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Removal of Problematic Students in Class
  • From now on, problematic students who excessively disrupt classes can be removed from the classroom as a disciplinary measure. The Ministry of Education will implement guidelines for protecting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these provision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eachers will be able to take measures against students who disrupt educational activities in various ways. Removal warnings will vary in level from ‘advice,’ ‘counseling’, ‘warning’, ‘disciplinary action’, and finally, ‘classroom removal.’ Furthermore, students who repeatedly disrupt educational activities will be reported and asked to be transferred by their parents. This transfer will have the students to transfer to home-based learning as a substitute for regular classroom attendance. 수업 방해 학생 퇴실 조치"…반복시 학부모 인계 이제 수업을 과도하게 방해하는 학생을 교실 밖으로 퇴실조치할 수 있게 됩니다.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고시를 시행합니다. 정부안에 따르면 교사들은 '조언'부터 '상담', '주의', '훈육', '훈계'까지 단계별로 교육활동을 방해하는 학생에 대해 조치할 수 있으며 퇴실 조치도 포함됩니다. 또 분리 조치를 받은 학생이 반복해 교육활동을 방해할 경우 학부모에 인계해 정규 수업 대신 가정학습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도 마련됐습니다.
  • 2023.09.04(mon)  |  이현
  • Jeju Safeguards School’s Educational Activities
  • Jeju Safeguards School’s Educational Activities The superintendent of the Jeju education office, (김광수) Kim Kwang-soo, has announced comprehensive measures to protect educational activities. The core of this plan is that school complaints will be addressed by institutions rather than individual teaching staff. Especially distinct from the government's plan, the complaint response team will be operated with a focus on vice principals. Except for general complaints like student advancement or grades, vice principals, rather than homeroom teachers, will handle the entire process from complaint receipt to resolution. INTERVIEW Kim Kwang-soo / Superintendent of Jeju education office First, to prevent infringements on educational activities, we will establish a complaint response team composed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improve the system so that complaints are addressed by institutions rather than individual teaching staff, and operated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school principal. Preventive measures against violations of educational authority will also be strengthened. To address complaints unrelated to curriculum activities, phones with recording features will be provided. Furthermore, in case teachers are involved in lawsuits, support of 5 million won per person for legal fees will be provided, and the coverage of liability insurance for teachers during educational activities will be expanded. To aid the recovery of teachers affected by violations of educational authority, support for mental health treatment and medication expenses will be provided within a million-won range. Additionally, for complainants visiting schools directly, a plan to station personnel in cooperation with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is under consider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eachers, the safe number service will be expanded to all teachers. Although the measures from the Jeju education authority appear to significantly accommodate the demands of temporary workers at schools, There is a possibility of backlash as the measures were announced without input from school vice principals, who play a central role in handling complaints. INTERVIEW Kim Kwang-soo / Superintendent of Jeju education office Of course, I need to consult with school vice principals on this aspect as well. As time is pressing now, we need to hold a press conference within this month. I haven't met them yet, but they are the ones I need to consult with. "악성민원 교권 보호, 교감 중심으로"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이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종합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학교 민원 처리를 교직원 개인이 아닌 기관이 대응하는 방식입니다. 특히 정부 대책과 눈에 띠게 다른 점은 민원대응팀이 교감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겁니다. 학생 진학이나 성적 등 일반적인 민원을 제외하면 담임 교사를 거치지 않고 교감이 민원 접수부터 처리를 맡아 처리하게 됩니다. [김광수 / 제주도교육감 ] 우선 교육활동 침해 행위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급 학교의 관리자로 구성된 민원대응팀을 구성 민원 처리는 교직원 개개인이 아닌 기관이 대응하는 체계로 개선하고 학교장 책임하에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교권 침해 예방 대책도 강화됩니다. 교과 활동과 관련 없는 민원에 대응하기 위해 녹음 기능이 있는 전화기로 교체합니다. 또 교사들이 소송에 휘말릴 경우 1인당 5백만원의 소송비를 지원하고 교육활동 중에 발생하는 교원들의 배상책임보험 보장 범위도 확대합니다. 교권 피해 교사들의 회복을 돕기 위해 백만원 범위 안에서 정신 건강 치료비와 약제비도 지원됩니다. 이 밖에도 학교를 직접 찾는 민원인에 대해 학교 지킴이 외에 자치경찰단과 협의해 인력을 상주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교사들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안심번호 서비스는 모든 교원들에게 확대할 방침입니다. 이번 제주교육당국의 대책이 교육공무직들의 요구를 대폭 수용한 것으로 보이지만 민원 창구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된 학교 교감들과의 의견 수렴 없이 발표되면서 반발 가능성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수 / 제주도교육감 ] 물론 이 부분도 제가 교감 선생님들하고 협의를 해야 됩니다. 앞으로 지금 시간이 급박하다 보니까 이달 내로 기자회견이 돼야 된다고 해서 제가 지금 안 만나본 선생님들이 교감 선생님입니다. 김광수 교육감은 학생인권조례와 관련해 교육활동 보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독소조항은 없다면서도 지나치게 학생들의 권리만 담겨있다며 교사들에 대한 존중하는 자세 등 학생 책임을 보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 2023.09.04(mon)  |  이현
