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Police Misapply Traffic Fines
  • The Jeju Police Agency improperly applied standards with an unmanned traffic device in Global Education City, leading to excessive fines for drivers. This device, placed on a regular road near an international school, was mistakenly enforced using child protection zone standards instead of general road rules over the past year. Consequently, drivers received excessive fines for traffic light or speeding violations. It has been revealed that 700 of 830 cases in which excessive fines were imposed have already been paid. The overcharged amount totals approximately 18 million KRW out of the 40 million KRW collected. The Jeju Police Agency intends to notify those who have paid and will process refunds for the overcharged fines. For the 130 cases that have not yet been paid, the agency plans to correctly reissue the fines. 자치경찰, 무인단속 과태료 '잘못 부과'…환급 조치 제주도자치경찰단이 영어교육도시내 무인교통단속장치를 운영하며 잘못된 기준을 적용해 과태료를 과다하게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무인교통단속장치는 국제학교 보호구역 인접 일반도로에 설치됐으나 지난 1년여간 어린이보호구역 기준으로 적용돼 신호 또는 속도위반 과태료를 기준보다 많게 부과한 것으로 내부 점검 과정에서 확인됐습니다. 현재까지 가중 부과된 830건 가운데 700건이 납부됐으며 부과금액 약 4천만 원 중 가중 부과된 금액은 1천 800만 원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자치경찰단은 납부자에게 안내문을 발송하고 가중부과감을 환급 처리할 계획이며 미수납된 130건에 대해서는 재부과 조치하기로 했습니다.
  • 2024.06.10(mon)  |  이현
  • Trespassing For a Photo Ops is Illegal
  • Trespassing For a Photo Ops is Illegal A man and woman are elegantly dressed in a white dress and suit. They are in the middle of a wedding photoshoot in a wide field with green trees as the background. The unique atmosphere of Jeju, with its forest paths and oreum, has made various spots in this area popular for wedding photoshoots and snaps, attracting many visitor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some people enter private properties in search of special spots different from others to take their photos. People enter beautiful buckwheat or radish fields, ruining the crops that farmers have worked hard to grow, causing headaches for the owners. They have put up no entry signs everywhere and even included account numbers to charge fees for use. However, it's impossible to monitor every entry. Recording Landowner The field is isolated, so photographers enter first to take photos. It's trespassing. They shouldn't enter because we are growing feed for our cows, which they are damaging. Sometimes people are unaware that the land has an owner, resulting in fights or police reports when the owner discovers them taking photos. Reports related to this issue are especially concentrated from spring, when flowers bloom, until just before the heat starts in earnest. Entering private property without permission and damaging crops can lead to punishment according to related laws, so special caution is necessary. INTERVIEW Lee Tae-Rim / Representative, Jeju Police Agency Trespassing on private property can lead to civil lawsuits for damages. If crops are trampled or damaged, it can result in criminal charges of property damage, punishable by up to three years in prison or a fine of up to 7 million won. Taking photos to capture happy moments. The police advise that, to avoid possible punishment, it is better to take photos outside or to check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in advance. "사유지예요" 사진 찍으려다 무단침입 처벌 하얀 드레스와 정장 차림으로 멋지게 차려입은 남녀. 넓은 들판에서 푸른 나무를 배경 삼아 웨딩 촬영이 한창입니다. 주위 숲길과 오름 등 제주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담을 수 있는 이 일대 곳곳이 웨딩 촬영이나 스냅 사진을 찍기 좋은 명소로 알려지면서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남들과 다른 특별한 장소를 찾아 개인 사유지까지 들어가 사진을 찍는 경우가 있다는 겁니다. 예쁜 꽃이 피는 메밀밭이나 무 밭에 들어가 애써 키운 농작물을 망치기도 하면서 주인들은 골머리를 앓습니다. 곳곳에 출입 금지 안내문을 써 붙이기도 하고, 아예 사용료 명목으로 돈을 내도록 계좌번호까지 쓰여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일이 지키고 있을 수도 없는 상황. <싱크 : 땅 주인> 거기 들판이 주변에 아무것도 없고 하니까 작가분들이 먼저 들어가서 사진 찍게 된 거죠. 