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eogwipo Enhances Winter Snow Removal
  • Seogwipo City is preparing and actively implementing a winter road snow removal strategy. This year, the city has secured a budget of 1.52 billion won for road snow removal, which will be used to purchase de-icing materials and equipment. By the end of this month, they plan to supply necessary deicing materials and brine to towns and districts. Beginning next month and continuing until March 15th, an emergency operations center will be operational. A communication network will also be set up with road snow removal teams to ensure readiness for any situations that may arise. Seogwipo City has established a snow removal plan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prioritizing major city roads and provincial roads to alleviate inconveniences caused by snow. 서귀포시, 겨울철 도로제설 대책 본격 추진 서귀포시가 겨울철 도로제설 대책을 마련하고 본격 추진합니다. 올해는 도로제설 관련 예산 15억 2천900만원을 확보해 제설재와 제설 장비를 구입하고 이달 말까지 읍면동에서 필요한 제설재와 염수 등을 보급할 예정입니다. 이어 다음달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상황실을 운영하고 도로 제설 담당자들과 비상연락망을 구축해 대비하기로 했습니다. 서귀포시는 시내 주요도로와 지방도 연결도로를 우선 제설하는 등 상황별 제설 추진계획을 수립해 불편을 해소해 나갈 계획입니다.
  • 2023.11.29(wed)  |  이현
  • Jeju Overhauls Water Bills for 2023
  • Jeju City is completely revamping its water bill statements starting January next year, making them more user-friendly and easier to understand for residents. This overhaul aims to simplify the water bill checking process by removing unnecessary details and adding essential information such as details on reductions. To reduce confusion over the payment deadline, the city will remove related notations and provide more detailed guidance by changing the discount details to specific breakdowns. Additionally, bills will be improved with whiter paper and larger fonts for better visibility. 제주시, 내년부터 수도요금 고지서 전면 개편 제주시가 시민들이 보기 편하고 알기 쉽도록 내년 1월부터 수도요금 고지서를 전면 개편합니다. 이번 개편은 시민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수도요금을 확인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내용은 삭제하고, 감면내역 등 필요한 정보는 새롭게 담았습니다. 또 납부마감일에 대한 혼선을 줄이기 위해 관련 표기를 삭제하고 감면내역을 상세내역으로 변경해 구체적으로 안내하게 됩니다. 이와함께 고지서 용지를 흰색으로 변경하고 활자 크기와 색상을 조정해 보다 알아보기 쉽도록 했습니다.
  • 2023.11.29(wed)  |  이현
  • Jeju Warns of Winter Heating Fire Risks
  • As winter approach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caution against the increased risk of fires caused by hea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Jeju Fire Department, in the past three years in Jeju, there have been 73 fires related to heating equipment. These incidents have resulted in 4 casualties and caused property damage amounting to 500 million won. The most common were electric heating equipment fires, accounting for 27 incidents, followed by 21 cases of wood-fired boiler fires, and 15 cases of domestic boiler fires. The causes of these fires were primarily due to negligence (53%), electrical factors (23%), and gas leaks (4%). The Fire Department noted that 46 cases, which is 64% of heating equipment fires occurred during the winter months of December through February. A fire caution notice has been issued and plans are in place to strengthen fire prevention inspections. 겨울철 난방용품 화재 위험…화재주의보 발령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난방용품 화재 위험이 커지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제주에서 발생한 난방용품 화재는 73건으로 4명이 숨지거나 다쳤고 5억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가 났습니다. 전기 난방용품 화재가 27건으로 가장 많았고 화목 보일러 화재 21건, 가정용 보일러 화재 15건으로 파악됐습니다. 화재 원인은 부주의가 53%, 전기적 요인 23%, 가스 누출은 4%였습니다. 소방본부는 난방용품 화재 가운데 64%인 46건이 12월과 2월 사이 겨울철에 집중됐다며 화재주의보를 발령하고 예방 점검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 2023.11.29(wed)  |  이현
  • Clamp Down on Mandarin Quality Control
  • With the recent favorable pricing of outdoor-grown mandarins, Jeju is intensifying its crackdown on the distribution of non-commercial grade mandarins. The Province has formed a joint inspection team to conduct crackdowns, targeting habitual offenders distributing non-commercial mandarins and major wholesale markets across the country. So far, the inspections have resulted in 86 cases being identified, with fines imposed in 11 of these cases. The Province has urged farmers and distribution organizations to actively cooperate by thoroughly sorting and blocking the distribution of non-commercial mandarins, to maintain the favorable pricing trend of mandarins. 비상품 감귤 유통 행위 단속 강화…86건 적발 최근 노지 감귤 가격이 호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제주도가 비상품 감귤 유통 행위를 강화합니다. 제주도는 합동단속반을 꾸려 비상품 감귤 유통 상습 적발 선과장과 전국 주요 도매시장을 대상으로 단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단속을 통해 모두 86건이 적발돼 이 가운데 11건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했습니다. 제주도는 감귤 가격 호조세가 안정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출하 농가와 유통 단체에 철저한 선별과 유통차단 등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 2023.11.29(wed)  |  이현
