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Fisheries Cooperative Promotes Sales
  • Seongsanpo Fisheries Cooperative is organizing an on-site and online seafood consumption promotion event in the Seongsanpo area from the 1st to the 2nd of next month. Seafood will be available with discounts of up to 30%, and there will be free tastings and food stalls. Additionally, an online discount event will run on the Seongsanpo Fisheries Cooperative's website until the 3rd of the same month. 성산포수협, 수산물 소비 촉진 할인행사 개최 성산포수협이 제주산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할인행사를 개최합니다. 성산포수협은 다음 달 1일부터 2일까지 성산포항 일대에서 온오프라인 수산물 소비촉진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행사장에서는 수산물이 최대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고 무료 시식이나 다양한 먹거리 장터도 운영됩니다. 이와함께 다음달 3일까지 성산포수협몰에서 온라인 할인행사도 진행됩니다.
  • 2023.08.28(mon)  |  이현
  • Regional Care Centers to Begin Pilot in March
  • Jeju Province and the Education Department are teaming up to launch 'Community-Linked Childcare Centers' as a solution to elementary childcare challenges. These centers will run in four classrooms each at Arach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and Donghong Elementary School in Seogwipo City. The schools will operate them on weekdays and by local authorities on weekends. Jeju Province will support staffing costs, while the Education Department will provide program funding. Additionally, Jeju Province will introduce a salary scale system for workers at local child centers starting next month. 지역 연계형 돌봄센터 내년 3월 시범 운영 제주도와 도교육청의 협업으로 초등돌봄 문제 해결을 위한 가칭 '지역 연계형 돌봄센터'가 내년 3월부터 전국 최초로 시범 운영됩니다. 지역 연계형 돌봄센터는 제주시 아라초등학교와 서귀포시 동홍초등학교에서 각각 4개 교실이 운영되며 주중에는 학교가, 주말에는 지자체에서 운영하게 됩니다. 돌봄센터 운영에 따른 인건비 등을 제주도가 지원하고 교육청은 프로그램비 보조 등을 담당하게 됩니다. 한편 제주도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 등을 위해 다음달부터 호봉제를 도입합니다.
  • 2023.08.28(mon)  |  이현
  • Final Safety Checks as Beach Closure Nears
  • Jeju City is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in the final days before the beaches close on July 31st. The city uses the current workforce to prevent accident at the beaches and in the coastal water play areas. Furthermore, to ensure the safety of late-summer beachgoers, the city plans to deploy 40 safety control officers to the beaches after closure until August 15th. 해수욕장 폐장 앞두고 막바지 안전관리 강화 해수욕장이 오는 31일 폐장하는 가운데 제주시가 막바지 안전관리를 강화합니다. 현재 배치된 인력을 최대한 활용해 해수욕장과 연안해역 물놀이 구역에서의 사고예방에 만전을 기합니다. 또한 늦더위 물놀이 이용객의 안전을 위해 폐장 이후 다음달 15일까지 40명의 안전통제요원을 해수욕장에 배치해 안전관리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 2023.08.28(mon)  |  이현
  • Increased Bicycle Traffic Accidents
  • Jeju has witnessed a notable increase in bicycle traffic accidents since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Over the past five years, there have been 292 bicycle accidents in the region, resulting in four fatalities. Particularly concerning is the 32% increase in bicycle accidents last year, with 69 cases reported and two fatalities. This is the highest number of annual bicycle accidents since 2019.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attributes this spike to the relaxation of social distancing measures, which has led to more tourists exploring Jeju by bicycle, contributing to the rise in accidents. 코로나 이후 자전거 교통사고 급증…지난해 69건 자전거 교통사고가 코로나 이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제주에서는 최근 5년 간 자전거 교통사고가 292건 발생해 4명이 사망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자전거 사고건수는 69건으로 전년에 비해 32% 증가하고 사망자도 2명이나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한 해 자전거 사고건수가 60건이 넘은 것은 지난 2019년 이후 3년 만으로 도로교통공단은 거리두기 해제로 자전거 제주 일주에 나서는 관광객이 늘면서 사고도 급증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3.08.28(mon)  |  이현
