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dden Scenic Beauty, Yongcheon Cave
When the pitch-black darkness is illuminated, the majestic interior of the cave unfolds before our eyes.
On the winding cave walls, traces of lava flow can be seen as they were left over time.
(용천) Yongcheon Cave i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466 and is also listed as a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ite.
Stalactite formations growing from the ceiling, along with white stalagmites, create a stunning natural landscape with their harmonious shapes.
In the lower section of the cave, a tranquil lake shimmers with a blue hue.
This hidden 800-meter-long lake inside the deep cave adds to its mysterious charm.
As you dive below the lake, you encounter yet another world.
Unique terrain, formed by flowing lava and partial collapses, holds the quiet traces of time.
Yongcheon Cave is recognized for its value as i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lava and limestone caves, and is well-preserved.
Pottery fragments and animal bones have been discovered, giving the cave significant value not only geologically but also archaeologically.
INTERVIEW
Jin-Seok Gi / Curator, World Natural Heritage Headquarters
You can observe pottery, animal bones, and shells like abalone inside Yongcheon Cave. There are traces of people entering the cav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it is presumed that they entered the cave for rituals or similar purposes.
Yongcheon Cave, which had been closed to the public due to concerns about damage, reveals its awe-inspiring hidden scenery.
'용암이 빚은 숨은 비경' 용천동굴
칠흙 같은 어둠 속을 비추자 웅장한 동굴 내부가 눈앞에 펼쳐집니다.
구불구불 나 있는 동굴 벽면에는
수 차례 용암이 흐른 흔적들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천연기념물 46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용천동굴입니다.
천장에서 자라난 종유관을 비롯해 하얀 석순까지.
자연이 빚어낸 다양한 조형물이 조화를 이루며
경이로운 풍광을 만들어냅니다.
동굴 하류 구간에는
잔잔한 호수가 푸른빛을 뽐냅니다.
깊은 동굴 속 숨겨져 있는
800m 길이의 호수는 신비로움을 더합니다.
호수 아래로 들어가자 또다른 세상을 마주합니다.
용암이 흐르고
일부가 무너져 내리며 만들어진 독특한 지형까지
고요한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용암동굴과 석회동굴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고
보존도 잘 돼 있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용천동굴.
토기 조각과 동물 뼈 등이 발견되기도 하면서
지질학적 측면 뿐만 아니라
고고학적으로도 의미가 큽니다.
<인터뷰 : 기진석 / 세계자연유산본부 학예연구사>
용천동굴 안에 보면 여기 토기도 지금 관찰이 되고 동물 뼈라든지 그리고 조개껍데기, 전복 껍데기 이런 것들도 관찰이 되거든요. 통일 신라시대 때 사람들이 들어왔던 흔적이 있고 그 당시에 이제 어떤 제사를 지냈다든지 이런 목적으로 동굴을 출입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훼손 우려로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용천동굴,
동굴 곳곳 숨겨져 있던
신비로운 모습에
감탄을 자아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