  • Jeju Expands Infertility Aid for 2024
  • To address the low birthrate issue, support for infertility treatments will be expanded starting next year. The Province has recently completed procedures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social security consultation and announced that it will expand policies related to infertility treatment from next year. As a result, the existing income criteria for treatment cost support and the limits on the number of treatments per type will be abolished. Additionally, support for egg freezing procedures will be introduced, covering up to 50% of the cost for the first treatment.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the infertility treatment support policy, Jeju Province has allocated another 1 billion won to this year's budget. 난임 시술 지원 정책 확대…소득 기준 폐지 초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내년부터 난임시술 지원이 확대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보건복지부 사회보장협의 등 절차를 완료하고 내년부터 난임 관련 정책을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당초 시술비 지원에 있던 소득 기준 제한과 시술별 횟수 제한이 폐지됩니다. 또 난자 동결 시술비 지원이 신설돼 첫 시술 비용의 최대 50%까지 지원됩니다. 제주도는 난임 시술 지원 정책 확대에 따라 관련 예산을 올해보다 10억 가량 늘려 편성했습니다.
  • 2023.11.29(wed)  |  이현
  • Workcation Visitors Choose Jeju
  • Jeju is gaining popularity as a haven for "workation," a blend of work and vacation. The Province reports that around 9,700 people, including employees from companies not based in the province, have taken part in workation programs. This figure includes participants from 16 local private office facilities that are part of a private workation voucher support project. Participants come from a variety of professions, including HD Hyundai Heavy Industries, Daesang Wellife, the National Maritime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and freelancers. Particularly noteworthy is a recent survey done by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which involved 1,000 office workers. Results pointed to Jeju as the most preferred location for workations, indicating a continuous increase in demand. The Province plans to attract 20,000 workation users next year by improving infrastructure and developing new programs. 올해 워케이션 이용자 1만 명…제주 선호도 높아 제주도가 일과 휴가를 병행하는 워케이션 성지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민간 워케이션 바우처 지원사업 운영업체인 도내 민간오피스 시설 16개소를 통해 워케이션 참여 인원을 파악한 결과 도외 기업 임직원 등 모두 9천700여 명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HD현대중공업과 대상웰라이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프리랜서 등 다양한 직업군이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직장인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도 워케이션 장소로 제주지역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제주도는 내년 워케이션 이용자 2만 명 유치를 목표로 기반 시설 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 2023.11.29(wed)  |  이현
  • Drunk Driving Reporting System
  • Drunk Driving Reporting System In the early morning hours, a police patrol car pursues a suspect vehicle. As soon as the fleeing vehicle is stopped, a field sobriety test is conducted. A man in his 30s was apprehended for driving over 20 kilometers from Jeju City to Seogwipo City while impaired, leading to the revocation of his license due to a high blood alcohol concentration. Upon receiving reports of a possible drunk driver, local police personnel were dispatched under Code Zero and detained the suspect at the scene. In the middle of the month, an impaired man in his 50s was arrested after falling asleep for several minutes in his car on a main road in Jeju City. Recently, the number of reports and apprehensions related to drunk driving in Jeju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past two months, the number of reports increased by 20 percent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and apprehensions also increased by 12 percent. This increase is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he nation's only “Drunk Driving Reporting Reward System.” Since last September in Jeju, reporting a drunk driver has resulted in a reward of 50,000 won for revocation-level offenses and 30,000 won for suspension-level offenses. However, the actual disbursement of