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Police Supports 24M for Crime Victims
  • The Jeju Provincial Police has provided 24 million won in scholarships and living stability funds to victims of crime. The beneficiaries include 12 victims who have faced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due to domestic violence, wage exploitation, assault, and child abuse. This year, the Police has distributed over 130 million won to 80 crime victims. 경찰, 범죄 피해자 장학금·생활안정자금 지원 제주경찰청이 범죄 피해자들에게 장학금과 생활안정자금으로 2천 4백만 원을 지원했습니다. 지원 대상은 가정폭력으로 학업에 어려움을 겪거나 임금 착취, 폭행, 그리고 아동학대를 당한 피해자 등 12명입니다. 경찰청은 올해 범죄 피해자 80명에게 1억 3천여 만원을 전달했습니다.
  • 2023.12.11(mon)  |  이현
  • Jeju's Medical Resident Shortage Worsens
  • It has been revealed that some general hospitals in the Province have failed to fill the quota for residents in certain essential medical departments. According to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recruitment of residents for the first half of the year, which was concluded on the 6th, saw only 3 applicants for 6 internal medical positions, and only 1 applicant for 2 pediatric positions. Halla Hospital, which serves as both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a trauma center, had no applicants for its emergency medicine and surgery departments, both of which were seeking one resident each. These worsening recruitment challenges reflect a shortage of personnel in essential medical departments. 도내 종합병원 '필수의료과' 잇따라 정원 미달 제주도내 종합병원이 일부 필수의료과 전공의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지난 6일 마무리된 상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내과는 3명이 지원하며 정원 6명에 미달했고 소아청소년과는 2명 모집에 1명이 응모했습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이자 권역외상센터인 한라병원도 1명씩 뽑는 응급의학과와 외과에 지원자가 없었습니다. 전공의 모집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필수의료과 인력난이 심화될 전망입니다.
  • 2023.12.11(mon)  |  이현
  • Jeju Bans Poultry Entry
  • The Province has banned the entry of poultry meat and products from North Jeolla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is measure is in response to the spread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in the mainland. Poultry entrance from areas other than Jeolla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s will only be accepted into Jeju with verification of certificate of origin declared in advance. Such products will undergo verification procedures exclusively at airports. Jeju plans to impose fines of up to 10 million won and legal action against any violators. 내일부터 전북산 가금육·생산물 반입 금지 제주특별자치도가 전북산 가금육과 생산물의 도내 반입을 금지합니다. 전남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전북 지역으로 확산된데 따른 조칩니다. 따라서 전북과 전남, 충남을 제외한 곳에서 생산 또는 가공된 가금산물은 생산지 증명서를 사전 신고하고 공항만에서 확인 절차를 밟아야 반입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행정명령 위반 사례에 대해 최고 1천만원의 과태료 부과와 함께 사법기관에 고발 조치할 방침입니다.