무단 침입을 해서. 들어가면 안 되는 거잖아요. 왜냐면 저희가 소 먹이를 주려고 키우는 건데 그걸 훼손하는 거니까. 주인이 있는 땅인 줄 모르고 안에서 사진을 찍다가 뒤늦게 이를 발견한 주인과 싸움이 나거나 경찰에 신고가 접수되기도 합니다. 특히 꽃이 피는 봄부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지 직전인 이맘때쯤까지 관련 신고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허락 없이 사유지에 들어가 농작물 등에 피해를 입힐 경우 관련 법에 따라 처벌로도 이어질 수 있어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 이태림 / 제주동부경찰서 구좌파출소> (무단으로) 사유지 침입할 경우에 피해 보상 등 민사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고. 농작물을 밟고 지나가거나 훼손하는 경우에는 형법상 재물손괴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백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행복한 순간을 기록하기 위한 사진 촬영. 무심코 사유지에 들어갔다가 자칫하면 처벌로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밖에서 촬영하거나 미리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는 것이 좋다고 경찰은 당부했습니다.
  • 2024.06.10(mon)  |  이현
  • Jeju Care Service Users Exceed Expectations
  • The number of users of the Jeju Value Integrated Care service, which provides comprehensive tailored care services,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Seogwipo City, while the initial plan was to serve 500 people, a total of 663 individuals have utilized the service. Among the users, 88% were elderly, with many utilizing meal support and housekeeping services. To ensure smooth operation, Seogwipo City has secured an additional 400 million KRW to expand support for the care services. 서귀포시, 제주가치 통합돌봄 이용자 증가 맞춤형 돌봄서비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제주가치 통합돌봄 서비스 이용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당초 500명을 계획했지만 이 보다 더 많은 663명이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용자 가운데 노인이 88%로 가장 많았고 식사지원과 가사지원 서비스 등을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귀포시는 원활한 추진을 위해 4억 원의 예산을 추가로 확보해 돌봄서비스를 확대 지원할 계획입니다.
  • 2024.06.05(wed)  |  이현
  • Consumer Prices in Jeju Rise by 2.3%
  • Last month, consumer prices in Jeju increased by 2% for the seventh consecutive month. According to the Jeju Office of the Honam Regional Statistics Office, consumer prices in the province rose by 2.3% compared to a year ago. Although the rate of increase in consumer prices slowed by 0.2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April, it has remained in the 2% range for seven consecutive months since November last year. However, the fresh food index, which includes items with high price volatility such as fresh fish, vegetables, and fruits due to weather conditions or seasonal factors, surged by 18.1%, placing a significant burden on the local economy. 지난달 소비자물가 2.3% 상승…과실·채소 고공행진 지난달 제주지역 소비자물가가 7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소비자물가는 1년 전과 비교해 2.3% 상승했습니다. 소비자물가 오름폭은 지난 4월에 비해 0.2%포인트 둔화된 가운데 지난해 11월부터 7개월 연속 2%대를 유지했습니다. 다만 신선 생선과 채소, 과일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8.1% 급등하며 서민경제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 2024.06.05(wed)  |  이현
  • Tourist Spending Increases
  • The total amount of spending by tourists visiting Jeju Island h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ovince, from January to April this year, the total credit card spending by tourists in Jeju amounted to 1.0862 trillion KRW, a 3.6%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While the number of domestic tourists decreased by 4.9%,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saw a sharp increase of 80.9%.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5.55 million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visited Jeju, an increase of 2.4% from last year. 제주 방문 관광객 씀씀이 커져…외국인 80.9% 증가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들의 씀씀이가 커졌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제주 방문 관광객 신용카드 사용액은 1조 86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6% 증가했습니다. 내국인 관광객은 4.9% 줄었지만 외국인 관광객은 80.9% 급증해 대조를 보였습니다. 조사 기간 제주를 방문한 내외국인 관광객은 모두 555만여 명으로 지난해 보다 2.4% 늘었습니다.