rewards is low, accounting for only 5 percent, or 10 cases, compared to the nearly 200 apprehension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pply for the reward by the reporters themselves posed a significant barrier when compared to the amount received. Recording Kim Cheol-su / Jeju Police Agency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Division Chief In the future, we intend to proactively disburse the drunk driving reward upon the reporter's application. If you observe a suspected drunk driver, please report it to 112. There is no need to visit the police station for the application; you can also apply via email or fax. A previous drunk driving reporting reward system was discontinued due to budget constraints and frequent false alarms that created gaps in public safety, only to be reinstated after 11 years. However, with relatively low incentives for voluntary reward applications,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its reintroduction are on the rise. Todd Thacker, KCTV 전국 유일 신고포상제 활발…지급 실적은 저조 새벽 시간 순찰차량이 앞선 차를 쫓습니다. 도주 차량이 정차하자 곧바로 경찰 음주 측정이 이뤄집니다. 혈중알콜농도 면허 취소 수취로 차를 몰고 제주시부터 서귀포시까지 20킬로미터를 넘게 음주 운전한 30대가 검거됐습니다. 음주 의심 차량이 있다는 신고를 받고 관할 지역 경찰 인력이 모두 출동하는 코드 제로를 발령해 현장에서 검거했습니다. 이달 중순에도 제주시내 대로변에서 차를 세우고 수십 분 동안 잠이 든 50대 음주 운전자가 의심 신고에 의해 현행범으로 체포됐습니다. 최근 제주에서 음주 신고와 적발 건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두달 동안 신고 건수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0%, 적발 건수 역시 12% 늘었습니다. 전국 유일의 '음주운전신고포상제'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제주에서는 지난 9월부터 음주 운전을 신고할 경우 취소 수치는 5만 원, 정지는 3만원을 주는 포상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포상금 지급 실적은 적발 건수 대비 5%인 10건에 그치고 있습니다. 받는 액수보다 신고자가 직접 경찰에 포상 신청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크기 때문입니다. <씽크:김철수/제주경찰청 교통사고조사계장> 앞으로 음주운전포상금은 신고자의 신청이 있으면 적극 지급할 예정이며 음주운전 의심 차량을 발견하면 112로 꼭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찰관서에 방문해서 신청해야 한다고 알고 계신데 그렇지 않습니다. 이메일이나 팩스로도 얼마든지 신청이 가능하고.. 음주 운전 신고포상제는 예산 문제와 잦은 오인 신고 출동에 의한 치안 공백 문제로 폐지됐다가 11년 만에 부활했습니다. 하지만 자발적인 포상 신청 유인이 떨어지면서 재도입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기대보다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 2023.11.29(wed)  |  이현
  • Jeju POE Recruits for Humans Rights Body
  •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publicly recruit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Student Human Rights Participation Committee, a body for discussing measures to enhance students' rights. This recruitment is open to students in grades 4 to 10, from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schools within the province. Selection will be based on criteria including school level, region, and gender, with a goal of recruiting up to 50 members. The term for those chosen will be one year. Applications are accepted until the 6th of next month. For more details, visit the websites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Education Support Offices, and schools. 제주도교육청, 제3기 학생인권참여위원 모집 제주도교육청이 학생들의 인권 증진 방안을 논의하는 기구인 학생인권참여위원회 참여 학생을 공개 모집합니다. 신청 대상은 도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재학생입니다. 선정은 학교급과 지역, 성별 등을 고려해 50명 이내로 모집하며 임기는 1년입니다. 모집 기간은 다음달 6일까지이며 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3.11.27(mon)  |  이현
  • Police Probe for Unregistered Births
  • Police have initia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whereabouts of children who were born but have no record of birth registration. Seogwipo and Jeju City district administrations have recently requested a police investigation, stating that they are unable to determine the whereabouts of 12 children born between 2010 and 2014. These children have not been registered at birth and therefore do not have national identification numbers. The police suspect that some of these children might have been adopted internationally. They intend to conduct investigations by interviewing the parents and other relatives. '출생 미신고' 아동 10여 명 소재 불명…경찰 수사 태어났지만 출생 신고 기록이 없는 아동 소재가 파악되지 않으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양 행정시는 지난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태어난 아동 12명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는다며 최근 관할 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이들은 출생 신고가 안돼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아동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경찰은 이 가운데 일부는 해외에 입양된 것으로 파악된다며 부모와 가족 등을 상대로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2023.11.27(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