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Audit Reveals Mismanagement
  • An inspection revealed that the administrative tasks in some towns and districts were carried out haphazardly. The Provincial Audit Committee has been conducting an audit since last year, targeting 7 towns, villages, and districts. Based on research carried out since April 2020, 90 administrative actions and status measures were requested for 28 people. Identified issues include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on walking trails without proper authorization and businesses operating without review procedures. Also, issues were found with failure to impose fines or take proper actions against unregistered rural homestay business owners. 읍면동 행정업무 '주먹구구'…지적사항 '무더기' 읍면동 행정 업무가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검사결과 나타났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가 지난해 10월부터 도내 7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이후에 추진된 행정업무 전반에 대한 감사결과 모두 90여 건의 행정상 조치와 28명에 대한 신분상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주요 지적사항을 보면 허가 없이 절대보전지역 산책로에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공공시설물 등 각종 사업을 시행하면서 심의 절차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재난배상책임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농어촌민박사업자에 과태료 부과 등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는 등 행정 업무 처리 전반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견됐습니다.
  • 2024.05.27(mon)  |  이현
  • Climate Hits Onion Crops
  • Due to the impact of abnormal climate conditions, onions, following garlic, have suffered growth damage and have been recognized as an agricultural disast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recognized onion growth disorders as an agricultural disaster and directed fiv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Jeju, to investigate the damage by the 3rd of next month.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onions showed poor growth after transplanting due to high temperatures, frequent rainfall, and lack of sunlight. 마늘 이어 양파도 '농업재해' 인정…피해 조사 이상기후 여파로 마늘에 이어 양파도 생육피해를 입으면서 농업 재해로 인정됐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양파 생육장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하고 제주를 비롯한 5개 지방자치단체에 다음 달 3일까지 피해 조사를 지시했습니다. 농식품부의 실태 조사 결과 양파 정식 이후 고온 현상과 잦은 강우, 일조량 부족 등으로 생육 부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05.27(mon)  |  이현
  • Jeju To Hold Half-Price Public Housing
  • Half-Price Apartments, First Public Housing in Jeju Initiated The first public housing in Samdo-dong, Jeju City is being introduced. The land was purchased last year and full-scale design work has begun. It will be built from one underground floor to nine above ground floors, totaling 72 households. The Province has officially started the public housing lottery project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starting with (삼도동) Samdo-dong. Recording Oh Young-hoon, Governor We have announced the start of the Jeju Hope Public Housing Project, which will allow people to realize their dreams of owning a home with a lower burden and secure better living options. Public housing projects will be created in four locations?Jeju City's (삼도동) Samdo-dong and (봉개동) Bonggae-dong, Seogwipo City's (동홍동) Donghong-dong, and (남원읍) Namwon-eup?totaling about 200 households and will be operated in two forms: land lease and equity accumulation. In the land lease form,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owns the land, and the home buyers own the building. This will be offered at about 65% of the general apartment market rate. The equity accumulation type allows residents to pay only 25% of the sales price upfront and acquire the remaining equity over 20 to 30 years, making it possible to secure a home even without significant initial capital. Samdo-dong and Donghong-dong will proceed with the land lease type, while Bonggae-dong and Namwon-eup will implement the equity accumulation type. Recording Baek Kyung-hoon / President,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Our basic plan is to reduce the initial capital by more than half. We will deliver quality as good as that shown by Samdasoo, produced by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The Jeju-style public housing lottery will start construction in phases from next year, with the lottery beginning in 2026. Occupancy is scheduled between March and July 2027. As the project to raise Jeju's lowest national level of public housing supply begins in earnest, the challenge remains to provide quality housing that meets market demand. "반 값 아파트"…도내 첫 공공분양주택 추진 제주시 삼도동에 도내 첫 공공분양주택이 들어섭니다. 지난해 토지 매입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설계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지하 1층에 지상 9층으로 지어져 전체 72세대 규모입니다. 제주도는 삼도동을 시작으로 민선 8기 공공분양주택 사업을 본격 시작했습니다. <싱크 :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낮은 부담으로 내집을 마련하는 꿈을 실현할 수 있고 더 나은 조건으로 주거 선택권을 확보할 제주 희망 공공분양주택 사업 착수를 선포하게 됐습니다. 공공분양주택은 제주시 삼도동과 봉개동, 서귀포시 동홍동과 남원읍 등 모두 4곳에 200여 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토지임대부와 지분적립형 두 가지 형태로 운영됩니다. 토지임대형은 공공주택사업자인 제주개발공사에서 토지를 갖고 주택 분양자는 건물만 소유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되면 일반 아파트 시세의 65% 수준으로 공급될 전망입니다. 지분적립형은 분양가의 25%만 내고 입주한 뒤 20~30년에 걸쳐 남은 지분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초기에 큰 돈이 없어도 내집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삼도동과 동홍동은 토지임대형으로 봉개동과 남원읍은 지분적립형으로 추진됩니다. <싱크 : 백경훈 / 제주개발공사 사장> 초기 자금을 절반 이하로 줄이겠다는 것이 기본이고요. 제주개발공사에서 잘하는, 삼다수가 보여주는 품질만큼 좋은 품질을 저희가 만들어서 여러분께 돌려드리겠습니다. 제주형 공공분양주택은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착공되고 2026년부터 분양이 시작됩니다. 입주는 2027년 3월부터 7월 사이에 이뤄질 예정입니다. 전국 최하위 수준인 제주 지역 공공주택 보급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사업이 본격 시작된 가운데 시장 수요에 맞는 양질의 주택 제공이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 2024.05.27(mon)  |  이현
