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arded and Lost, and Newly Purchased
이현   |  
|  2023.10.06 10:08
Discarded and Lost, and Newly Purchased


Jeju City initiated the public bicycle rental system back in 2011 to promote bicycle transportation.


While it started with 131 bicycles, only a mere 36 remain.
Many have been retired due to aging, and some have vanished without a trace.


Despite years of operation, citizen usage remains notably low.
Rentals have only reached around 1,500 for this year, with an average of just 6 rentals per day.


The availability of public bicycle rental and return stations is limited, with just 11 scattered across Jeju City.
This limitation has led to practical challenges.
Moreover, these stations are often used differently from their intended purpose, lacking proper guidance and information.


Despite these challenges, Jeju City plans to acquire 90 new bicycles for the public bicycle program, each costing 1 million won.
Some criticize this decision, considering it excessive to spend such an amount on regular bicycles.

INTERVIEW
Local resident
It's quite pricey. I don't understand why they're doing this. When ordinary folks see this, they don't find it beneficial.

Also, it's important to highlight that it's not just about procuring new bicycles but also about enhancing related infrastructure and maintenance to encourage bicycle usage.

INTERVIEW
Kim Gi-hwan / Jeju councilor
For bicycles to be convenient for residents, there should be connectivity. However, with basic infrastructure and bicycle lanes yet to be established.

Jeju City explains that the cost of public bicycles has risen due to the installation of locks and rental/return systems.

Once the bicycles are ready, they aim to introduce the newly purchased public bicycles, potentially by the end of this year.





폐기되고 분실되고…또 대당 100만원 자전거 구입


제주시가 지난 2011년부터
자전거의 교통분담률을 높이기 위해 시행해 온
공공자전거 대여 시스템.

131대의 자전거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고작 36대가 남았습니다.

노후화 등으로 이미 폐기처분 됐거나
심지어 일부 자전거는 분실돼
행방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운영됐지만 시민들의 이용률은 저조합니다.

올들어 대여 건수는
지난 달 말까지 1천 500여 건에 그치고 있습니다.

하루 평균 6대 꼴입니다.

공공자전거 대여와 반납이 가능한 스테이션이
제주시 전역에 11곳에 불과한 점도
이용에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는 이유로 꼽힙니다.

게다가 스테이션이
본래 목적과 다르게 쓰이고
변경사항 등 제대로 된 안내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 같은 현실에도 제주시는 공공자전거 사업을 위해
1대당 100만 원의 비용을 들여
90대의 자전거를 새롭게 구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일부에서는
전기자전거가 아닌 일반자전거를
100만 원에 구입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인근 주민>
비싸지 너무. 근데 저런 거 왜 하는지 몰라.
저런 거는 아무 소용이 없다고 봐 우리 서민들이 봤을 때는….


또 단순 자전거 구입이 아니라
관련 인프라 확충과 정비 등을 통한
자전거 활성화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김기환 / 제주도의원>
자전거에 대한 연계성이 도민분들이 편리하기 위해서 연계가 되어야 하는데 기본적인 기반 시설이라든지 자전거 도로나 겸용도로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주시는 공공자전거의 경우
잠금장치 설치와
대여, 반납 시스템 장착 등으로
가격대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자전거 제작이 완료되면
빠르면 올해 말부터
새로 구입한 공공자전거를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