  • 2023.12.11(mon)  |  이현
  • Ghost Buildings : An Urban Crisis
  • Ghost Buildings : An Urban Crisis This is a commercial facility construction site in (연동) Yeon-dong, Jeju City. It was supposed to be completed last year, but only the underground framework construction has progressed, and it has been halted for three years now. The construction was stopped due to the lack of funds from the building owner. The dilapidated temporary fences are causing not only aesthetic issues but also safety concerns. INTERVIEW Yang Hee-wook / Resident in Yeon-dong It's not pleasant to look at. Stones could fly around in the wind, everything is bad. The construction should be resumed quickly. It's not good for passersby either. In this way, construction sites left abandoned for over two years have been found to be 28 in total in Jeju. Oldest construction site: Accommodation facility in Goseong-ri for 27 yrs By type, accommodation facilities were the most numerous with 17. Office buildings, retail facilities, and residential buildings each had 3. The oldest construction site is an accommodation facility in (고성리) Goseong-ri, Aewol-eup, Jeju City, which has been abandoned since its commencement in 1996, making it 27 years. The province is planning to establish a third maintenance plan for these halted construction projects and carry out administrative measures. However, since the construction projects are private properties, there are difficulties in forced disposal due to issues like securing compensation costs. Currently, the only options are to encourage voluntary demolition or to take safety measures. INTERVIEW Kim Dal-ho Kim / Representative, Province After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opinions on the maintenance plan, we will finalize the plan. In cases where self-restoration is possible, we will support them with administrative procedures. If not, we will cancel the permit and ensure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tate. In the case of long-abandoned buildings, even if construction resumes, there is a concern for safety accidents due to material aging, necessitating thorough inspections. 골조만 덩그러니…'유령 건축물' 골머리 제주시 연동의 한 업무시설 공사 현장입니다. 지난해 완공될 예정이었지만 착공된 지 3년이 지난 현재 지하 골조 공사만 진행된 채 멈춰 섰습니다. 건축주의 자금 부족 문제로 공사가 중단된 겁니다. 허름해진 가설 울타리로 인해 미관 저해는 물론 안전 사고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양희욱 / 제주시 연동> 보면 안 좋죠. 바람 불면 돌멩이라도 날라오고 모든 게 안 좋고. (공사를) 하루속히 해주면 좋죠. 지나다니는 사람 보기에도 그렇고 하니깐. 이처럼 2년 이상 공사가 중단된 상태로 방치된 건설 현장은 제주도내 모두 28곳으로 조사됐습니다. 용도별로는 숙박시설이 17곳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업무시설과 판매시설, 공동주택이 각각 3곳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가장 오래된 건설 현장은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에 있는 숙박시설로 지난 1996년 착공 이후 27년째 방치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공사 중단 건축물에 대한 3차 정비계획안을 수립하고 행정 조치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다만 건축물이 사유재산에 해당해 보상비 등의 확보 문제로 사실상 강제처분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습니다. 이에 현재로서는 자진 철거를 유도하거나 안전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 김달호 / 제주도 건축안전팀장> 정비 계획안 의견 들어온 것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에 정비 계획을 확정해서 자력 재개인 경우는 행정 절차를 이행해 지원을 해주고 그렇지 못하고 도저히 안 되는 것 같은 경우는 허가 취소하고 원상 복구하게끔… 장기 방치된 건축믈의 경우 공사를 재개하더라도 자재 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이 우려되는 만큼 철저한 점검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 2023.12.11(mon)  |  이현
  • Jeju's Builds New Wildfire Center
  • Jeju City plans to construct a new wildfire response center next year with a budget of 400 million won. The site designated for the new construction is state-owned land in A-ra 1-dong, Jeju City, manag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center will include a wildfire control system room, a garage for fire trucks, and a storage warehouse for fire fighting equipment. Jeju City expects that the construction of this wildfire response center will allow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quick response to forest fire disasters by centralizing facilities, systems, firefighting personnel, and equipment, which are currently dispersed. 제주시, 내년 '산불대응센터' 신축 추진 제주시가 내년에 사업비 4억 원을 들여 산불대응센터를 신축합니다. 신축 예정 부지는 제주시 아라1동 산림청 국유지로 산불상황 관제시스템실과 진화차량 차고지, 진화장비 보관창고 등이 조성될 예정입니다. 제주시는 산불대응센터 신축으로 기존에 분산된 시설과 시스템, 진화 인력과 장비를 한 곳으로 모아 효율적인 관리는 물론 산불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2023.12.06(wed)  |  이현
  • Jeju Launches Curator-Led Art Museum Tour
  • The Province is organizing an art museum walk with a curator for 30 residents on the 20th. This is a special educational course for residents, conducted at three locations: the Provincial Art Museum, the Lee Jung Seop Art Museum, and the Waljong(왈종) Art Museum. The course aim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art works, guided by professional curators. In particular, the Provincial Art Museum is preparing a special exhibition featuring Henri Matisse and Raoul Dufy. Registrations for this event are open until the 12th on the Lifelong Education Damoa(다모아) website. 큐레이터와 함께 하는 제주 미술관 산책 제주특별자치도가 오는 20일 도민 30명을 대상으로 큐레이터와 함께 하는 미술관 산책을 운영합니다. 도립미술관과 이중섭미술관, 왈종미술관 3곳에서 전문 큐레이터와 함께 미술작품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는 도민교육 특별과정입니다. 특히 도립미술관에서는 앙리 마티스와 라울 뒤피 특별기획전을 준비 중입니다. 접수는 오는 12일까지 평생교육다모아 홈페이지에서 이뤄집니다.
