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Poultry Farms Test Disease-Free
  • The Provincial Animal Health Testing Center reported no unusual findings from tests for 11 types of diseases. 11 types of diseases were tested, including Newcastle disease, a first-class livestock infectious disease, and others, on poultry farms participating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tests, conducted five times a year, are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a livestock management consulting panel and target poultry farms selected by the administrative city. Jeju is thoroughly analyzing the test results for each poultry disease while focusing on building an autonomous disease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for farms. 상반기 가금농가 전염병 검사결과 '양호' 판정 제주특별자치도 동물위생시험소가 상반기 가금농가 질병관리 지원사업에 따른 참여농가를 대상으로 제1종 가축전염병인 뉴캣슬병 등 11종의 질병에 대한 검사 분석 결과 별다른 특이사항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검사는 사양관리 컨설팅 자문단과 연계해 행정시에서 선정한 양계농가를 대상으로 1년에 5차례에 걸쳐 항원 항체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가금 질병별 검사결과를 철저히 분석하는 한편 농가 자율 방역관리시스템 구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2024.06.13(thur)  |  이현
  • Jeju Cultural Project Blueprint Unveiled
  • The preliminary blueprint for the Jeju History and Culture Foundation Project, a key promise of the 8th Administration, has been unveiled. The Province announced that it has completed the research services for the creation of the Samseonghyeol~Sinsan Park historical cultural district and a Jeju History Museum. The service results proposed a plan to develop Sinsan Park around five themes reflecting lifestyle, Jeju language, the future of Jeju, Jeju villages, and Jeju’s nature. Additionally, three methods including new developments, expansions, and remodeling centered around the current Folk Natural History Museum were suggested for the Jeju History Museum. Based on the initial blueprint, Jeju plans to initiate follow-up procedures to develop a more practical plan. 삼성혈~신산공원 '제주 역사·문화지구' 밑그림 공개 역사문화 분야 민선 8기 핵심 공약 사업인 제주 역사 문화 기반 구축 사업의 밑그림이 공개됐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삼성혈~신산공원 일대 역사문화지구 조성과 가칭 제주역사관 건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마무리했다고 밝혔습니다. 용역 결과 신산공원을 제주인의 삶과 제주어, 제주미래, 제주마을, 제주 자연 다섯가지 테마로 조성하는 안이 제시됐습니다. 또, 제주역사관은 현재 민속자연사 박물관을 중심으로 신축과 증축, 리모델링 등 세가지 건립 방식이 제시됐습니다. 제주도는 이번 기본 구상을 토대로 후속 절차에 착수해 보다 실천적인 계획을 마련해 나갈 방침입니다.
  • 2024.06.13(thur)  |  이현
  • Dream Tower Fire Probe Initiated
  • Fire authorities are investigating why the alarm systems failed to operate during the fire at Dream Tower. The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has received computer log record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alarm systems from Dream Tower and plans to analyze them to determine when the systems were turned off. The Fire Headquarters stated that the malfunction could be a serious violation under the Fire Protection Act, and plans to formally investigate and examine the involved parties for any intentional misconduct. Meanwhile, the fire at Dream Tower, which occurred on the 9th, had a 17-minute delay in emergency reporting compared to the time the fire broke out. Fire investigations revealed the tower had turned off the equipment in advance, causing a delay in the reporting and alarm systems. 드림타워 소방경보 꺼져 신고 지연…소방 수사 개시 드림타워 화재와 관련해 소방 당국이 논란이 된 경보 시설 미작동 경위에 대한 수사에 들어갑니다. 제주도소방안전본부는소방특별사법경찰 조사를 통해 드림타워로부터 경보 시설 제어 관련 컴퓨터 로그기록을 전달받고 이를 분석해 경보 시설이 언제부터 꺼졌는지 파악할 계획입니다. 소방본부는 경보 시설 미작동은 소방시설법 상 중대 혐의점이 될 수 있다며 정식 수사로 전환해 관련자를 조사하고 고의성 여부도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 9일 발생한 드림타워 화재는 발생 시간보다 소방 신고 시간이 17분 늦게 이뤄졌는데 소방 조사 결과 드림타워 측에서 장비를 사전에 꺼두면서 자동 신고 설비를 비롯해 경비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2024.06.13(thur)  |  이현
  • Where Are Hallasan’s Azaleas?