  • 2024.06.05(wed)  |  이현
  • Elderly Died in Nursing home, Four prosecuted
  • The Jeju Western Police Department has sent four individuals, including the director of a local nursing home and a social worker, to the prosecution for violating the Elderly Welfare Act who are accused of using physical restraints on an elderly without a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police, in February, these individuals allegedly used physical restraints on a 60-year-old resident, identified as Mr. A, without a doctor's prescription or guardian's consent while he was lying in bed. Mr. A was found in a state of cardiac arrest approximately two hours later and subsequently passed away. An investigation by the Elder Protection Agency revealed that Mr. A had been left unattended for two hours while restrained, and there were no emergency alert systems such as alarm bells in place at the time. 팔다리 묶인 채 숨진 노인, 요양원 대표 등 4명 송치 제주서부경찰서는 입소한 노인을 상대로 의사 처방 없이 신체 억제대를 사용한 도내 한 요양원 대표와 사회복지사 등 4명을 노인복지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2월 의사의 처방이나 보호자 동의 없이 침대에 누워있는 60대 A씨에게 신체 억제대를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A씨는 2시간 정도 뒤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결국 숨졌습니다. 노인보호전문기관 조사결과 A씨는 팔다리가 묶인 상태로 2시간 동안 관리를 받지 못했고 당시 긴급 상황을 알리는 비상벨 등의 장치도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2024.06.05(wed)  |  이현
  • Building Energy Usage Growth Highest
  • Last year, the growth rate of total building energy usage in Jeju was the highest in the nation.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total building energy usage nationwide last year was approximately 35 million TOE (tonnes of oil equivalent), a decrease of 1.3%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contrast, Jeju's usage was around 340,000 TOE, an increase of 1.1% from the previous year, standing in stark contrast to other municipalities of Gyeonggi(경기), Gwangju(광주), and Daejeon(대전), which saw decreases of 5%.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called for the establishment of carbon neutrality policies for each municipality based on this data. 지난해 제주 건물에너지 사용 증가율 '전국 최고' 지난해 제주지역의 건물에너지 총 사용 증가율이 전국에서 최고 수준을 보였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건물 에너지 총 사용량은 3천500만여 TOE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습니다. 반면 제주 지역 사용량은 34만여 TOE로 전년보다 1.1% 늘어나 5% 가량 감소한 경기와 광주, 대전 등 다른 지자체와 대조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자체 마다 탄소중립 정책의 수립을 주문했습니다.
  • 2024.06.05(wed)  |  이현
  • Jeju National Trauma Healing Center Renamed
  • The branch of the National Trauma Healing Center in Jeju, which has been criticized for its name suggesting it is a national institution, will be renamed the Jeju National Trauma Healing Center and is set to open next month. Democratic Party of Korea Representative Wi Seong-gon(위성곤) announced the reports shared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s plans to ensure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Jeju center and rename it the Jeju National Trauma Healing Center. Representative Wi also sta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legal status of the center and expressed his intention to promote related legal amendments. In response,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lans to change the corporate registration due to the name modification this month and will hold an inauguration ceremony next month. 국립제주트라우마치유센터' 명칭 변경…내달 출범 무늬만 국립이라는 논란이 제기된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제주 분원이 국립제주트라우마치유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다음달 출범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국회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주 센터의 독자적 운영 보장과 함께 국립제주트라우마치유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는 계획을 보고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분원 개념으로 설치된 제주 센터의 법적 위상 자체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며 관련법 개정 추진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행정안전부는 이달 중 명칭 수정에 따른 법인 등기를 변경하고 다음달 현판과 간판 교체와 출범식을 개최할 계획입니다.
