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Gears Up Price Management for Holidays
  • Jeju Island has initiated price management measures in anticipation of the upcoming Chuseok holiday season. The province has declared a special action period until the 3rd of the next month to boost supply, which includes ramping up the production of Jeju pork and Hanwoo beef. Additionally, there are plans to establish a price management inspection team and broaden the coverage of the basket price survey. While the average price of Chuseok gifts for individuals in their 20s was 3.4% lower than the previous year as of the end of last month, it i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the growing demand for Chuseok. 제주도, 추석 앞두고 물가 관리 강화 추석 명절을 앞두고 제주도가 물가 관리에 들어갔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 달 3일까지를 특별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제주산 돼지고기와 한우 도축 물량 확대 등 성수품 공급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물가 관리 점검반을 운영해 장바구니 물가 조사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한편, 지난달 말 기준으로 20대 추석 성수품 평균 가격은 전년 대비 3.4% 낮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추석 수요가 늘면서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2023.09.07(thur)  |  이현
  • Antibiotic-Resistant Infections Spread Among Elderly
  • Jeju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warns of a steady increase in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known as CRE infections, particularly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region. CRE infections had the second-highest reported cases among legal communicable diseases, excluding COVID-19. They show a steady five-year Increase Especially notable is the high proportion among those aged 70 and above, accounting for 71% of all infections in the past three years. This particular strain, when it infects the gut and carries enzymes capable of directly breaking down antibiotics, presents significant challenges in terms of treatment. 고령자 중심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 증가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카바페넴 내성 장내 세균속균종 감염증 발생이 도내 고령층 위주로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 세균속균종 감염증은 지난해 기준으로 코로나19를 제외한 법정감염병 가운데 두 번째로 신고가 많았으며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70살 이상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최근 3년간 전체 감염자의 71%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 균종은 항생제를 직접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지난 장내 세균으로 감염될 경우 각종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2023.09.07(thur)  |  이현
  • Height Restrictions Eased at Historic Sites
  • Height restrictions on historic sites within Jeju Island will be relieved to some extent. Jeju World Heritage Center announced this arbitration proposal on the 6th through an administrative notice. Six sites are being considered for adjustments, including Jeju (삼성혈) Samseonghyeol, Jeju-mok Government Office, (항파두리) Hangpaduri, (고산리) Gosanriyujeok, (삼양동) Samyangdong remains, and Seogwipo’s (김정희) Kim Jung-hee Exile Site. In the case of (삼성혈) Samseonghyeol and Jeju-Mok Government Office, height restrictions, including roof heights, within a 100m to 200m radius of the historical sites, have been eased in line with urban planning regulations. Jeju Island plans to gather public input until the 25th and will then finalize the announcement following deliberation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삼성혈 등 사적 6곳 주변 고도제한 완화 제주도내 사적 주변에 대한 건축 행위 고도 제한이 일부 완화됩니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조정안을 지난 6일 행정 예고했습니다. 조정 대상은 제주 삼성혈과 제주목 관아, 항파두리, 고산리 유적, 삼양동 유적, 서귀포 김정희 유배지 등 모두 6곳입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삼성혈과 제주목 관아의 경우 유적지로부터 반경 100m에서 200m 지역은 지붕 높이 등 고도 제한 설정이 도시계획조례에 따르도록 완화됐습니다. 제주도는 오는 25일까지 도민 의견 수렴을 받고 문화재청 심의를 거쳐 최종 고시할 예정입니다.