  • Enforcement of Airport Bus-Only Lange Resumes
  • Starting from next month on the 1st, Jeju City will resume monitoring the exclusive bus lane on the airport road. This decision comes as a result of the full opening of the underground passage for airport access. The monitoring will be enforced immediately 24 hours a day on two specific sections: a 0.8 km stretch on the airport road, and a 2.7 km segment on the central road from Gwangyang Intersection to Ara Elementary School. Only buses and taxis are permitted to use the bus lane; regular vehicles are restricted from entering. Violators will be fined a maximum penalty of 60,000 won. 공항로 버스전용차로 다음 달 1일 단속 재개 제주시가 공항 진출입로 지하차도가 완전 개통됨에 따라 9월부터 공항로 버스전용차로 단속을 재개합니다. 단속 구간은 공항로 0.8km 구간과 광양사거리부터 아라초등학교까지 중앙로 구간 2.7km로 24시간 즉시 단속을 실시합니다. 버스전용차로는 버스와 택시 등을 제외한 일반차량은 통행이 제한되며 위반할 경우 최고 6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2023.08.30(wed)  |  이현
  • Jeju Mackerel's First Export to Malaysia
  • Amidst the declining seafood consumption due to the release of contaminated water from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in Japan, Jeju's seafood exports are gaining momentum. The Jeju Fisheries Export Association has exported 26 tons of Jeju mackerel to Malaysia from Hanim Port. This marks the first time that Jeju mackerel has been exported to Malaysia, and it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alleviating the spread of stagnation in seafood consumption following the Fukushima contamination issue. The association plans to diversify its export destinations by expanding the range of exported seafood products, including mackerel, hairtail, and flatfish, and exploring markets in countries such as Japan, Vietnam, and China. 제주 고등어 말레이시아 '첫 수출'…소비 확대 기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수산물 소비가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산 수산물이 해외 수출길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제주수산물수출협회는 한림항에서 제주산 고등어 26톤을 말레이시아로 수출했습니다. 제주 고등어가 말레이시아로 수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침체된 수산물 소비 확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협회는 고등어와 전갱이, 방어 등 수산물 수출 품목을 확대하는 동시에 일본과 베트남, 중국 등으로 수출국 또한 다변화할 방침입니다.
  • 2023.08.30(wed)  |  이현
  • Restaurants Caught with False Origin Labels
  • With Chuseok holiday nearing, multiple restaurants have been caught violating food origin labeling regulations. The Jeju branch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Quality Management conducted inspections from June to mid-August, resulting in the discovery of 6 restaurants violating food origin labeling regulations. Among these, 5 restaurants, including 2 specialized in black pork falsely labeled foreign pork as locally sourced and have faced criminal charges. The remaining restaurants were fined. The Jeju branch has observed a growing incidence of misleading food origin labeling, reporting 12 cases this year, marking an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In anticipation of Chuseok, inspections will be intensified. 원산지 허위표시 음식점 잇따라 적발…"단속 강화" 추석을 앞두고 식품 원산지 표시를 위반한 음식점들이 잇따라 적발됐습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은 지난 6월부터 8월 중순까지 단속을 벌여 원산지 표시 위반 음식점 6곳을 적발했습니다. 이 가운데 외국산 돼지고기를 제주산으로 표기한 흑돼지 전문점 2곳을 포함한 5곳은 형사 입건됐고 나머지 한 곳에는 과태료가 부과됐습니다. 제주지원은 올해 원산지 허위 표시 위반은 12건으로 지난해보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추석을 대비해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3.08.30(wed)  |  이현
  • Seogwipo Opens Cooperative Clinic in October
  • The Seogwipo City 365 Civilian-Government Cooperation Medical Center, a first of its kind in the country, will officially begin operation from October. Seogwipo City has announced that Dr. (박영준) Park Young-joon, an orthopedic specialist, has been selected as the operator of the Seogwipo City Civilian-Government Cooperation Medical Center. The center is set to open in October. Dr. Park currently operates an orthopedic clinic in Seoul and has held positions such as a professor at the National (경상) Kyungsang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director of (원광) Wonkwang Comprehensive Hospital. With the opening of the Seogwipo City Civilian-Government Cooperation Medical Center, there are expectations that medical accessibility will improve 365 days a year, even in medically underserved areas such as towns and rural regions. 서귀포시 민관협력의원 10월 개원…의사 선정 전국 최초 서귀포시 365 민관협력의원이 10월부터 본격 운영됩니다. 서귀포시는 귀포시 민관협력의원 운영자로 박영준 정형외과 전문의가 최종 선정돼 10월에 개원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박 원장은 서울에서 정형외과의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립경상대 의과대학 교수와 원광종합병원 병원장 등을 지냈습니다. 이번에 서귀포시 민관협력 의원이 개원하면 의료취약지역인 읍,면지역에서도 365일 의료접근성이 개선될 전망입니다.