  • Jeju Launches Language Song Program
  •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implementing a program to create songs in the Jeju language as part of its Jeju language education initiative. The Jeju language song-making program will run until September and involves five elementary schools, two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across the province. The education consists of writing lyrics in Jeju language, learning melodies, and includes recording sessions with student participation.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lso plans to organize a Jeju language song festival to showcase the students' creations. 제주도교육청, 제주어 노래 만들기 교육 운영 제주도교육청이 제주어 교육의 일환으로 제주어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제주어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은 오는 9월까지 진행되며 도내 초등학교 5개교와 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3개교에서 참여합니다. 교육은 제주어로 가사쓰기와 멜로디 익히기, 그리고 실제 학생들이 참여하는 녹음하기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학생들의 작품 결과물을 발표하는 제주어노래 한마당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 2024.05.23(thur)  |  이현
  • Jeju Extends Takeaway Cup Deposit System
  • Jeju City will permanently implement the disposable cup deposit return system, which has been in pilot operation since April. When disposables are returned to a recycling assistance center, participants will receive one 10-liter garbage bag for every five cups returned excluding their 300 won deposit. During the pilot operation in April, over 2,600 residents participated, returning approximately 42,000 cups to the centers, and approximately 7,500 garbage bags were distributed. 제주시, 일회용컵 회수보상제 연중 실시 제주시가 지난 4월부터 시범 운영 중인 일회용 컵 회수보상제를 연중 실시합니다. 일회용 컵을 반납기가 설치된 재활용도움센터에 반환할 경우 300원의 자원순환보증금 외에 일회용 컵 5개 당 10리터 종량제봉투 1장을 제공합니다. 시범운영 기간인 지난 4월 한달 동안 2천600여 명의 시민이 참여해 4만 2천여 개의 컵이 재활용도움센터에 반납됐고 7천 500여 장의 종량제봉투가 지급됐습니다.
  • 2024.05.23(thur)  |  이현
  • Jeju Rewards Ocean Pollution Reports
  • The Coast Guard offers rewards to reports on marine pollution. The Jeju Maritime Police Agency announced that they will offer a reward ranging from 50,000 won to up to 3 million won to individuals who report acts of dumping oil or various waste materials into the sea from ships or marine facilities. Reports can be made to 119, the public complaint service portal, or the local maritime police station or outpost. 해양 오염 신고, 최대 300만 원 포상금 지급 해경이 해양오염 신고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합니다. 제주해양경찰청은 선박 또는 해양시설에서 기름이나 각종 폐기물을 바다로 버리는 행위를 신고하면 신고자에게 5만원에서 최대 300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신고는 119나 국민신문고, 관할 해양경찰서 또는 파출소로 하면 됩니다.
  • 2024.05.23(thur)  |  이현
  • Jeju Consumer Sentiment Index Drops
  • This month, the consumer sentiment index in Jeju has declined, continuing to fall below the standard level. According to Bank of Korea's Jeju branch, the local consumer sentiment index for this month is 96.9, down 1.3 points from the previous month. As a result, the region has been below the baseline for 10 consecutive months since last August. A consumer confidence index lower than 100 indicates that more households view the economic situation negatively. 이달 제주 소비심리지수 하락…기준치 밑돌아 이달 제주지역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하며 계속해서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이달 도내 소비자심리지수는 96.9로 전달과 비교해 1.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도내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8월부터 10개월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작으면 경제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가구가 더 많다는 의미입니다.
  • 2024.05.23(thur)  |  이현
  • Jeju Ranks Second in Rental Income
  • Jeju has the second-highest average real estate rental income per person in South Korea, following Seoul. According to the 'Provincial Real Estate Rental Income Report' released by Representative Yang Kyung-sook(양경숙) of the National Assembly's Planning and Finance Committee, the average rental income per person in Jeju was 17.95 million won, second only to Seoul's 24 million won. Additionally, the income of the top 0.1% of real estate rental earners in Jeju, consisting of 16 individuals, averaged 621 million won, which is also the second highest in the country. 제주 부동산 임대소득 서울 다음으로 높아 제주도내 1인당 평균 부동산 임대소득이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이 공개한 국세청의 '시도별 부동산 임대소득 신고현황'에 따르면 제주의 1인당 평균 임대소득은 1천795만원으로 2천400만원을 기록한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도내 부동산 임대소득 상위 0.1%에 해당하는 16명의 소득은 평균 6억 2천100만원으로 이 역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 2024.05.23(thur)  |  이현
  • Construction Projects Halted in Jeju
  • A mid-sized construction company in Jeju City facing financial difficulties has been the cause of a series of large-scale public works projects, such as road maintenance, to be halted. According to Jeju Province, halted projects include the Pyeongdae(평대)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Project, the Donam-dong(도남동) public parking construction, and the urban road planned to connect Jeju Joongang Middle School and Onam(오남) Road. Jeju City previously advanced 1 billion won to this company and currently, some of the projects have stalled and remain inactive. Additionally, the company has been reported of facing significant financial difficulties, exacerbated by unsold apartments. 제주시 중견 건설업체가 자금난에 빠지면서 도로 정비 등 대규모 공공 공사가 잇따라 중단 사태를 빚고 있습니다. 제주도와 도내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해당 건설업체가 수주한 공공 공사는 평대 자연재해 위험개선 지구 정비사업과 도남동 공영주차장 용지 정비 공사, 제주중앙중과 오남로간 도시계획도로 개설 공사 등입니다. 특히 제주시는 이 업체에 10억원의 선급금을 지급한 바 있고 현재 일부 공사는 지지부진한 상태속에 멈춰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한편 해당 건설업체는 최근 아파트 미분양 사태로 심각한 자금난을 겪어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2024.05.23(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