  • Where Are Hallasan’s Azaleas? This is the (영실) Yeongsil Trail on Hallasan Mountain, around 1,700 meters above sea level. The azaleas, which provide a light pink landscape for weary hikers, have vanished this year. The leaves have sprouted, but the buds have not bloomed at all. Some flowers did bloom, but their beauty was short-lived. Visitors who came to Hallasan Mountain to see the azaleas, which bloom only in June, have been disappointed by the barren mountainside. It’s scenery that’s more reminiscent of autumn. Recording Kim Sun-hee, Heo Kyung-sook / Visitors from Chuncheon, Gangwon Province One of my bucket list items was to see the flaming azaleas at Yeongsil, so I came after waiting and waiting, but a few days ago I searched and found that the azaleas had dried up and were not visible at all. I came here with hope, but there are no azaleas. The 38,000 wild azaleas in this area usually bloom in early June, adorning the trails and fields. However, this year it is particularly difficult to see any fully blooming flowers. Despite being the same area, the state of these azaleas is markedly different between last year and this year. Along with the azaleas, a rare alpine plant known as 'Shiromi,' which is unique to Hallasan, has undergone a concerning transformation. Typically a vibrant blue hue, the plant has inexplicably turned brown, resembling a diseased state. Fluctuations in temperatures have changed the natural vegetation of Hallasan. Earlier this year, higher-than-average temperatures advanced the blooming period by a few weeks. Several days of uncommon weather patterns in mid-May caused cold damage. Nighttime temperatures dropped below freezing, while daytime temperatures reached 16 degrees. Recording Kim Dae-sin / Representative, World Heritage Office On May 14, 15, and 16, nighttime temperatures dropped to -4 to -8 degrees for 3 to 8 hours. The azaleas should be in full bloom now, but this weather event right before blooming affected them. Hallasan Mountain’s ecosystem is being clearly impacted by abnormal weather patterns and extreme temperature variations, events that are indicative of climate change. 6월 절정 한라산 철쭉 실종…이상 기후 탓? 한라산 영실 탐방로 해발 1700미터 고지입니다. 산행에 지친 탐방객들에게 연분홍 풍경을 선사하는 산철쭉이 올해는 사라졌습니다. 잎은 폈지만 꽃망울이 아예 터지지 않았습니다. 일부 꽃을 피우긴 했지만 색이 바랬고 금방이라도 시들 것처럼 생기마저 잃었습니다. 6월 한철 피는 산철쭉 절경을 보기 위해 한라산을 찾았지만 가을산 처럼 황량해진 모습에 기대만큼 아쉬움도 큽니다. <씽크:김선희 허경숙 강원도 춘천> 제 버킷리스트 중 하나가 영실에 있는 불타는 철쭉을 보고 싶어서 벼르고 벼르다 왔는데 며칠 전부터 검색해 보니 철쭉이 말라서 하나도 안 보인다는 거예요. 혹시나 바라는 마음으로 와 봤더니 철쭉이 하나도 없어요. 이 일대 자생하는 산철쭉은 3만 8천여 그루로 보통 6월 초순 만개해 탐방로와 오름 들판을 수놓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유독 제대로 핀 꽃 조차 보기 힘든 상황입니다. 예년과 올해, 같은 장소임에도 철쭉 개화 상태는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산철쭉 뿐 아니라 한라산에서만 관찰되는 희귀고산식물인'시로미'도 특유의 푸른 빛깔 대신 병든 것 처럼 갈색 빛으로 변했습니다. 한라산 자생 식물의 식생이 예년과 달라진 건 들쭉날쭉 변했던 기후 탓입니다. 올초 예년보다 높았던 기온이 개화 시기를 몇 주 앞당겼습니다. 여기에 5월 중순, 이례적으로 상고대가 피고, 영하권으로 떨어졌다가 낮에는 16도까지 오르는 일교차 큰 날씨가 며칠째 이어지면서 냉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씽크:김대신 / 세계유산본부 생물자원연구과장> 5월 14,15,16일 이 기간 야간 기온이 영하 4도, 영하 8도까지 3시간에서부터 8시간까지 쭉 떨어졌던 현상이 있었습니다. 지금 되면 만개했어야 했는데 개화 직전에 그런 기상 이벤트가 있어서 개화에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이상 기후와 큰 일교차가 한라산 천연 식생마저 바꿔놓고 있습니다.
  • 2024.06.13(thur)  |  이현
  • Jeju Hosts National Finswimming
  • The 3rd Jeju Haenyeo National Finswimming Competition will be held at Jeju Stadium from the 13th for three days. This competition will include 238 athletes from 73 teams across 15 regions nationwide, including 28 participants from the Jeju Provincial Youth Sports Council. The Jeju Haenyeo Finswimming Competition aims to preserve and advance the culture of Jeju Haenyeo, which is list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competition involves minimal equipment, such as swim goggles and fins. 제3회 제주해녀배 전국 핀수영 대회 13일 개최 제3회 제주해녀배 전국 핀수영 대회가 오는 13일부터 사흘간 제주종합경기장 실내수영장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대회는 전국 15개 시도에서 73개팀, 238명의 선수가 참가하고 제주에서는 도 유소년스포츠협의회에서 28명이 참가합니다. 제주해녀배 핀수영대회는 유네스코 인류무형 문화유산에 등재된 제주 해녀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물안경과 오리발 등 최소의 장비만 착용해 진행하는 수영대회입니다.
