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OVID-19 Resurgence as Schools Reopen
  • COVID-19 Resurgence as Schools Reopen This is an ENT clinic located in Jeju City. After a period of decline, the number of COVID-19 patients has experienced a substantial increase. This is due to two factors: The resistance of the COVID-19 virus to heat, combined with the increased transmissibility of the latest variant. INTERVIEW Kim Yong-beom / ENT Specialist Unlike other viruses, the COVID-19 virus is resistant to heat, and especially the KP.3 variant has strong transmission power, so we expect the spread to continue increasing. After seeing zero cases in mid-May, COVID-19 infections have been steadily rising since the start of summer in July. More than 60% of the cases reported this year involve elderly individuals, raising significant concerns regarding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is high-risk demographic. In addition, with most schools in the province reopening this week, there are heightened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for transmission within dormitories. The province is tightening quarantine measures by inspecting at-risk facilities such as nursing homes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rovince currently has a 10-day reserve of COVID-19 treatments, consisting of approximately 1,300 doses of oral medication and around 200 doses of injectable treatments. However, depending on the island’s COVID-19 transmission rates, the potential spread from other regions, and the availability of treatments, access to treatment could be disrupted. So the province is working hard to secure as many resources as possible. INTERVIEW Kim Tae-chul / Epidemiologist, Jeju Province As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cases increases, the use of treatments is also rising. However, Jeju has about 12 days' worth of treatment supplies available. Health authorities expect that by the end of this month, the number of cases nationwide could reach the highest levels seen since 2023. In light of the jump in COVID-19 cases, personal hygiene practices like handwashing, mask-wearing, and room ventilation are becoming even more urgent. 코로나19 재확산…학교 개학에 유행 우려 제주시내에 있는 이비인후과입니다. 한동안 주춤했던 코로나19 환자가 부쩍 늘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더위에 강한데다 최근 유행하는 변이 바이러스는 전파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 김용범 / 이비인후과 전문의>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더위에 잘 견디고 특히 KP.3 변이 바이러스가 전파력이 강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확산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중순 0명까지 감소했던 제주지역 코로나19 환자는 7월,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전체 환자 가운데 60% 이상이 65살 고령자로 확인되며 고위험군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여기에다 이번주까지 도내 대부분의 학교가 개학을 하면서 집단 생활 중에 추가 확산되지 않을까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우선 요양병원이나 장애인거주시설 등 감염 취약 시설을 점검하는 등 방역에 고삐를 죄고 있습니다. 또 현재까지 코로나19 치료제는 먹는 치료제 1천 300명 분, 주사 치료제 200여명 분 등 10일 가량의 여유분을 갖고 있지만 도내에서의 급속한 확산세나 다른지방의 전파력, 치료제 수급 정도에 따라 차질을 빚을 수 있는 만큼 최대한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태철 / 제주특별자치도 역학조사관>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치료제 사용량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주지역 확보 물량은 약 12일분이 있습니다. 방역 당국은 이달 말쯤 전국적으로 작년 최고 유행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환기와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 위생 수칙이 더욱 중요해지는 요즘입니다.
  • 2024.08.22(thur)  |  이현
  • Violations in Hwabuk Housing Land Permits
  • Jeju City investigated 73 plots of land within the Hwabuk (화북) 2 public housing district, where land use permits had been granted, and found two cases where the land was not being used for its intended purpose. One was for business use and another for agricultural use. The city plans to issue orders to correct the land use, and fines will be imposed when compliance is not met. The Hwabuk 2 district was designated as a land transaction permission zone in November last year, requiring permission for transactions and mandating specific land use within a set period. 화북2공공주택 토지거래 조사, '이행 지연' 2건 제주시가 화북2공공주택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서 토지 허가를 받아 취득한 73필지를 대상으로 실제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사업용과 농업용 각 1필지가 목적대로 이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따라 목적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행 명령을 내리는 한편 소명되지 않거나 계속해서 방치할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11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화북2공공주택지구 1만 6천여 필지는 거래를 위해 허가를 받아야 하고 목적별로 일정 기간 이용 의무가 발생합니다.
