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ing Lines Threat to Coral Ecosystem
The corals have turned ash-colored.
This is a phenomenon where the corals turn white as their cell tissues die.
Since last July, 11 dead corals have been confirmed in the seas around (범섬) Beomseom Island and (문섬) Munseom Island in Jeju, due to bleaching.
Nearly 70 corals have been damaged by organisms parasitizing them.
The risk of artificial damage to corals is also increasing.
20 corals have been affected by being entangled in fishing lines and gear, preventing them from feeding.
A civilian exploration team consisting of Jeju Haenyeo (female divers) and professional scuba divers has been monitoring the coral reefs around (범섬) Beomseom Island and (문섬) Munseom Island for the past year, marking the first time such damage has been recorded.
Recording
Ko Myeong-ho / Exploration team member (Haenyeo)
When fishing lines or gear get caught on corals, each polyp is a life, and they die off one by one. If the entire coral gets entangled, it falls off to the bottom and dies.
In addition to discovering two new unrecorded coral species, they noted the spread of tropical stony corals due to rising water temperature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s and research.
INTERVIEW
Shin Ju-hee/ Exploration Team Member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discovered unrecorded species and identified various risk factors. We plan to continue and expand this activity next year. Based on these records, we want to conduct more extensive surveys and accurate research through cooperation with experts, related ministries, and the government.
The natural coral ecosystem in the seas of Jeju is facing accelerated risk of damage due to complex factors including climate phenomena,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systematic protection and management measures by the government.
'낚싯줄·기생생물까지'…제주 산호 생태계 '위협'
산호가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세포 조직이 죽으면서 산호가 하얗게 변하는 현상입니다.
지난 7월 이후 제주 범섬과 문섬 바다에서
백화 현상으로 고사한
산호만 11 개체가 확인됐습니다.
산호에 달라붙어 기생하는 생물로 인한 피해 개체도
70개에 육박했습니다.
인위적인 산호 훼손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
낚시 줄이나 어구 등에 감겨
먹이 활동을 못하는
산호 역시 20개체에 달했습니다.
제주 해녀와 전문 스쿠버 등으로 구성된 민간 탐사대가
산호 군락지인
범섬과 문섬 일대를
지난 1년 동안 모니터링 하면서 확인한 첫 피해 실태입니다.
<씽크:고명효 / 탐사대원(해녀)>
낚싯줄이나 어구가 산호에 걸리게 되면 폴립(촉수) 하나하나가 생명인데 하나씩 떨어지면서 죽는 거예요. 아예 전체적으로 감기면 산호가 탈락돼서 바닥으로 떨어져서 죽게 됩니다.
이 밖에 미기록종 산호 2종을 새롭게 발견하고
수온 상승으로
열대성 돌산호가 확산하고 있다며
추가 실태조사와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인터뷰: 신주희/ 탐사대원>
이번 조사를 통해 미기록종도 발견했고 여러 위험요인도 확인했습니다.
저희는 내년에도 이 활동을 계속 확대해서 할 예정인데요. 이 기록을 토대로 전문가와 관계 부처, 정부 협력을 통해서 좀 더 확장된 조사와 정확한 연구까지 진행하고 싶습니다.
제주 바다의 천연 산호 생태계가
기후 현상을 포함한 복합적 요인으로 훼손 위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보호 관리 대책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