  • 2023.12.06(wed)  |  이현
  • Jeju Inflation Rate Slows to 2.5%
  • The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in the Jeju region, which had been on the rise, showed signs of slowing down last month. According to the Jeju Office of the Honam Regional Statistical Office, the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in the province last month was 2.5%, a 0.5 percentage point de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This slowdown in the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in Jeju is the first in four months since July. Nevertheless, the living cost index, comprising high-expenditure items and mirroring the average consumer's price perception, rose by 3.3%. Moreover, agricultural products experienced a notable 13.4% increase compared to last year, indicating a continued financial strain on households. 지난달 소비자물가 2.5% 올라…상승폭 둔화 오름세를 보이던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로 전월과 비교해 0.5%포인트 축소됐습니다.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된 것은 지난 7월 이후 4개월 만입니다. 다만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돼 서민들의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 상승률은 3.3%를 기록했고 농산물도 1년 전보다 13.4% 큰 폭으로 오르는 등 서민 가계 부담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2023.12.06(wed)  |  이현
  • Jeju Penalizes 34 Construction Sites
  • Jeju City has inspected construction sites for living noise and fugitive dust emissions this year, resulting in administrative actions against 34 sites for violating relevant laws. Specifically, 15 construction sites that surpassed the living noise regulation standards faced orders for noise reduction measures or suspension of specified equipment use. Additionally, fines were imposed on 15 sites for violations. From the beginning of this year to last month, about 1,570 complaints related to construction site noise, vibration, and fugitive dust were received. It was confirmed that 87% of these were related to construction site noise, while the remaining 13% were related to fugitive dust. 제주시, 생활소음·비산먼지 발생 34곳 행정처분 제주시가 올해 생활소음과 비산먼지 발생 공사 현장을 지도 점검해 관련법을 위반한 34곳에 행정처분을 내렸습니다. 특히 생활소음 규제기준을 초과한 공사장 15곳에 대해서는 소음저감 조치명령 또는 특정장비 사용중지 명령 처분이 이뤄졌습니다. 또 소음 저감대책 위반 사업장 15곳에는 과태료가 부과됐습니다. 올들어 지난달까지 접수된 공사장 소음 진동과 비산먼지 관련 민원은 1천570여 건으로 87%가 공사장 소음, 나머지 13%가 비산먼지 관련으로 확인됐습니다.
  • 2023.12.06(wed)  |  이현
  • New Radioactivity Testing Established
  • To strengthen radiation testing for agricultural and fisheries and processed foods the Province has newly established Tritium Analysis Facilities at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newly installed equipment will undergo a month-long trial run, with plans to commence full-scale inspections next year. Meanwhile, the Marine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has been actively performing radioactivity tests on marine products from local fishery cooperatives, fish farms, and village fishing zones in the province. From October, the count of water quality testing locations in Jeju's maritime region has increased from 14 to 28, effectively doubling monitoring capacity. 제주도, 삼중수소 분석장비 2대 설치 마무리 제주특별자치도가 농수산물과 가공식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 강화를 위해 해양수산연구원과 보건환경연구원에 각각 삼중수소 분석정비 설치를 마무리했습니다. 이 장비는 이달 한달간 시험 가동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적인 검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해양수산연구원은 도내 수협 위판장과 양식장, 마을 어장을 대상으로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10월부터는 제주해역 수질검사 지점을 14개소에서 28개소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 2023.12.06(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