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ju Pushes to Host APEC 2025
Jeju is once again throwing its hat in the ring to host the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summit.
This comes 20 years after the island’s unsuccessful bid in 2005.
Participation from 21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ustralia, and Canada, is expected to yield significant host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Jeju Research Institute, hosting APEC here would result in 1.783 trillion won in production, 481.2 billion won in added value, and employment for approximately 9,000 people.
Four local governments, including Jeju, Incheon, Gyeongju, and Busan, are competing to host the APEC summit to be held in Korea next year.
INTERVIEW
Kim Tae-wan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We are concentrating on developing a proposal that emphasizes Jeju's one-of-a-kind features. We are diligently preparing for the presentation and on-site inspection and plan to conduct both online and offline promotions in the capital region simultaneously.
Jeju is highlighting its strengths: optimized facilities for international conferences, extensive hosting experience, and a milder climate in November compared to other regions.
A second convention center, which is slated for completion in 2025, is also part of the plan to host the APEC summit.
Jeju's advantage is that APEC summits have often been held at relaxed resorts with few formalities.
With Governor Oh Young-hoon's initiatives in urban air mobility, private space industry, and green hydrogen, the province is garnering attention for aligning with APEC's goals.
Recording
Oh Young-hoon / Jeju Governor
I believe that Jeju is the city that best aligns with APEC's goals: trade and investment, an innovative digital economy, and inclusive and sustainable growth.
Currently,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campaigning for the bid and Jeju’s more aggressive strategy is being emphasized in light of the impact of Korea’s recent failed attempt to host the World Expo in 2030.
APEC 유치 20년 만에 재도전…올해 결정
제주도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의 유치에
다시 한 번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지난 2005년 고배를 마시고 20년 만에 설욕전에 나서는 겁니다.
미국을 비롯해
일본과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
21개국이 참여하는 만큼
막대한 유치 효과를 기대케하고 있습니다.
제주연구원은
APEC을 제주에 유치하면
1조 783억 원의 생산 유발과 4천812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
9천여 명의
취업유발 효과 창출을 예측하기도 했습니다.
내년에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는
제주를 비롯해
인천과 경주, 부산 등
4곳의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김태완 / 제주도 경제일자리과장>
제주의 차별화를 중점적으로 부각하는 제안 신청서 작성에
집중하고 있고요. PT(프레젠테이션) 준비와 그리고 현장 실사 준비도 철저히 해나감과 동시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홍보도 같이 병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제주도는
이미 최적화된 국제회의 시설과
다수의 국제회의 경험,
개최 시기가 11월인 만큼
다른 지역보다 온화한 날씨 등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중인
제2컨벤션센터 역시
APEC 정상회의 유치를 위한 전략 가운데 하나입니다.
특히 그동안 APEC 정상회의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여유로운 휴양지 등에서
자주 개최됐다는 특징도 제주로서는 유리한 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오영훈 도정들어 추진하고 있는
UAM과 민간 우주산업,
그린수소 에너지 등 미래신산업이
APEC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부합하는 점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APEC이 추구하는 목표, 무역과 투자, 혁신 디지털 경제
그리고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이라는 APEC이 가지는 목표를 가장 잘 부합해 낼 수 있는 도시는 제주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유치전을 대대적으로 펼치고 있고
세계엑스포 유치 실패가 변수가 되면서
제주도의 보다 공격적인 유치 전략이 강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