  • 2024.06.10(mon)  |  이현
  • Jeju Recruiting Youth for Savings Plan
  • The Province is opening additional recruitment for participants in the Youth Hope Savings Program. Initially, 106 individuals were selected in January, but due to ongoing requests for more opportunities, additional funding was secured in the recent supplementary budget to select 110 more participants. This savings program involves a monthly co-contribution where young workers contribute 100,000 KRW, companies contribute 150,000 KRW, and the Province contributes 250,000 KRW, totaling 500,000 KRW each month. After 5 years, participants can receive 30 million KRW plus interest. Applications for participation can be submitted to the Jeju Economic Promotion Agency until the 27th of this month. 청년 재형저축 추가 모집…만기시 3천만 원 제주특별자치도가 '청년 희망사다리 재형저축' 참여자를 추가 모집합니다. 올해 1월 106명을 선정했으나 지속적인 추가 모집 요청에 따라 이번 추경에서 예산을 확보해 110여명을 추가 선발하게 됩니다. 청년 희망사다리 재형저축은 청년근로자 10만 원과 기업 15만 원, 제주도 25만 원씩 매월 50만 원을 공동 적립하는 방식으로 5년 만기에 3천만 원과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참여 신청은 오는 27일까지 제주경제통상진흥원에서 이뤄집니다.
  • 2024.06.10(mon)  |  이현
  • Jeju Offers Foreign E-book Service
  • The Jeju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is offering a foreign language e-book subscription service for overseas content. The service is available to student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who use the Jeju Foreign Language Learning Center. The collection includes 82 English books and 198 multicultural books in languages including Chinese, Japanese, and Russian, provided in both e-book and audiobook formats. To use the service, individuals need to register as members at the Jeju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Members can borrow up to 5 e-books for a period of 14 days, which can be accessed on personal computers, smartphones, or tablets. Borrowed e-materials are automatically returned without any separate procedure. 제주국제교육원, 외국어 전자책 구독서비스 제공 제주국제교육원이 외국어 해외전자책 구독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용 대상은 제주외국어학습센터를 이용하는 학생이나 학부모, 지역 주민들입니다. 구비된 외국어 해외전자책은 영어도서 82권을 비롯해 중국어와 일본어, 러시아어 등 다문화도서 198권 등으로 이북과 오디오북 형태로 제공됩니다. 이용 방법은 제주국제교육원에 회원으로 가입하면 하루 5권의 전자책을 14일 동안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이용할 수 있고 대출된 전자자료는 별도의 절차 없이 자동 반납됩니다.
  • 2024.06.10(mon)  |  이현
  • Jeju Real Estate Startups Drop
  • As the real estate market downturn continues, there has been a decrease in related startup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d other sources, the number of real estate startups in Jeju from January to March this year totaled 555, marking a 9.2% de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In February, the number of real estate startups reached only 144, the lowest monthly level since the Ministry began compiling related statistics in January 2016. Real estate startups involve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engaged in leasing buildings, real estate development, supply, management, and appraisal. 부동산 경기 침체에 관련업 창업 '시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관련 창업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따르면 올들어 3월까지 제주지역 부동산 창업기업 수는 555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2% 감소했습니다. 지난 2월에는 부동산 창업기업이 144곳에 그쳐 중기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16년 1월 이후 월별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부동산 창업기업은 건물의 임대나 부동산 개발과 공급·관리, 감정평가 등을 맡아하는 개인과 법인을 의미합니다.
  • 2024.06.10(mon)  |  이현
  • Jeju Apartment Prices Fall Again
  • Apartment prices in the Jeju region have continued to decline slightly this month, influenced by rising interest rates and a slowdown in real estate activity. Data from the Korea Real Estate Board indicates that during the first week of this month, apartment sale prices in Jeju Province decreased by 0.07%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This represents a slight increase of 0.01 percentage points in the rate of decline from the prior week. Additionally, the decrease in lease prices in Jeju has accelerated, with the rate of decline increasing by 0.02 percentage points since last week, resulting in a 0.06% drop. 제주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하락세 지속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제주지역 아파트 가격이 이달 들어서도 소폭의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제주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와 비교해 0.07% 하락했습니다. 전주 하락폭과 비교하면 0.01%포인트 소폭 확대됐습니다. 이와 함께 전세가격 하락폭은 전주 대비 0.02%포인트 늘어난 0.06%를 기록했습니다.
  • 2024.06.10(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