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llage-School-Children United in Festival
Children draw pictures on wood with their small fingers.
They enthusiastically add colors to decorate.
They are making mobile phone stands using waste wood.
Today, it's not the school teachers but the village residents who are becoming temporary teachers for the children.
INTERVIEW
Lee Ye-jin / 3rd Grader at Daejeong Elementary School
It was amazing to learn that we can make mobile phone stands from useless waste wood.
INTERVIEW
Kim Ji-heon / 3rd Grader at Daejeong Elementary School
It was so much fun, and it was interesting that we could use things that couldn't be used.
The (몽생이) Mongsaengi Festival was held for all students at (대정) Daejeong Elementary School.
Not only the school but also the Daejeong-eup village participated in planning the festival.
In particular, the social cooperative formed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recently engaged in vigorous activities, prepared an experiential program in the woodworking class.
By utilizing discarded wood in the village to create practical items, they not only teach the children the meaning of recycling but also increase the joy of the residents.
INTERVIEW
Chae Cheol-ho / Member of Daejeong-eup Village Management Social Cooperative
We emphasize upcycling with waste wood to show children that wood can also be recycled.
Children participate in a more diverse range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one week, moving away from textbook-centered classes and enjoying a productive time.
Above all, what makes this festival meaningful is that the village residents and children have come together to create an educational community.
INTERVIEW
Seo Yun-hee / Teacher at Daejeong Elementary School
I think it's meaningful because during this festival, children have become closer to the village and have had the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village teachers.
A festival where the village, children, and the school unite.
Thanks to the power of communication and community activation, the village is filled with vitality.
마을-학교-아이들이 하나 된 몽생이 축제
아이들이 고사리 손으로 나무 위에 그림을 그립니다.
알록달록 정성스레 색을 더하며 꾸미기에 열중입니다.
폐목재를 활용해 휴대전화 거치대를 만드는 겁니다.
오늘은 학교 선생님이 아닌
마을 주민들이 일일 교사가 돼 아이들을 지도합니다.
<인터뷰 : 이예진 / 대정초 3학년>
필요 없는 폐목재로 휴대전화 거치대를 만들 수 있다는게 신기했어요.
<인터뷰 : 김지헌 / 대정초 3학년>
너무 재밌었고 사용할 수 없는 걸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재밋었어요.
대정초등학교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열린 몽생이 축제.
학교뿐 아니라 대정읍 마을이 동참해 축제를 기획했습니다.
특히,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탄생한
대정읍 마을 만들기 사회적 협동조합은
최근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는 목공반에서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했습니다.
마을에 버려진 나무를 활용해
실용적인 물건을 만들어 내고
아이들에게 재활용의 의미를 알려주며
주민의 기쁨도 배가 됩니다.
<인터뷰 : 채철호 / 대정읍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원>
폐목재를 활용한 업사이클링을 아이들한테
나무도 재활용 될 수 있다, 이런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교과서 중심 수업에서 벗어나
한 주 동안
보다 다채로운 교육 활동에 참여하며 유익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축제가 의미를 갖는 건
마을 주민들과 아이들이 함께하며 교육 공동체를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 서윤희 / 대정초 교사>
아이들이 이번 축제기간에는 마을과 좀 더 가까워지고
마을 선생님들과 소통하는 기회가 된 것 같아서 의미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을과 아이들, 학교가 하나 된 축제의 장.
소통과 공동체 활성화의 힘으로 마을에 활력이 가득차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