  • 2023.08.30(wed)  |  이현
  • Chuseok Discount for Local Currency
  • With Chuseok approaching, the 'Tamnanunjeon' discount policy will be temporarily extended. Jeju Island aims to boost private consumption by expanding the list of participating franchise stores, enhancing local currency benefits by 7% ahead of Chuseok. The scale of this extension amounts to a total of 12.7 billion won, combining national and local funds. Once the budget is exhausted, the discount policy will be discontinued. Meanwhile, the current on-site discounts ranging from 5% to 10% at partner stores are nearing budget exhaustion, potentially leading to their discontinuation within a month. 추석 앞두고 탐나는전 할인 정책 한시적 확대 탐나는전 할인 정책이 한시적으로 확대됩니다. 제주도는 민간 소비 활성화 차원에서 기존 가맹점 할인 정책에 더해 추석 전에 탐나는전 충전에 따른 할인혜택을 7%로 늘립니다. 규모는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127억 원이며 예산이 소진되면 할인 정책도 중단됩니다. 한편, 현재 진행중인 가맹점 5~10% 현장 할인도 예산이 거의 소진되고 있어 빠르면 한달 안에 중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023.08.30(wed)  |  이현
  • 3 Month Support for Children's Health
  • For 3 months, the Province is offering one-time support of 50,000 won per month for health and cultural experiential activities for children aged 8 to under 10. The support will be scheduled from October to December and was initiated by Jeju Province initially for all children, but it has been modified due to the decision of the Social Security Committe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from the 4th to December 15th through local community centers and the provincial website. Starting October 4th, the support will be provided through the local currency ‘Tamnanunjeon.’ Funds can be used at 644 affiliated businesses, including sports centers, sports-related academies, gymnasiums, cinemas, cultural facilities, bookstores and more. 아동건강체험활동비 3개월간 한시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8살 이상 10살 미만의 아동에게 월 5만원의 건강문화체험활동비를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한시적으로 지원합니다. 이번 한시적 지원은 당초 모든 아동에게 지원하려던 제주도의 계획이 보건복지부의 사회보장심의위원회에서 불수용되면서 내려진 조치입니다. 접수는 오는 4일부터 12월 15일까지 읍면동 주민센터와 제주도 홈페이지를 통해 이뤄지며 10월 4일부터 지역화폐인 탐나는전으로 지급됩니다. 지급된 정책수당은 스포츠센터와 운동 관련 학원, 체육관, 영화관, 문화시설, 서점 등 644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2023.08.30(wed)  |  이현
  • Chuseok: Jeju Tickets in Short Supply
  • Chuseok: Jeju Tickets in Short Supply This is an airline ticket reservation site. From the day before the Chuseok holiday, September 27th, until Chuseok day on the 29th, all flight tickets from Gimpo to Jeju have been sold out. On the day after Chuseok, the 30th, there are some seats, but due to high demand, prices range from 110,000 won up to 180,000 won. A month before the Chuseok holiday, flight tickets have become scarce due to an increase in demand from both travelers returning home and tourists. Additionally, as the government considers designating October 2nd, a weekday between the Chuseok holiday and National Foundation Day, as a temporary holiday, obtaining flight tickets to Jeju has become even more difficult. Expectations for deploying temporary flights are not as high as in previous years. Major airlines are planning to increase capacity, but low-cost airlines have already deployed a large number of aircraft on profitable international routes, leaving no room for temporary flights. Recording Industry insider Because the government extended the holiday period for Chuseok, most flights are already booked. It's tough to find temporary flights for domestic routes now that international flights are resuming. The demand for Chuseok holiday flight tickets remains high despite a decrease in domestic flights to and from Jeju. Islanders, meanwhile, are facing yet more inconveniences while traveling to and from other regions for one of the biggest national holidays of the year. 추석 연휴 제주행 항공권 '하늘의 별따기' 항공권 예매 사이트입니다. 추석 연휴 전날인 9월 27일부터 추석 당일인 29일까지 김포에서 제주로 가는 모든 항공권이 매진됐습니다. 추석 다음날인 30일에는 항공편이 남아있지만 좌석 수요가 많아 가격이 최저 11만원대에서 최고 18만원대에 이릅니다. 추석 연휴 한 달 전부터 항공권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건데 귀성객과 함께 관광 수요 증가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아울러 정부가 추석 연휴와 개천절 사이 평일인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제주행 비행기표 구하기는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예년과 달리 임시 항공편 투입도 크게 기대하긴 힘든 상황입니다. 대형 항공사가 일부 증편을 준비하고 있지만 저비용 항공사들은 이미 수익성이 높은 국제선에 대거 항공기를 투입해 임시편을 투입할 여력이 없습니다. <씽크 : 항공업계 관계자> 정부에서 추진하는 임시 공휴일로 인해 휴일 수가 늘어나면서 추석 명절 때 예약률은 대부분 만석인 상황입니다. 국제선 항공기가 운항되면서 국내선에는 특별기 투입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제주 기점 국내선 항공편이 감소한 가운데 추석 연휴 항공권 수요는 여전해 다른 지역을 오고 가야 하는 도민들의 부담과 불편만 가중될 수 밖에 없게 됐습니다.
  • 2023.08.30(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