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Dry Weather Advisory, Fire Warning
  • Dry Weather Advisory, Fire Warning The walking paths where tall grass grew have all turned to ash. Firefighters are moving through the area extinguishing fires. In the distance, flames that have not yet been contained are visible. Last weekend, a fire broke out near the Seopjikoji walking trail in (성산읍) Seongsan-eup, Seogwipo City. Although no one was injured in the fire, the dry grass allowed the flames to spread quickly, burning about 1,300 square meters of grassland, palm mats, and landscaping facilities. Evidence suggests that a discarded cigarette butt may have sparked the fire. With the ongoing dry weather, it is crucial to exercise caution as grassland fires can ignite easily. In the last five years, there have been about 150 wildfires in Jeju. This year alone, more than 40 have already occurred. Wildfires are more likely to occur between March and May when the weather is dry and there is a moderate breeze. The leading cause of fire is negligence, particularly practices like burning trash and discarding cigarette butts. Burning trash is responsible for 32.3% of fires, followed by discarded cigarette butts and unattended embers. A dry weather advisory has been in place for the mountainous and northern mid-mountain regions of Jeju since May 17th. This advisory is due to the continued clear weather which is expected to cause increasingly dry air conditions. Even a small spark can lead to a large fire, so caution is of the utmost importance. INTERVIEW Kim Hyun-seok / Investigator,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The recent hot, dry weather and strong winds have led to approximately 48 outdoor wildfires this year, caused by improperly extinguished cigarette butts or careless burning practices. After smoking or burning, ensure that all embers are completely extinguished before departing. To prevent wildfires, fire authorities strongly recommend avoiding carrying combustible items like lighters when hiking in areas like volcanic cones. 건조특보 이어져, 들불 화재 ‘주의’ 풀이 높게 자라있던 산책로 일대가 온통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소방대원들이 곳곳을 다니며 진화 작업을 벌입니다. 저 멀리 아직 잡히지 않은 불길이 이글거립니다. 지난 주말, 서귀포시 성산읍 섭지코지 산책로 인근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 풀이 메말라 불길이 주위로 빠르게 번지면서 야초지 1천 3백여 제곱미터와 야자수 매트, 조경시설 등이 불에 탔습니다. 누군가 버린 담배꽁초로 인해 불이 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야초지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최근 5년 사이 제주에서 발생한 들불 화재는 150여 건. 올들어서도 벌써 40건 넘게 발생했습니다. 주로 대기가 건조하고 적당한 바람이 불면서 불이 나기 쉬운 조건으로 봄철인 3월에서 5월 사이에 화재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쓰레기를 태우거나 담배꽁초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쓰레기소각이 32.3%로 가장 많았고, 담배꽁초, 불씨 방치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7일부터, 제주 산지와 북부 중산간 지역에 건조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당분간 맑은 날씨가 이어지면서 대기는 점차 더 건조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작은 불씨도 큰 불로 이어질 수 있어 산불 등 각종 화재에 주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 김현석 / 제주소방안전본부 광역화재조사단 선임 조사관 > 최근 고온의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이 불면서 제대로 끄지 않은 담배꽁초나 소각 부주의에 의한 화염 방치로 올해 약 48건의 야외 들불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흡연 후 담뱃불이나 소각 후 불씨는 완전히 꺼진 이후에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들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오름 등을 오를 때 라이터 같은 인화성 물질을 가지고 가지 않아야 한다고 소방당국은 당부했습니다.
  • 2024.05.23(thur)  |  이현
  • Jeju Chickenpox Cases Surge
  • This year in Jeju,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as more than 100 cases of chickenpox have been reported each month. According to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to this month, the cumulative number of chickenpox patients in the Jeju region has reached 520, which is double the number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incidence rate per 100,000 population is 77, the highest among the 17 cities and provinces in the country, and more than twice as high as Ulsan, which has the second highest rate. Health authorities suspect that the large daily temperature range and group infections in schools and other collective living situations are contributing factors. Emphasizing to seek medical treatment if symptoms such as high fever and blisters appear. 제주 수두환자 매달 100명 넘어 '전국 최다' 올해 제주에서 매달 100명이 넘는 수두 환자가 발생해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들어 이달까지 제주지역 누적 수두 환자 수는 52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급증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발생 환자 수도 77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고 전국 2번째인 울산에 비해서도 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보건당국은 큰 일교차와 함께 학교 등 단체 생활에 의한 집단 감염으로 추정하고 고열과 수포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2024.05.20(mon)  |  이현
  • Seogwipo Assesses Daycare Hygiene
  • Seogwipo City is conducting inspections on the food service and hygiene conditions at daycare centers in preparation for the summer season. The main areas of inspection include: safety management of facilities, indoor air quality,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hygiene management of staff, and maintenance of cooking facilities. Following the inspections, Seogwipo City plans to provide on-site guidance or encourage improvements for minor issues. However, in cases of significant violations, administrative actions will be taken. 서귀포시, 여름철 앞두고 어린이집 위생 점검 서귀포시가 여름철을 앞두고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급식과 위생 실태를 점검합니다. 주요 점검내용은 시설물 안전관리와 실내공기질, 재난대응 여부, 교직원의 위생관리, 조리시설 설비 관리 등입니다. 서귀포시는 점검결과 경미항 사안에 대해 현장 계도 또는 개선을 유도하는 한편 위반정도가 클 경우 행정처분을 내릴 방침입니다.
