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ME Fund Requests Surge in Jeju
  •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Jeju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applications for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s. According to the Jeju Economic Trade Promotion Agency, the number of applications for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s this month has reached 9,100, which is a 60% increase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Additionally, the scale of loans has shown an 80% increase. The Jeju Economic Trade Promotion Agency provides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Jeju SME Development Fund Loan Support Plan. 경기 침체에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신청 급증 경기 침체 여파로 제주도내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자금 신청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제주도 경제통상진흥원에 따르면 이달 현재 경영안정자금 지원 신청 건수는 9천 1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0% 늘었습니다. 이와 함께 경영안정자금 융자 규모 역시 8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 경제통상진흥원은 '제주도 중소기업육성자금 융자지원계획'에 따라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24.05.30(thur)  |  이현
  • Jeju Addresses Tourism Issues
  • Recently, Jeju's tourism reputation has suffered due to high prices and controversies over the use of low-grade pork belly in restaurants. In response, Jeju has taken measure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province has formed a Tourism Innovation Emergency Response Committee which aims to diagnose tourism-related crises, develop solutions, and create post-management strategies. In addition, a Tourism Service Center will be established to enhance traveler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he high-cost issues, the province will survey pricing and service quality targeting accommodation and dining establishments and develop a tourism price index based on big data. Meanwhile, as of the 27th,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Jeju reached 5.46 million, marking a 2.3% increase compared to last year. However, the number of domestic visitors has decreased by 8.5%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바가지·비계 삼겹살' 이미지 개선…"관광 혁신" 최근 고물가와 비계삼겹살 논란 등 제주 관광 이미지에 부정적인 이슈가 확산되면서 제주도가 대응에 나섰습니다. 제주도특별자치도는 도지사 직속으로 제주관광혁신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주요 관광 사안별로 위기 진단과 해결 방안 마련, 사후 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또 여행객의 만족도 향상과 제주여행 품질 관리를 위해 가칭 제주관광서비스 센터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고물가 이슈에 대해서는 숙박업과 음식점을 대상으로 가격과 서비스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관광 물가 지수를 개발할 방침입니다. 한편, 지난 27일 기준으로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546만명으로 지난해 대비 2.3% 늘었지만 내국인의 경우 전년에 비해 8.5% 감소했습니다.
  • 2024.05.30(thur)  |  이현
  • Jeju Indicts 13 ID Fraud Cases
  • The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13 people, including Chinese nationals who entered Jeju without a visa for tourism purposes and tried to leave Jeju using forged identification, as well as the brokers who facilitated this. According to prosecutors, nine Chinese individuals, including a 55-year-old referred to as Mr. A, entered Jeju visa-free from January to March. They are accused of illegal travel to Seoul by boat for employment. The brokers, including a Korean in their 30s and a Chinese in their 40s, are accused of taking amounts ranging from approximately 1.8 million won to 11 million won per person, forging identification, and facilitating illegal boarding on passenger ships. 무사증 무단이탈 시도 중국인·브로커 13명 구속기소 제주지방검찰청은 관광 목적으로 무사증으로 입국해 신분증을 위조해 제주를 이탈하려고 시도한 중국인들과 이를 알선한 브로커 등 13명을 구속 기소했습니다. 검찰 등에 따르면 55살 A씨 등 중국인 9명은 지난 1월부터 3월 사이 무사증으로 제주에 입도한 뒤 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 취업하기 위해 SNS에서 알게 된 브로커에게 돈을 주고 배편을 이용해 무단 이탈을 시도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30대 한국인과 40대 중국인 등 브로커 4명은 한 사람당 180여만 원에서 1천 1백여만 원 상당을 받고 신분증을 위조해 주고 여객선 승선을 안내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 2024.05.30(thur)  |  이현
  • Mandatory Video Record at Construction Site
