표한 '2023 제주 사회지표'에 따르면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6.37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밖에 가구 소득 수준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81점, 공교육 환경 만족도는 3.4점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좋은 일자리 창출과 고용의 질 개선이 3년 연속 1순위를 차지했고 사회복지서비스가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이번 사회조사는 지난 6월 1일부터 28일까지 도내 표본 3천 가구의 15살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7개 부문 79개 지표에 대해 이뤄졌습니다.
  • 2023.12.29(fri)  |  이현
  • Jeju Campaigns for Veggie Price Drop
  • Winter vegetables are being harvested in full swing in the province, however the island is faced with difficulties in supply control and price formation due to overproduction and a slump in consumption. Recent wholesale prices of winter radishes and carrots marked 8,400 KRW and around 23,000 KRW for a 20kg box, which is a 29% and 43% decrease compared to last year, respectively. Prices for onions, peeled garlic, and cabbage have also fallen, ranging from a decrease of 0.7% to as much as 20%. Thus, Jeju is launching a campaign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public officials, and social groups to purchase local winter vegetables. In addition the province will also promote discount sales at NongHyup Hanaro Marts. 월동채소 과잉생산에 소비침체로 가격 하락세 제주산 월동채소가 본격 출하되고 있는 가운데 과잉생산과 소비 침체가 겹쳐 수급 조절과 가격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최근 월동무와 당근의 도매가격은 20kg들이 한상자에 8,400원과 2만 3천원대로 지난해 보다 29%, 43% 떨어졌습니다. 양파와 깐마늘, 양배추 역시 적게는 0.7%에서 많게는 20% 하락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도내 공직자, 사회단체 등을 중심으로 지역주민 월동채소 사주기 운동을 펼치고 농협 하나로마트를 활용한 현장 할인판매행사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 2023.12.29(fri)  |  이현
  • Public-Led Offshore Wind Project Underway
  • Public-Led Offshore Wind Project Underway The nation's first public-led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 is being pursued in the (구좌읍) Gujwa-eup area of Jeju City. The (한동 평대) Handong Pyeongdae offshore wind farm project, which faced initial opposition from residents, has been progressing since 2018 with a working group formed by the residents of the two villages. With some agreement reached among the residents, the project is moving forward as the nation's first public-led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 The project will have a total capacity of 105MW, with an investment of 600 billion won. Thirteen 8MW wind turbines are planned to be installed, capable of supplying electricity to approximately 30,000 households annually. Residents of (한동리) Handong-ri will invest through bonds, while those in (평대리) Pyeongdae-ri will participate as shareholders. The project is expected to generate an annual revenue of about 10 billion won for the community and create employment for about 6,000 people through the attraction of new corporations. Details on dividends and community donations will be finalized through an agreement in June next year. [Recording] Go Seok-beom / Head, Handong Village We hope for a plan that will bring benefits to the village through communication and that the long-standing village project will be realized quickly. The (한동 평대) Handong Pyeongdae offshore wind power project is scheduled for completion in 2026, with full operation planned from 2028. The province announced its support to ensure smooth administrative procedures, including the final development project implementation approval. [Recording] Oh Young-hoon / Governor This project will solidify the statu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relation to renewable energy in Korea. The scale of 104MW is a significant step up from what we have done so far. As the project moves forward after eight years, attention is focused on whether Jeju can successfully implement a public-led wind power business model. 전국 최초 '공공주도' 해상풍력 본궤도 전국 최초의 공공주도 풍력 개발 사업이 제주시 구좌읍 일대에서 추진됩니다. 주민 반대에 부딪혀 시작부터 우여곡절을 겪어 왔던 한동 평대 해상풍력 조성 사업은 지난 2018년 두 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실무협의회가 구성돼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작업을 진행해 왔습니다. 두 마을 주민들이 사업에 대한 일정부분 합의를 도출해 내면서 전국 최초로 공공주도 풍력 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사업 규모는 모두 105MW. 사업비는 6천억 원이 투입돼 8MW급 풍력발전기 13대가 설치될 예정입니다. 대략 연간 3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생산 규모입니다. 한동리 주민들은 채권형, 평대리 주민들은 지분형으로 사업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마을에는 연간 100억 원 상당의 수익이 나고 신규 법인 유치를 통해 6천명 가량의 고용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배당금과 마을 기부금에 대한 내용은 내년 6월 협약을 통해 체결할 예정입니다. <싱크 : 고석범 / 한동리장> 마을과 소통하면서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주시고 정상적으로 추진해서 마을 숙원 사업이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한동 평대 해상 풍력 사업은 오는 2026년 준공해 2년 뒤인 2028년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사업 협약식을 통해 마지막 남은 개발사업시행 승인 등 행정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싱크 :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대한민국에서 차지하는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제주특별자치도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 중요한 사업이 될 겁니다. 규모도 104MW로 지금까지와 차원이 다릅니다. 8년 만에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된 가운데 제주도가 성공적인 공공주도 풍력 사업 모델을 구현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2023.12.29(fri)  |  이현
  • Hallasan Soju Cuts Prices by 10.6%
  • Hallasan Corporation, a local company, has lowered the wholesale prices of its soju starting today. As a result, Hallasan Soju will reduce its prices: Hallasan Original to 1,227 won, and Hallasan Soonhan(순한) to 1,116 won, a 10.6% cut. Hallasan Soju explained that the price reduction aligns with the government's policy for price stability and market stimulation. The National Tax Service recently declared that starting January 1 next year, it will introduce a revised tax assessment criterion for domestically produced distilled alcohol, which involves adjusting the standard sales ratio. 한라산 소주 출고가 오늘부터 10% 인하 향토기업 주식회사 한라산이 오늘부터 소주 출고 가격을 인하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라산 오리지널의 출고가는 1227원, 한라산 순한의 출고가는 1116원으로 기존 출고가 대비 10.6% 낮아집니다. 한라산 소주 측은 제주지역 물가 안정과 지역 상권 활성화 등 정부 물가 안정 정책에 적극 협조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국세청은 국산 증류주의 세금부과 기준을 경감 해주는 기준 판매 비율을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 2023.12.27(wed)  |  이현
  • Jeju Exports Grow, Targets $300M by 2026
  • Jeju's exports have been on an upward trend for three consecutive months. The Province reports a 16% growth in exports last month, ranking third nationally, with a steady increase since September. Cosmetics are the highest-growth export items, followed by pumps and processe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products. Jeju plans to aim to achieve 300 million dollars in exports by 2026, focusing on expanding into overseas markets and strengthening support for local businesses to venture abroad. 제주 수출 3개월 연속 증가세…화장품 1위 제주수출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수출 실적이 지난 9월부터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달 기준 증가율은 16%로 전국 3위를 기록했습니다. 수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화장품이며 펌프류와 농수축산물 가공품이 뒤를 이었습니다. 제주도는 2026년까지 수출 3억불 달성을 목표로 해외 시장 확대와 기업인들의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 2023.12.27(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