  • 2024.05.20(mon)  |  이현
  • Jeju Tackles E-Bike Parking Issue
  • The 24-hour open chat report room, introduced to address the issue of illegal parking of shared electric bicycles and scooters, is now actively i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ovince, around 100 complaints have been received through the reporting room during the two months since its introduction. It was confirmed that for the complaints received, each sharing company moved or collected the involved device within an average of one hour. The Illegal parking Open Chat Reporting Room can be accessed by in the KakaoTalk application. 전동킥보드 불법 주정차 신고 채팅방 '활발' 공유전기자전거 또는 전동킥보드의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24시간 오픈채팅 신고방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도입 이후 2개월동안 신고방을 통해 모두 100여 건의 민원이 접수됐습니다. 접수된 민원에 대해서는 공유 업체 별로 평균 1시간 이내에 해당 기기를 이동 또는 수거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PM 불법 주정차 오픈 채핑 신고방은 카카오톡 하단 검색 창에서 제주공유 전기 자전거 불법 주정차 신고방에 접속하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024.05.20(mon)  |  이현
  • Slight Rise in Jeju Employment
  • Employment numbers in the region continue to climb, although at a slower pace. According to the Jeju Office of the Honam Regional Statistics Office, the number of people employed in the province increased by 2,000 last month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marking a continuous increase for four months. However, the margin of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decreased by 6,000 compared to March. The employment rate rose by 0.5 percentage points to 69.2% last month, while the unemployment rate slightly increased by 0.2 percentage points to 2.5%. 지난달 제주 취업자 2천명 늘어…증가폭 축소 제주지역 취업자수가 회복세를 이어갔지만 증가폭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취업자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천명 늘며 4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다만 취업자수 증가폭은 지난 3월과 비교해 6천명 축소됐습니다. 지난달 고용률은 69.2%로 0.5%포인트 올랐으며 실업률은 2.5%로 0.2%포인트 소폭 상승했습니다.
  • 2024.05.20(mon)  |  이현
  • Teen Faces 4-8 years for Illegal Filming
  • The prosecution has upheld its sentencing recommendation, proposing a maximum of eight years and a minimum of four years in prison for a teenager for illegally filming in a women's restroom of a high school. The Jeju District Court's Second Criminal Division held a final hearing for the defendant, ‘A’, who was arrested and charged with violations of the law against sexual violence. According to the indictment, from September last year, ‘A’ illegally filmed over 200 times in the restroom at a local high school and is accused of illegally distributing content on social media approximately ten times. Although the prosecution mentioned that agreements had been reached with some of the victims, they emphasized the large number of victims and their ongoing suffering as reasons for their sentencing recommendation. A’s sentencing is scheduled for the 5th of next month. 고교 화장실 불법 촬영 10대 중형 구형…내달 선고 검찰이 도내 한 고등학교와 식당 여자 화장실에서 불법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10대 피고인에 대해 장기 8년과 단기 4년 구형을 유지했습니다. 제주지방법원 제2형사부는 성폭력처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A 피고인에 대한 재결심 공판을 열었습니다. 공소사실에 따르면 A 피고인은 지난해 9월부터 도내 고등학교와 식당 여자화장실에서 2백여 차례에 걸쳐 피해자들을 불법 촬영하고 10차례 SNS 등에 불법 유포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검찰은 일부 피해자들과 합의했지만 피해자가 다수이고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며 구형사유를 설명했습니다. A 피고인에 대한 선고는 다음달 5일 내려질 예정입니다.
  • 2024.05.20(mon)  |  이현
  • Suspicions of Manipulation in Landscape
  •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Odeungbong(오등봉) Park Private Initiative Project, suspicions were raised regarding the manipulation of landscape review materials. The Jeju Environmental Movement Alliance held a press conference on the 17th and claimed photos provided to the Landscape Deliberation Committee were suspected of being manipulated. Specifically, there are concerns that the view of Mount Halla was deliberately obscured or blocked in the photographs. Consequently, Jeju City has been requested to release the original photos. Meanwhile, the public interest litigation group has an appeals trial scheduled for the 22nd, demanding the invalidation of the Odeungbong (오등동) Park private initiative project. 오등봉 민간특례 경관심의 사진 조작 의심 오등봉공원 민간특례 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경관심의 자료가 조작됐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17일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경관심의위원회에 제공된 사업 부지 조망점 사진 가운데 상당수가 실제 현장과는 다르게 조작된 것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한라산 조망권을 의도적으로 감춰 촬영했거나 고의로 한라산을 가렸을 가능성 마저 의심된다며 제주시에 원본 사진을 공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한편 1심에서 패소한 공익소송단의 오등봉공원 민간특례 사업 무효를 요구하는 행송소송 항소심 선고는 오는 22일 예정돼 있습니다.