  • Jeju is implementing a mandatory video recording system to enhance safety and quality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Starting from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system will be piloted in 4 to 5 new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with a budget of over 10 billion won. The video recording plan will be integrated into the design stage, and the entire process from commencement to completion will be recorded. The construction site will use fixed observation cameras and drones to capture the entire structure being built. Processes that are difficult to verify after construction, such as concrete pouring, or those with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will be under intense scrutiny. Every detail from material delivery, construction, and inspection processes will be thoroughly recorded. 공공 건설공사 동영상 기록 관리 의무화 도입 제주특별자치도가 공공 건설공사의 안전과 품질 강화를 위해 '동영상 촬영 의무화 제도'를 시범 도입합니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부터 공사금액 100억 원 이상의 신규 공공 건설공사 가운데 4~5개를 선정해 시행합니다. 실시설계 단계에서부터 동영상 촬영 계획을 설계에 반영해 착공에서 준공까지 전 과정에 걸쳐 이뤄지며 공사전경은 고정식 관찰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해 구조물이 완성되는 모습을 담도록 합니다. 콘크리트 타설 등 시공 후 확인이 어려운 공정이나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작업의 경우 집중 관리하고 자재 반입부터 설계도에 따른 시공 순서, 작업 방법, 검측과정까지 빠짐없이 기록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 2024.05.30(thur)  |  이현
  • Nation’s Largest Food Waste Facility
  • Nation’s Largest Food Waste Facility The Jeju food waste treatment facility is finally complete. It took seven years since the project’s initial launch in 2017. After eight months of trial operations, the system will be fully operational starting next month. The food waste treatment facility, which cost 131.8 billion won, is set on a 32,700 square meter site near the (색달동) Saekdal-dong landfill in Seogwipo City. It is equipped with facilities for food waste intake and preprocessing, wastewater treatment, and odor reduction. The facility can process up to 340 tons of food waste per day. This is more than enough to handle the 240 tons of food waste generated daily in Jeju. Starting in January of this year, it commenced processing food waste from Jeju City, followed by Seogwipo City in February, thereby ensuring stable operations. Emergency lines are set up to be ready for mechanical or system failures. INTERVIEW Hwang Yoon-seop / Supervisor of trial operation for Jeju food waste treatment facility An emergency line has been added to the waste treatment system. In case of a failure, the emergency line can be activated to process all the waste while the faulty line is being repaired. A noteworthy development has been the application of a method to utilize biogas produced during waste treatment as a source of fuel. Through the reuse of biogas-generated fuel for facility operations, the company anticipates a substantial reduction in annual operating costs of 5.2 billion won, along with a decrease of 1,140 tons in greenhouse gas emissions. INTERVIEW Jeong Geun-sik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70% of the electricity used to operate the facility is supplied by the biogas produced here. It is a facility that allows for natural resource circulation. As the nation's biggest food waste recycling facility, the objective is stable food waste processing and eco-friendly energy recycling, benefiting residents and the environment through carbon neutrality. 음식물 쓰레기 하루 340t 처리…다음달 가동 제주 광역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시설이 준공됐습니다. 지난 2017년 사업을 본격 추진한 지 7년 만입니다. 8개월 간의 시운전을 마쳤고 다음 달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됩니다. 사업비로 1천 318억 원이 투입된 광역 음식물류 폐기물 시설은 서귀포시 색달동 쓰레기 매립장 인근 3만 2천 7백여㎡ 부지에 설치됐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반입과 전처리, 폐수 처리, 악취저감 설비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해당 시설에서 하루 처리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는 340톤. 제주에서 하루 평균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240톤을 처리하고도 남는 용량입니다. 올해 1월, 제주시내 배출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시작해 2월부터는 서귀포시 물량까지 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운영을 확인했습니다. 기계 또는 시스템 고장, 오작동에 대비한 비상 라인도 구축돼 있습니다. <인터뷰 : 황윤섭 / 광역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시운전 총괄> (폐기물 처리) 비상 라인이 하나 추가로 반영됐습니다. 고장이 났을 때도 비상 라인을 가동 시켜서 고장난 라인을 수리할 동안 (쓰레기) 전량 처리 가능합니다. 특히 최근 공법 적용으로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연료로 공급하는 시스템이 갖춰졌습니다. 바이오 가스로 만들어진 연료는 시설 운영에 재사용돼 연간 52억 원의 운영비와 온실가스 1천여 톤의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정근식 / 제주특별자치도 자원순환과장> 여기서 만들어진 바이오 가스를 가지고 시설 운영하는데 쓰이는 전기 70%를 소모하도록 돼 있습니다. 자연적인 자원 순환이 될 수 있는 시설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로 지어진 제주 광역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시설. 안정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와 친환경적인 에너지 자원화로 도민 편의와 탄소 중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 2024.05.30(thur)  |  이현
  • Jeju Inspected for APEC Venue
