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 Are Hallasan’s Azaleas?
This is the (영실) Yeongsil Trail on Hallasan Mountain, around 1,700 meters above sea level.
The azaleas, which provide a light pink landscape for weary hikers, have vanished this year.
The leaves have sprouted, but the buds have not bloomed at all.
Some flowers did bloom, but their beauty was short-lived.
Visitors who came to Hallasan Mountain to see the azaleas, which bloom only in June, have been disappointed by the barren mountainside. It’s scenery that’s more reminiscent of autumn.
Recording
Kim Sun-hee, Heo Kyung-sook / Visitors from Chuncheon, Gangwon Province
One of my bucket list items was to see the flaming azaleas at Yeongsil, so I came after waiting and waiting, but a few days ago I searched and found that the azaleas had dried up and were not visible at all. I came here with hope, but there are no azaleas.
The 38,000 wild azaleas in this area usually bloom in early June, adorning the trails and fields.
However, this year it is particularly difficult to see any fully blooming flowers.
Despite being the same area, the state of these azaleas is markedly different between last year and this year.
Along with the azaleas, a rare alpine plant known as 'Shiromi,' which is unique to Hallasan, has undergone a concerning transformation. Typically a vibrant blue hue, the plant has inexplicably turned brown, resembling a diseased state.
Fluctuations in temperatures have changed the natural vegetation of Hallasan.
Earlier this year, higher-than-average temperatures advanced the blooming period by a few weeks.
Several days of uncommon weather patterns in mid-May caused cold damage. Nighttime temperatures dropped below freezing, while daytime temperatures reached 16 degrees.
Recording
Kim Dae-sin / Representative, World Heritage Office
On May 14, 15, and 16, nighttime temperatures dropped to -4 to -8 degrees for 3 to 8 hours. The azaleas should be in full bloom now, but this weather event right before blooming affected them.
Hallasan Mountain’s ecosystem is being clearly impacted by abnormal weather patterns and extreme temperature variations, events that are indicative of climate change.
6월 절정 한라산 철쭉 실종…이상 기후 탓?
한라산 영실 탐방로 해발 1700미터 고지입니다.
산행에 지친 탐방객들에게
연분홍 풍경을 선사하는 산철쭉이 올해는 사라졌습니다.
잎은 폈지만 꽃망울이 아예 터지지 않았습니다.
일부 꽃을 피우긴 했지만 색이 바랬고
금방이라도
시들 것처럼 생기마저 잃었습니다.
6월 한철 피는
산철쭉 절경을 보기 위해 한라산을 찾았지만
가을산 처럼 황량해진 모습에 기대만큼 아쉬움도 큽니다.
<씽크:김선희 허경숙 강원도 춘천>
제 버킷리스트 중 하나가 영실에 있는 불타는 철쭉을 보고 싶어서 벼르고 벼르다 왔는데 며칠 전부터 검색해 보니 철쭉이 말라서 하나도 안 보인다는 거예요. 혹시나 바라는 마음으로 와 봤더니 철쭉이 하나도 없어요.
이 일대 자생하는 산철쭉은 3만 8천여 그루로
보통 6월 초순 만개해
탐방로와 오름 들판을 수놓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유독 제대로 핀 꽃 조차 보기 힘든 상황입니다.
예년과 올해, 같은 장소임에도
철쭉 개화 상태는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산철쭉 뿐 아니라
한라산에서만 관찰되는 희귀고산식물인'시로미'도
특유의 푸른 빛깔 대신
병든 것 처럼 갈색 빛으로 변했습니다.
한라산 자생 식물의 식생이
예년과 달라진 건 들쭉날쭉 변했던 기후 탓입니다.
올초 예년보다 높았던 기온이 개화 시기를 몇 주 앞당겼습니다.
여기에 5월 중순, 이례적으로 상고대가 피고,
영하권으로 떨어졌다가
낮에는 16도까지 오르는
일교차 큰 날씨가
며칠째 이어지면서 냉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씽크:김대신 / 세계유산본부 생물자원연구과장>
5월 14,15,16일 이 기간 야간 기온이 영하 4도, 영하 8도까지
3시간에서부터 8시간까지 쭉 떨어졌던 현상이 있었습니다. 지금 되면 만개했어야 했는데 개화 직전에 그런 기상 이벤트가 있어서 개화에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이상 기후와 큰 일교차가
한라산 천연 식생마저 바꿔놓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