  • Education Ministry Warned of Collective Action
  • Teachers have collectively announced their intention to take action on September 4th. This date holds significance as it marks the 49th day since the tragic passing of a teacher from Seoi Elementary School. The Education Ministry has responded promptly by initiating measures in light of this situation. The ministry urged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o ensure a smooth second-semester operation and informed them that taking leave on September 4 would not be possible. Furthermore, the ministry intends to conduct inspections to ensure adherence to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academic operations and duty management. Teachers are striving to secure discretionary holidays for a memorial gathering in front of the National Assembly on September 4th. 내달 4일 교사 '단체행동' 예고…교육부 제동 다음달 4일 서이초 교사 49재일 교사들이 재량휴업 등으로 단체 행동을 예고한 가운데 교육부가 제동을 걸었습니다. 교육부는 각 시도교육청에 2학기 학사 운영에 철저를 기하도록 당부하며 9월 4일 연가가 불가능하다는 방침을 통보했습니다. 그러면서 법과 원칙에 따라 학사 운영과 복무 관리가 이뤄졌는지 점검하고 대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서이초 교사 사망 이후 도심 집회를 이어가고 있는 교사들은 다음 달 4일 국회앞 추모 집회를 위해 학교마다 재량 휴업일 지정을 설득해 왔습니다.
  • 2023.08.28(mon)  |  이현
  • Education Office Boosts Radiation Checks
  • Amid Japan's initiation of the substantial release of radioactive-contaminated water into the ocean waters, Jeju's education authorities have opted to bolster the scrutiny of seafood in school meals.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OE)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seafood inspections for school meals. This change involves transitioning from conducting checks every quarter to a monthly basis to enhance the assurance of meal safety. They have also mandated the publication of radiation test results on the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s and school websites. There are four registered seafood suppliers for school meals in the province. 도교육청, 학교급식 수산물 방사능 검사 강화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가 본격 시작된 가운데 제주교육당국이 학교 급식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안전한 학교급식을 제공하기 위해 학교급식에서 사용되는 수산물 방사능 검사 횟수를 종전 분기에서 한달에 한번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또 방사능 검사 결과를 도교육청과 학교 홈페이지 공개를 의무화하고 가정통신문을 통해 수산물 원산지 표시 안내도 적극 제공할 방침입니다. 현재 도내 등록된 학교급식 수산물 공급업체는 4군데입니다.
  • 2023.08.28(mon)  |  이현
  • Top-tier Apartments Struggle with Unsold Units
  • Top-tier Apartments Struggle with Unsold Units Amidst ongoing construction, the highest subscription price for this apartment is 1.1798 billion won for a floor area of 84 square meters. With approximately 34.7 million won per 3.3 square meters, it set a record as the highest price in Jeju, garnering attention even before the subscription process began. However, recent results from the 1st and 2nd round of subscriptions revealed that out of the 204 units available, only 64 units were applied for, resulting in a large-scale undersubscription crisis. The inability of apartment subscriptions is primarily due to the high subscription prices. Over the past year, the average private apartment subscription price in Jeju was 73.2 million won per square meter, the second highest in the country following Seoul. Due to high prices, potential buyers are hesitating to purchase homes. Furthermore, the subdued sentiment in the housing market due to the slump is also influencing