  • The government has completed onsite inspections for the venue selection for next year's APEC summit in South Korea. From the 20t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as visited candidate cities Gyeongju(경주), Incheon, and Jeju. In Jeju, the Jeju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and the MICE Multi-Purpose Complex, scheduled to be completed by August next year, were thoroughly inspected. During the visit, Jeju showcased its current high-level lodging centered around the Jungmun Complex without the need for excessive new constructions, as well as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Haenyeo (female divers) culture, demonstrating Jeju's cultural excellence. Presentations, which is the final step in the selection process, are scheduled for the 7th of next month, and announcements are expected next month. APEC 현장실사 마무리…"제주 강점 부각" 내년 우리나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 개최지 선정을 위한 정부의 현장 실사가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외교부는 지난 20일부터 후보도시인 경주와 제주, 인천을 잇따라 방문해 기반시설과 부대 프로그램 중심으로 현장 실사를 진행했습니다. 제주에서는 회의장소인 제주국제컨벤션센터와 내년 8월 준공 예정인 마이스다목적복합시설 등을 꼼꼼하게 살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제주도는 중문단지를 중심으로 각국 정상을 위한 숙박시설 등 별도의 무리한 신개축 없이 현재 최고 수준의 숙박 인프라를 갖춘 점과 해녀문화 등 제주문화의 우수성을 전파할 수 있는 체험행사를 선보였습니다. 마지막 절차인 후보도시별 제안서 발표는 다음달 7일 예정돼 있으며 최종 후보 도시는 다음달 중순쯤 결정돼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2024.05.27(mon)  |  이현
  • Jeju Uni Project Earns Top Marks
  • Jeju National University's leading university project for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has received the highest rating in the second-year evaluation and will be granted a government subsidy of 4.15 billion w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highly rated the Jeju LINC+ Project Group for nurturing local talent and solving regional issues through government collaborative projects. Following this evaluation, the Jeju LINC+ Project Group plans to use the granted funds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system among innovation entities. 제주대 링크사업단 '최우수' 평가...41억 지원 제주대학교의 산학연 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이 2차년도 평가에서 최우수를 받아 41억 5천만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됐습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제주대 링크사업단의 경우 지자체 연계 협력 사업을 통해 지역인재 양성과 현안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 산학 공동 기술개발 과제 등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대 링크사업단은 이번 평가를 통해 지원받는 국비를 혁신 주체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데 투입할 계획입니다.
  • 2024.05.27(mon)  |  이현
  • Jeju Boosts Legal Support for Officials
  • Jeju is strengthening the legal protection system for public officers facing challenges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The Province has proposed new legislation to support public officers in litigation related to their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This is the first time such guidelines will be codified, having previously been managed through internal policies. The support is now extended to include both current and retired public officers. Additionally, the limit for attorney fees and other related costs has been increased from 2 million won to 3 million won. Public comments are accepted through the government website 'e-People,' until the 13th of next month. '적극행정' 공무원 법적 보호 '강화'…법제화 적극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다 소송에 휘말리는 등 문제에 직면한 공무원을 보호제도가 한층 강화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적극행정 추진 공무원의 소송 수행 지원 등에 관한 규칙 제정안을 입법 예고했습니다. 그동안 내부지침으로 이뤄져 오다 이번에 처음으로 법제화 하는 것입니다. 입법예고된 내용을 보면 소송 지원 대상을 재직공무원에서 퇴직공무원으로 확대하고 변호인 등 선임 비용 한도의 경우 20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늘렸습니다. 입법 예고기간은 다음달 13일까지이며 국민신문고를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2024.05.27(mon)  |  이현
  • 40% Off Jeju Local Goods at 'Tamnao'
  • A discount event for agricultural and specialty products is currently taking place on the Jeju travel public platform called ‘Tamnao’. The Jeju Rural Integrated Industry Support Center an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urism Association have announced that government-certified agricultural and specialty products are being sold at discounts of up to 40%. The event will continue until the 2nd of next month and may end early depending on budget circumstances. '탐나오'에서 농축특산물 최대 40% 할인 판매 제주여행 공공플랫폼 탐나오에서 농축특산물 할인 행사가 진행됩니다. 제주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와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는 정부 인증을 받은 농축특산품을 최대 4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다음달 2일까지 진행되며 예산 상황에 따라 조기에 마감될 수 있습니다.
  • 2024.05.27(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