  • 2024.05.20(mon)  |  이현
  • Advanced Patrol Vessels Commissioned
  • Advanced Patrol Vessels Commissioned Two men stand precariously on a nearly submerged motorboat. The motorboat capsized while they were lifting the anchor. A 500-ton patrol vessel deployed a high-speed boat, and the coast guard safely rescued the men. Recording Coast Guard Two crew members confirmed. Returning to our ship. As such, new patrol vessels have been assign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aters around Jeju. The newly deployed vessels include two patrol ships, one 200-ton and one 100-ton, and a 500-ton tug. Due to the aging of existing patrol boats, new vessels have been introduced to take over maritime surveillance, crime prevention, and ship towing in the northern waters of Jeju. Recording So Byung-yong / Chief of Jeju Coast Guard Ferries, guide boats, and recreational vessels are frequently operating here, and the risk of marine accidents is always present, especially under unfavorable weather conditions. Under such circumstances, it was necessary to have advanced ships capable of ensuring the safety of Jeju's waters. Patrol Ship 210, a 200-ton vessel, is responsible for the coastal patrol of the inner seas and is more than twice the size of existing ships, capable of navigating up to about 1,100 km at once. The ship is equipped with thermal imaging cameras, allowing for search and other operations at night. The criminal operations boat, tasked with policing illegal fishing and other duties, can reach speeds of up to 80 km/h, enabling quick enforcement and arrest of maritime crimes. INTERVIEW Hwang Kyu-tae / Captain of Patrol Ship 210 This vessel is designed to focus more on search and rescue than the existing vessels. We are committed to protecting the property and lives of Jeju residents and to making the best effort to keep the waters around Jeju clean. With the deployment of high-performance patrol vessels, there is an expectation for effective response to safety and security in the waters around Jeju. '더 크고 더 빠르게' 최신예 경비정 취역 거의 물에 잠긴 모터보트 위에 남성 2명이 위태롭게 서 있습니다. 닻을 올리던 모터보트가 전복된 겁니다. 5백톤 급 경비함정에서 고속 단정을 타고 온 해경이 남성들을 무사히 구조합니다. <싱크 : 해경> 승선원 2명 확인 완료. 본함으로 복귀하겠음.” 이처럼 제주 바다에서의 안전을 책임지는 경비함정이 제주 해역에 새롭게 배치됐습니다. 이번에 배치된 함정은 2백 톤과 1백 톤급 경비함정, 그리고 5백 톤급 예인정 등 모두 3척. 기존 경비정의 노후화로 새로운 함정이 투입돼 제주 북부 해역의 해상 경비와 범죄 예방, 선박 예인 등의 업무를 맡게 됩니다. <싱크 : 소병용 / 제주해양경찰서장> 여객선, 유도선, 레저 기구 등 많은 선박들이 오가고 있고 기상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한 조업으로 인해 해양 사고의 위험성이 늘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건에서 안전한 제주 바다를 만들기 위한 우수한 성능의 최신 함정이 필요했고. 주 안쪽 바다의 경비를 책임지는 2백 톤급 경비함정 210정은 길이 44m에 폭 7m 규모로 기존에 비해 2배 이상 크고 한 번에 1천 1백여 km까지 운항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열상 감시카메라가 장착돼 있어 야간에도 수색 등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불법 조업 등 단속 업무를 하는 형사기동정은 최대 속력이 시속 80km에 달해 해상 범죄를 신속하게 단속, 검거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 황규태 / 제주해양경찰서 210정장> 기존에 있던 함정보다는 인명 구조라든지 수색에 집중할 수 있는 선박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제주도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고 나아가서 깨끗한 제주바다를 지키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고성능 경비함정이 제주 해역에 새롭게 배치되면서 제주 바다의 안전과 치안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기대케 하고 있습니다.
  • 2024.05.20(mon)  |  이현
  • Jeju Offers Citywide Bike Insurance
  • Jeju City has enrolled all residents in bicycle insurance this year. Including registered foreigners, any resident registered in Jeju City is automatically enrolled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s. Notably, the insurance provides benefits of up to 10 million won, regardless of where accidents occur. Claims can be made within three years from the date of the accident. 제주시, 모든 시민 대상 자전거 보험 가입 제주시가 올해도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자전거 보험에 가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등록외국인을 포함해 제주시에 주민등록을 둔 시민이라면 별도 절차 없이 가입됩니다. 특히 사고지역과 무관하게 최대 1천만 원의 보험 혜택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금은 사고 발생일로부터 3년 이내 신청이 가능합니다.
  • 2024.05.16(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