the situation. As a result, concerns are arising that newly constructed apartments with high subscription prices could exacerbate the problem of unsold units. INTERVIEW Ko Seong-chan / Jeju branch, Korea Association of Realtors While the subscription prices in Jeju are surpassing those in the metropolitan area, if the prices continue to not decrease like this, the issue of unsold units will accelerate further, and construction companies could also collapse like dominos. As of last June, there were 1,954 unsold homes in Jeju. With consecutive undersubscription crises and a real estate market downturn, there are expectations that the number of unsold homes could exceed 2,000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soon. 최고가 아파트도 '청약 미달'…미분양 어쩌나 건설 공사가 한창인 이 아파트의 최고 분양가는 전용면적 84㎡에 11억 7천980만원. 3.3㎡당 약 3천470만원으로 제주도내 역대 최고가를 기록하며 청약 전부터 관심을 끌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1, 2차 청약을 진행한 결과 204세대 모집에 64세대만 접수하면서 대규모 미탈 사태를 맞았습니다. 이처럼 아파트 청약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건 무엇보다 높은 분양가 때문입니다. 최근 1년간 도내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당 732만원으로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고분양가로 인해 실수요자들은 집을 살 엄두가 나지 않는 겁니다. 아울러 주택시장 침체로 매수심리가 위축된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로 인해 고분양가의 신축 아파트들이 미분양주택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 고성찬 /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지부장> 제주도의 분양가가 수도권 분양가를 능가하고 있는 실정인데 계속 이런 식으로 분양가가 낮춰지지 않는다면 미분양 사태는 더욱 가속될 것이고 건설사들도 도미노로 (도산할 수 있습니다.) 지난 6월 도내 미분양주택은 1천954호. 잇따른 청약 미달 사태와 부동산시장 불황으로 미분양주택이 사상 처음으로 2천호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 2023.08.28(mon)  |  이현
  • Jeju Symphony Orchestra Concert on the 5th
  • The Jeju Symphony Orchestra's New Concert will take place on the 5th of next month at 7:30 PM at the Jeju Arts Center. In this performance, three emerging performers?clarinetist (이성호) Lee Seong-ho, contrabassist (오성익) Oh Seung-ik, and pianist (김자연) Kim Ja-yeon?will collaborate with the Provincial Jeju Symphony Orchestra to present works, including Chopin's Piano Concerto. Furthermore, the performance will be conducted by invited guest conductor (신주용) Shin Ju-yong. Audience members can reserve their seats for free through online reservations until the 5th of next month. 도립 제주교향악단, 다음달 5일 신인음악회 개최 도립 제주교향악단의 신인음악회가 다음달 5일 저녁 7시 30분 제주아트센터에서 열립니다. 이번 공연에는 클라리넷 이성호, 콘트라베이스 오승익, 피아노 김자연 등 3명의 신인 연주가가 제주교향악단과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등을 협연합니다. 또 이번 공연은 객원지휘자로 초청된 신주용 지휘자의 지휘로 진행됩니다. 공연 관람은 다음달 5일까지 사전 온라인 예약을 통해 무료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2023.08.24(thur)  |  이현
  • Healing Festival Kicks Off at Hamdeok Beach
  • Jeju's Leisure Healing Festival will take place at HamDeok Beach, spanning for three days from the 1st of next month. Organized by Jeju City, this festival will feature various events, including a grand opening fireworks show on the first day, followed by a musical performance. Day 2 features the band (소란) Soran, while Day 3 presents Stella Jang's performance and a mesmerizing drone lighting show. Other programs will include climbing, snorkeling, transparent kayaking, surfing, and family-friendly healing programs. 제주레저힐링축제, 다음달 1일 함덕해수욕장서 개막 제주레저힐링축제가 다음달 1일일부터 사흘동안 함덕해수욕장 일원에서 열립니다. 제주시가 마련한 이번 축제에는 첫날인 다음달 1일 개막축하 불꽃쇼와 함덕 주민들이 함께한 개막뮤지컬을 시작으로 인기 뮤지션의 공연이 진행됩니다. 또 2일에는 밴드 소란, 3일은 트렐라장의 공연과 드론 라이팅쇼가 펼쳐질 예정입니다. 행사기간 클라이밍 체험과 스노클링, 투명카약, 서핑 등 수상 레저스포츠 체험 프로그램과 가족형 힐링 프로그램들이 마련됩니다.
  • 2023.08.24(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