  • 2024.06.05(wed)  |  이현
  • Illegal Gambling Operation Detained
  • Illegal Gambling Operation Detained Police raid the hideout of a gambling site operator on the mainland. Member information and deposit account details were found displayed on a computer monitor. Recording Police (How many members do you have? Who do you operate the site with?) I’ve handed it over to someone in debt, and I’m just helping out because I have no one to work with. A gang operating an illegal sports betting site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has been arrested. They have been accused of running an illegal site for two years from November 2020, offering winnings multiplied by odds for predicting the outcom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tches, both in Vietnam and domestically. Members could join simply by entering an ID and password,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identity verification. The launch of a mobile site helped recruit around 5,000 memb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deposited gambling funds amounted to 10.8 billion won, with bets ranging from 10,000 won to up to 100 million won. Police tracked the flow of funds, discovering 8.3 billion won in criminal proceeds diverted using burner phones and accounts. Investigators then obtained a court order to freeze these assets. This is the most significant seizure since the formation of the criminal proceeds tracking team in 2021, and the full amount will be recovered by the state upon final court ruling. INTERVIEW Kim Tae-yeong / Representative, Police Agency We analyzed dozens of criminal accounts, identifying around 8 billion won in criminal proceeds, and received a court decision to freeze the full amount. This year, we are intensifying crackdowns on illegal gambling sites, and will ensure strict investigations to punish operators and users, and thoroughly recover criminal proceeds. Police arrested four suspects, including the mastermind and three others responsible for member recruitment and payment processing, and sent them to the prosecution last month. An expanded investigation is underway regarding additional crimes and site members. The polic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igilance, noting that around 50 cyber gambling cases occur each year, with teenagers being especially susceptible to online illegal gambling sites. 불법 도박 사이트로 '83억원'…전액 국고 환수 경찰이 도외 지역 도박 사이트 운영자의 은신처를 압수 수색합니다. 컴퓨터 모니터에서 도박 사이트에 가입한 회원 정보와 입금 계정 내역 등이 확인됩니다. <씽크:경찰> (회원 몇 명이에요? 사이트 운영 누구랑 하고 있어요?) 지금 빚쟁이, 빚진 사람한테 넘겨가지고 저는 일할 사람이 없어서 일 도와주고 있어요.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불법 스포츠 토토 도박 사이트를 운영한 조직이 검거됐습니다. 지난 2020년 11월부터 2년 동안 베트남과 국내를 거점으로 국내외 경기 결과를 맞추면 배당률을 곱한 금액을 제공하는 불법 사이트를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만 입력하면 별도 신원 확인 없이 가입이 가능했고 모바일 사이트도 개설하면서 단기간에 회원 5천여 명을 끌어모았습니다. 이들이 입금한 도박 자금은 108억 원, 판돈은 적게는 1만원에서부터 많게는 1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자금 흐름을 추적해 대포폰과 대포 계좌 등으로 범죄수익금 83억 원을 빼돌린 사실을 확인했고 법원 추징 결정을 받아 처분 금지 조치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1년 범죄수익추적팀 운영 후 가장 큰 추징 실적으로 최종 판결이 확정되면 전액 국고로 환수 조치할 예정입니다. <인터뷰:김태영/제주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팀장> 범행 계좌 수십 개를 분석해 80억 원 상당의 범죄수익을 특정했고 법원으로부터 전액 추징 보전 인용 결정이 난 의미 있는 성과입니다. 올해 불법 도박사이트 집중 단속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 도박의 위험성이 심각한 수준인 만큼 엄정 수사로 운영자 및 이용자 처벌은 물론 범죄수익 환수까지 철저히 할 것입니다. 경찰은 사이트 총책과 함께 회원 모집과 충전 환전 업무 등을 담당한 3명 등 일당 4명을 검거해 지난 달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이들의 추가 범죄와 함께 사이트 회원을 상대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매년 50건에 달하는 사이버 도박 사건이 발생하고 있고 특히 청소년도 온라인 속에서 이뤄지는 불법 사행성 도박 환경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 2024.06.05(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