  • 2024.08.19(mon)  |  이현
  • Jeju Univ. Hosts Student Writing Contest
  •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Jeju National University is accepting application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province for the 59th Jeju Literature Writing Contest. The contest will be held on October 9th to commemorate Hangeul (한글) Day, with entries accepted until August 30th. Submissions include poetry, essays, or novels. On the day of the contest, there will also be a cultural festival featuring aspi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제주대, 전도 중·고생 백일장 참가 학생 모집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가 제59회 전도 중고등학생 문학백일장 참가 학생 신청을 받습니다. 오는 10월 9일 한글날을 기념해 열리는 이번 백일장 참가 대상은 도내 중,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신청은 오는 30일까지입니다. 백일장은 시나 수필, 소설 등 산문을 작성해 제출하면 됩니다. 한편, 백일장 행사 당일 국어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 국어교사들과 함께하는 축제한마당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 2024.08.19(mon)  |  이현
  • Seogwipo School Wins Gold Medal
  • The Wind Harmonics Orchestra of Seogwipo Middle School won the gold medal at the 7th Korea Student Orchestra Festival held at the Hamyang (함양) Cultural and Arts Center in Gyeongnam (경남). The orchestra performed two pieces, "Memories of Friendship" by Satoshi Yagisawa in addition to a march performance. This gold medal is their second consecutive win, and the team is planning to hold a regular concert at the Seogwipo Arts Center this December. 서귀포중, 대한민국 학생오케스트라 페스티벌 '금상' 서귀포중학교의 윈드 하모닉스교악대가 최근 경남 함양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7회 대한민국 학생오케스트라 페스티벌에서 금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번 페스티벌에서 서귀포중 교악대는 사토시 야기사와의 우정에 대한 기억 등 자유곡과 행진곡 2곡을 연주했습니다. 이번 금상 수상은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로 서귀포중 교악대는 오는 12월 서귀포예술의전당에서 정기연주회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 2024.08.19(mon)  |  이현
  • Housing Market Outlook Declines
  • The housing business outlook index for Jeju fell this month, influenced by the base effect. According to the Housing Industry Research Institute, Jeju's housing business outlook index this month was 88.8, a decline of 11.2 points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The institute explained this year’s decline was due to the base effect of the sustained upward trend rather than a market downturn. Expectations for a recovery in the construction market and an influx of Chinese tourist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 housing business outlook in Jeju.
  • 2024.08.19(mon)  |  이현
  • Jeju Apartment Prices Rise
  • The average sale price of private apartments in Jeju exceeds 24 million KRW per Pyeong. According to the Housing and Urban Guarantee Corporation, the average sale price of private apartments in Jeju was 7.31 million KRW per square meter as of the end of last month, a slight drop compared to a year ago. When converted to 3.3 square meters, this equals 24.18 million KRW, the second highest in the country after Seoul. Prices vary depending on size, with apartments smaller than 85 square meters priced at 23.53 million KRW and those larger than 102 square meters at 25.60 million KRW. 제주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 평당 2,418만원 제주지역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평당 2천 400만원을 웃돌고 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으로 최근 1년간 도내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당 731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만원 하락했습니다. 3.3㎡로 환산하면 2천418만원으로 4천401만원을 기록한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높았습니다. 규모별 분양가는 85㎡ 이하가 2천353만원, 102㎡ 초과 아파트가 2천560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08.19(mon)  |  이현
  • Jeju Residents Urge Steady Fiscal Management
  • As Jeju Province braces for potential economic challenges next year, a recent survey reveals that a majority of residents advocate for maintaining steady fiscal policies. A survey conducted by the Province through its website and in-person inquiries revealed that 60% of respondents expect the fiscal conditions to worsen next year. Despite these concerns, 43.7% believe fiscal operations should remain stable, while 34.9% favor tighter financial measures. When asked about priority investment areas, 16.6% of respondents highlighted the environment, followed closely by social welfare, health, and safety. "내년 재정여건 악화되도 평상수준 유지해야" 내년 재정여건이 악화되더라도 재정운용은 평상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가 내년 예산편성에 따른 설문조사를 홈페이지와 민원실 현장조사를 통해 실시한 결과 1천 4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응답자의 60%가 내년 재정여건이 올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재정이 악화되더라도 재정운용 방향은 평상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43.7%를 차지했고 적극적 긴축재정은 34.9%로 나타났습니다. 우선 투자 분야에 대한 질문에서는 환경이 16.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사회복지.보건, 안전 순으로 높았습니다.