  • 2023.09.07(thur)  |  이현
  • Chinese Cruises Return, Economic Impact Limited
  • Chinese Cruises Return, Economic Impact Limited On the last day of August, the Blue Dream Star, which departed from Shanghai, China, arrived at Jeju Port. There was a lot of interest in the arrival of this particular cruise ship. Nearly six and a half years ago, the Chinese government, in retaliation for South Korea's installation of a missile defense system, placed a ban on Chinese group tourism to Korea. So far, though, any expected windfalls for the local economy have fallen short. The itinerary was centered around tourist spots like (용두암) Yongduam Rock and downtown duty-free shops, but local business districts saw little effect from the resumption of Chinese cruises. INTERVIEW Kim Seon-ae / Director, Chilseong-ro Shopping Mall Promotion Cooperative In reality, our local business district is the closest to the pier where cruise tourists disembark. Despite this, there has been no influx and no impact at all here. We have devised measures such as refund counters and discounts for local shops, but if foot traffic doesn't come this way, it's all in vain. Even the short duration of their stay on the island proved problematic. In the case of the Blue Dream Star, although it stayed in Jeju for about a day due to a nearby typhoon, the originally scheduled time in port was 8 hours. After immigration procedures, the originally planned sightseeing time in Jeju was just around six hours. This was problematic in terms of giving visitors enough time to shop. Moreover, the scheduled evening departure cut into what would otherwise be when people spend the most money. The issue is that most cruise ship port times for Jeju are only 8 hours, resulting in restricted tourism itineraries. Recording Woo Young-mae / CEO, Cruise tour package travel agency Since passengers have only about 6 hours on land (off the cruise), extending the stay duration to allow for around 10 hours in Jeju seems necessary. Nowadays, Chinese guests don't carry much cash. In China, everything is done through payment systems, so introducing such systems in Jeju is crucial. In response, the province is giving docking priority to cruise ships with longer port times, encouraging extended durations of stay for cruise tourists. However, for the resumption of cruise tourism to lead to local economic windfalls, efforts to reduce immigration processing times and developing tailored programs for cruise tourists will be key. 中 크루즈 재개… 면세점만 '반색' 중국 상하이에서 출발해 지난달 31일 제주항에 입항한 블루드림스타호. 사드 보복 조치로 금지됐던 중국인의 한국행 단체관광이 6년 5개월 만에 허용된 이후 처음 들어온 크루즈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기대를 모았던 지역경제 파급 효과는 미비했습니다. 일정이 용두암 등 일부 관광지와 시내면세점을 중심으로 짜여 지역상권은 크루즈 재개 효과를 체감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 김선애 / 칠성로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 이사장> 사실 저희 지역 상권이 크루즈 관광객 내리는 부두에서 제일 가까운 상권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여기에 유입이 안 되고 체감이 전혀 안 되고 있습니다. 상권에서는 환급 창구와 지역 상점가 할인 등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쪽으로 발길 유입이 안 되면 전혀 소용없는 일이 돼서… 짧은 체류시간도 문제입니다. 블루드림스타호의 경우 태풍 영향으로 하루 가량 제주에 머물렀지만 원래 예정됐던 기항시간은 8시간이었습니다. 출입국 절차 등을 감안하면 당초 제주지역 여행 시간은 대여섯시간에 불과했습니다. 돈을 쓸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데다가 정작 소비력이 가장 높은 심야시간대에는 제주를 떠나는 일정이었던 겁니다. 문제는 제주로 들어오는 크루즈 대부분의 기항 시간이 8시간에 불과해 관광 일정이 제한적이라는 점입니다. <씽크 : 우영매 / 크루즈 관광상품 여행사 대표> 손님이 (크루즈에서) 내리는 시간을 빼면 6시간 밖에 없기 때문에 제주도에서 10시간을 사용할 수 있게 체류시간을 늘리는 게 필요할 것 같아요. 요즘은 중국 손님들이 현찰을 갖고 다니지 않아요. 중국에선 모든 게 시스템으로 돼있어서 제주도에 결제 시스템 도입을 최대한 빨리하는 게… 제주도는 크루즈 관광객의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해 기항 시간이 긴 크루즈에 선석을 우선 배정하는 등의 방안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크루즈 관광 재개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기 위해선 적극적인 기항지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수속시간 단축 등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 2023.09.07(thur)  |  이현
  • Jeju Apartment Prices Decrease by 0.04%
  • While apartment prices are on the rise nationwide, the scenario in Jeju presents a stark contrast, with prices persistently declining. According to the Korea Real Estate Institute, the average apartment transaction price in the fourth week of last month in the region experienced a decrease of 0.04%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The apartment rental prices also declined, dropping by 0.02%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On the other hand, nationwide apartment transaction prices have been upward since returning to a rising trajectory in mid-July. The real estate industry attributes the decrease in apartment prices in Jeju to the sluggish housing market due to the aftermath of higher interest rates, which has contributed to a lack of revived buying sentiment. 8월 마지막 주 제주 아파트 가격 0.04% 하락 전국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제주지역은 하락세를 지속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넷째주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04% 하락했습니다. 아파트 전세가격도 전주 대비 0.02% 떨어지면서 하락세를 유지했습니다. 반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7월 중순 상승세로 돌아선 뒤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부동산 업계는 고금리 여파로 인한 주택시장 침체로 매수심리가 살아나지 않으면서 아파트값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3.09.04(mon)  |  이현
