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dam Heritage Being Lost to Development
Sewer construction is in full swing among these fields.
Amid this excavation work, broken stone walls are scattered around the heavy machinery.
Once these stone walls are demolished, they are rarely rebuilt.
INTERVIEW
Lee Ae-ja/ Jeju City, Gujwa-eup
As cars pass through here, they just crush the stones, or they take the stones away. That's why there are fewer stones now.
Rapid changes in the agricultural landscape are also a threat to these stone walls.
Another reason for the destruction of stone walls is the rapid expansion of greenhouses to overcome the natural environment.
INTERVIEW
Moon Gyeong-don / Resident of Hallim-eup, Jeju City
When people from outside come here to buy land, they tear down the stone walls that are 1 or 2 meters tall.
Jeju's stone walls, which have been around since before the Goryeo Dynasty, can be seen in various states of disrepair around the area.
They are being torn down to make way for roads, buildings, and land consolidation to make life more convenient for people.
Cement blocks and concrete have filled the void left by the disappearing stone walls.
The cement-filled stone walls, which were reinforced for strength, now block the wind.
A thorough evaluation of the situation is still pending, however.
Only faint remnants of the vanishing Jeju stone walls can be quickly detected via satellite imagery.
INTERVIEW
Go Sung-bo / Professor, Jeju National University
In 2001 and 2005, we noticed differences through satellite images. After field verification, the average annual damage rate to stone walls came out to be 2.9%.
In 2013, Jeju stone walls were designated as a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and just one year later, they were recognized as a world agricultural heritage. This recognition acknowledged their beauty and value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Despite this, Jeju stone walls are quickly losing their original form due to unchecked development and neglect.
난개발 속 점차 원형 잃어가는 밭담
밭들 사이로 하수도 공사가 한창입니다.
땅을 파내는 동안 중장비 주변에는 허물어진 돌담들이 널려 있습니다.
토지의 경계 역할을 했던 돌담은
한번 허물어지면
다시 세워지는 경우가 적습니다.
[인터뷰 이애자/ 제주시 구좌읍 ]
차들이 여기 다니면서 그냥 돌도 눌러버리고 또 돌을 싣고 가는지 어떻게 하는지 돌이 많이 없어졌어요.
빠른 농업 환경의 변화도 돌담을 위협하는 요소입니다.
자연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설하우스의 급격한 보급은
돌담을 허물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가 됐습니다.
[인터뷰 문경돈 / 제주시 한림읍 ]
외지분들이 여기 와서 토지를 사들이게 되면 한 1미터, 2미터 되는 잣담들을 다 허물어버린다.
고려시대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제주 돌담이
원래 모습을 잃어가는 사례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도로 개설이나 건축,
농지 정리까지 사람들의 편리를 위해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돌담이 사라진 자리에는 시멘트 블럭과 콘크리트가 채워갔습니다.
더욱 견고하게 만들려 시멘트로 틈새를 발라버린 돌담은
더이상 바람이 통하지 않는 바람의 길이 됐습니다.
다양한 이유로 오랜 시간 제주를 지켜온 돌담들이 사라지고 있지만
정확한 실태 파악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인공위성 사진 등을 통해 빠르게 모습을 감춰가는
제주 돌담의 흔적만을 가늠할 뿐입니다.
[인터뷰 고성보 / 제주대 교수 ]
2001년과 2005년도에 인공위성 사진을 통해 차이를 본 거거든요.
현장 확인도 거쳐서 나온 (돌담) 평균 훼손율이 연간 2.9%되니까...
지난 2013년 국가중요 농업유산으로 지정 된 이듬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돼
국가를 넘어 세계 속에서도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인정받고 있지만
난개발과 무관심 속에
제주밭담은 제 모습을 빠르게 잃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