  • 2024.08.19(mon)  |  이현
  • Hidden Scenic Beauty, Yongcheon Cave
  • Hidden Scenic Beauty, Yongcheon Cave When the pitch-black darkness is illuminated, the majestic interior of the cave unfolds before our eyes. On the winding cave walls, traces of lava flow can be seen as they were left over time. (용천) Yongcheon Cave i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466 and is also listed as a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ite. Stalactite formations growing from the ceiling, along with white stalagmites, create a stunning natural landscape with their harmonious shapes. In the lower section of the cave, a tranquil lake shimmers with a blue hue. This hidden 800-meter-long lake inside the deep cave adds to its mysterious charm. As you dive below the lake, you encounter yet another world. Unique terrain, formed by flowing lava and partial collapses, holds the quiet traces of time. Yongcheon Cave is recognized for its value as i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lava and limestone caves, and is well-preserved. Pottery fragments and animal bones have been discovered, giving the cave significant value not only geologically but also archaeologically. INTERVIEW Jin-Seok Gi / Curator, World Natural Heritage Headquarters You can observe pottery, animal bones, and shells like abalone inside Yongcheon Cave. There are traces of people entering the cav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it is presumed that they entered the cave for rituals or similar purposes. Yongcheon Cave, which had been closed to the public due to concerns about damage, reveals its awe-inspiring hidden scenery. '용암이 빚은 숨은 비경' 용천동굴 칠흙 같은 어둠 속을 비추자 웅장한 동굴 내부가 눈앞에 펼쳐집니다. 구불구불 나 있는 동굴 벽면에는 수 차례 용암이 흐른 흔적들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천연기념물 46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용천동굴입니다. 천장에서 자라난 종유관을 비롯해 하얀 석순까지. 자연이 빚어낸 다양한 조형물이 조화를 이루며 경이로운 풍광을 만들어냅니다. 동굴 하류 구간에는 잔잔한 호수가 푸른빛을 뽐냅니다. 깊은 동굴 속 숨겨져 있는 800m 길이의 호수는 신비로움을 더합니다. 호수 아래로 들어가자 또다른 세상을 마주합니다. 용암이 흐르고 일부가 무너져 내리며 만들어진 독특한 지형까지 고요한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용암동굴과 석회동굴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고 보존도 잘 돼 있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용천동굴. 토기 조각과 동물 뼈 등이 발견되기도 하면서 지질학적 측면 뿐만 아니라 고고학적으로도 의미가 큽니다. <인터뷰 : 기진석 / 세계자연유산본부 학예연구사> 용천동굴 안에 보면 여기 토기도 지금 관찰이 되고 동물 뼈라든지 그리고 조개껍데기, 전복 껍데기 이런 것들도 관찰이 되거든요. 통일 신라시대 때 사람들이 들어왔던 흔적이 있고 그 당시에 이제 어떤 제사를 지냈다든지 이런 목적으로 동굴을 출입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훼손 우려로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용천동굴, 동굴 곳곳 숨겨져 있던 신비로운 모습에 감탄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 2024.08.19(mon)  |  이현
  • Civil Defense Drill for Air Raid on 22nd
  • A civil defense drill will be held on the 22nd from 2 PM for 20 minutes. The drill will begin at 2 PM with an air raid alarm siren, followed by resident evacuation and vehicle movement control training. When the alarm is issued, residents should evacuate to the nearest civil defense shelters or underground spaces. Jeju will control vehicle movement on specific roads, including the Jeju High School entrance intersection to the Burim Oncheon entrance intersection. 22일 오후 2시,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 오는 22일 오후 2시부터 20분동안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이 실시됩니다. 훈련은 오후 2시 훈련 공습경보 발령 사이렌을 시작으로 주민 대피와 차량 이동통제 훈련이 실시될 예정입니다. 공습경보가 발령되면 가까운 민방위 대피소 또는 지하공간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제주도는 이날 민방위 훈련을 위해 제주고 입구 삼거리부터 부림온천 입구 사거리 등 일부 도로의 차량이동을 통제할 예정입니다.
  • 2024.08.14(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