  • Delivery App Surpasses 3 Bil in Sales
  • The public-private cooperative local delivery app (먹깨비) 'Meoggaebi' in has achieved sales exceeding 3 billion KRW. According to the Provincial Economic Promotion Agency, the app, launched in December of last year, has achieved this sales milestone over 8 months with a cumulative order count of 120,000. Currently, the app is gaining popularity due to various benefits such as a 5,000 KRW discount on the first order, a 3,000 KRW weekend discount, and up to 10% discount for payment with (탐라) 'Tamna Card'. Starting from September 28th to October 1st, during the Chuseok holiday period, a 4,000 KRW discount coupon event will be hel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until the budget is exhausted. (먹깨비) 'Meoggaebi' is a public-private cooperative delivery app with the lowest domestic order mediation fee of 1.5%. It does not charge separate admission or advertising fees, making it an affordable option for users. 민관협력형 배달앱 '먹깨비' 누적 매출 30억 돌파 제주특별자치도의 민관협력형 배달앱인 '먹깨비'가 매출 3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제주도경제통상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출시한 이후 8개월동안 누적 주문 수 12만건에 이같은 매출액을 달성했습니다. 현재 첫 주문 5천원 할인과 주말 3천원 할인, 탐나는전 결제 최대 10%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이 더해지면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번 추석기간인 9월 28일부터 10월 1일까지 4천원 할인 쿠폰 이벤트가 예산 소진때까지 선착순으로 진행됩니다. '먹깨비'는 국내 최저의 주문 중개 수수료 1.5%로 이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입점비나 광고료가 없는 민관협력형 공공 배달앱니다.
  • 2023.09.04(mon)  |  이현
  • Jeju Awarded for Gender Equality Culture
  • During the evaluation carried out as a component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Gender Equality Week, the Province has been honored with the Presidential Commendation. During this evaluation, Jeju achieved high score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gender equality policy framework, recognition as a female-friendly city, efforts in preven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consistently ranking high in the regional gender equality index for five consecutive years. Gender Equality Week, from September 1st, when Korea's inaugural Declaration of Women's Rights was proclaimed, has been officially established as a statutory holiday to foster balanced growth and harmony between genders. 제주도, 양성평등 문화 확산 공로 '대통령 표창' 제주특별자치도가 여성가족부의 양성평등주간 행사에 따른 평가에서 지방자치단체로는 유일하게 대통령 표창을 받게 됐습니다. 이번 평가에서 제주형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비롯해 여성친화도시와 여성폭력방지 우수지차체 선정, 지역성평등지수의 5년 연속 상위등급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양성평등주간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이 발표된 9월 1일을 법정기념일로 제정하면서 일주일간 남성과 여성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 2023.09.04(mon)  |  이현
  • 2nd National English Listening Assessments Held
  • The English listening evalu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imed at both levels, will commence on the 5th with 1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tend until the 14th, concluding with 3rd-grade high school students. This assessment, conducted to enhance students' English listening abilities, will be administered by 16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nationwide, including the Jeju region. The listening assessment broadcasts are scheduled to air on EBS FM Radio from 11:00 AM for approximately 20 minutes. 제2회 중,고등학생 영어듣기능력평가 시행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어듣기 능력평가가 오는 5일 중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14일 고등학교 3학년까지 진행됩니다. 학생들의 영어듣기능력 신장을 위해 실시하는 이 평가는 제주지역을 비롯해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에서 실시됩니다. 듣기평가 방송은 오전 11시부터 20분 내외로 EBS FM 라디오를 통해 송출될 예정입니다.
  • 2023.09.04(mon)  |  이현
  • Reward System for Reporting Drunk Driving
  • After ten years, rewarding individuals for reporting drunk driving cases is being reintroduced.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declared that the trial period for the reward system will occur from the 11th of the month until December 31st. The reporting is limited to cases of simple drunk driving, and each individual is restricted to making up to five reports annually. The reward amount will vary based on enforcement actions, from suspension worth an award of 30,000 won, and cancellation worth an award of 50,000 won. In response to drunk driving reports, the Police Agency and local police units will collaborate, operating during daytime working hours only. 음주운전 신고포상제' 오는 11일부터 시행 음주운전 신고포상제도가 10여 년만에 부활됩니다. 제주경찰청은 오는 1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음주운전 신고포상제를 시범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신고 유형은 단순 음주운전에만 한정되며 신고 횟수도 1인당 연간 5회로 제한됩니다. 신고 포상금은 단속 수치에 따라 정지는 3만원, 취소는 5만 원입니다. 음주운전 신고 출동은 제주경찰청과 자치경찰단이 공조하며 자치경찰은 주간업무시간에만 활동할 예정입니다.
  • 2023.09.04(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