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EVs less than 50% Charged on Ferries
  • Following a series of electric car fire incident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as issued recommendations, including limiting the charge level of electric vehicles to 50% when loading them onto ferries. Additionally, charging electric vehicles and other batteries is prohibited while the ferry is in operation. The guidelines also recommend restricting the loading of electric vehicles that have a history of battery-related accidents. However, these are all recommendations and are not legally binding. The Ministry i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legal enforcement.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lans to supply specialized equipment for extinguishing electric car fires to 10 ferries, including those operating in Jeju and Ulleungdo, with plans to extend this to 100 ferries by next year. 전기차 여객선 선적 시 충전율 50% 이하 권고 전기차 화재 사고가 잇따르자 해양수산부가 전기차를 배에 실을 때 충전율을 50%로 제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권고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또 여객선 운항 중에는 전기차 등 배터리 충전을 금지하고 배터리 부분에 충격을 준 사고 이력이 있는 전기차는 선적을 제한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다만 모두 권고 사안에 그쳐 강제성은 없고 법제화에 대해선 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해수부는 전기차 화재 진압 전용 장비를 제주도와 울릉도 등 여객선 10척에 우선 보급하고 내년 중으로 100척에 추가 공급할 계획입니다.
  • 2024.08.12(mon)  |  이현
  • Over 20,000 Fish Die in Fish Farms
  • Amidst ongoing high-temperature alerts in Jeju, fish farm deaths continue to increase. The province reported that by the 8th of this month, 25 fish farms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had lost over 50,000 flatfish. According to data from the Marine 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along the Jeju coast remains above 30 degrees Celsius, suggesting that the damage is likely to increase further. Jeju is conducting on-site investigations of the affected fish farms and operating mobile clinics to diagnose diseases in the fish farms. 고수온 경보 '양식장 폐사' 2만 마리 넘어 제주에 고수온 경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양식장 폐사 피해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지난 8일까지 동부와 서부지역 양식장 12곳에서 광어 2만여 마리가 폐사했다고 밝혔습니다. 해양수산연구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제주 연안 표층수온은 여전히 30도를 넘고 있어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피해 양어장 현장 조사와 함께 양식장 질병 진단을 위한 이동식 병원도 운영 중입니다.
  • 2024.08.12(mon)  |  이현
  • 8% Increase in Tourists During Peak Season
  • As the summer vacation season peaks, Jeju is experiencing a surge in tourist arrivals this month, and the numbers are continuing to climb. According to the Jeju Tourism Association, 345,000 tourists visited Jeju between the 1st and 8th of this month, a 7.9%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Especially last weekend, 90,000 tourists arrived on Jeju Island over two days, marking the peak of vacation demand. The Jeju Tourism Association predicts 43,000 visitors to arrive in Jeju last friday and predicts that the number of tourists will continue to exceed the usual level. 여름 휴가철 절정…8월 관광객 8% 증가 여름 휴가철이 무르익으면서 이달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8일까지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34만5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9% 늘었습니다. 특히 지난 주말엔 이틀간 9만명의 관광객이 제주로 들어와 휴가 수요가 절정에 달했습니다. 제주도관광협회는 오늘 하루 4만 3천명이 제주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이번 주말에도 평소보다 많은 관광객의 발걸음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2024.08.12(mon)  |  이현
  • Harbor Water Play “Dangerous”
  • As the heat wave intensifies, vacationers are flocking to harbors for water activities, but these areas aren't designated for swimming and lack lifeguards, raising safety concerns, especially at night Joseph Kim reports. Harbor Water Play “Dangerous” [Slug] Panpo Harbor in Jeju City Under the scorching sun, the harbor is bustling with people escaping the heat. Adults and children alike are splashing around, trying to cool off. INTERVIEW Park Ji-young / Visitor from Daepo-dong, Seogwipo City We came out for summer vacation, matching it with a day off. It's so cool, the water is so clear, there are lots of fish and shells, and it's really fun. <인터뷰 : 박지영 / 서귀포시 대포동 > 쉬는 날 맞춰서 다 같이 여름휴가 놀러 왔습니다. 너무 시원하고요 물이 너무 맑고 물고기도 많고 고둥도 많아서 정말 재밌습니다. People diving can also be seen, adjusting their posture before plunging into the water. [Slug] Safety personnel deployed to prevent accidents Safety personnel are deployed around the area, restricting diving when the water is shallow to prevent accidents. Recording Safety Officer The shift is from 10 AM to 7 PM. At that time, about 10 to 20 people remain. During high tide, we tell those who can't swim to wear life jackets and ensure they return safely before we finish our shift. <싱크 : 안전요원> (근무는) 오전 10시부터 저녁 7시까지요. (그때는) 한 20명, 10명 정도 남아 계세요. 만조일 경우에는 수영 못하시는 분들 구명조끼 착용하고 안전 귀가해라 말하고 퇴근해요. The problem arises at night. [Slug] No safety personnel at night After the evening shift ends, there are no safety personnel on duty anymore. [Slug] Yongdam Harbor in Jeju City Even at night, another harbor in Jeju city remains crowded. People run from a distance and dive straight into the water without hesitation. With lights on and exciting music playing, they even perform stunts while diving. [Slug] Diving without safety gear raises accident concerns Climbing up ropes attached to the walls and repeatedly jumping off, multiple people dive simultaneously without safety gear, making it a perilous scene. [Slug] Harbor restricted for water activities but crowded This harbor is a place where fishing boats come and go, restricting activities like diving and swimming, but this is largely ignored. Moreover, there are no safety personnel, raising concerns about potential dangers. [Slug] Harbors have high risk of accidents due to vessels and surrounding facilities At harbors, there is a high risk of accidents due to the vessels and surrounding facilities. [Slug] Difficult to see depth and obstacles at night Especially at nigh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assess the water's depth or any obstacles, making it even more dangerous. [Slug] Last month accidents including injuries during diving at Wollyeong Harbor Last month, at (월령) Wollyeong Harbor in Jeju City, a vacationer diving into a shallow depth of 1.5 meters was severely injured, among other accidents. With vacationers flocking to the island's harbors, accidents have been occurring day and night. [Reporter] Joseph Kim [Camera] Jwa Sang-eun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re have been about 50 accidents in the island's harbors, resulting in 16 fatalities. Joseph Kim, KCTV 밤에도 '풍덩'…항포구 물놀이 '위험' [제주시 판포포] 뙤약볕이 내리쬐는 포구.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피서객들로 북적입니다. 어른 아이할 것 없이 물장구를 치며 더위를 식혀봅니다. <인터뷰 : 박지영 / 서귀포시 대포동 > 쉬는 날 맞춰서 다 같이 여름휴가 놀러 왔습니다. 너무 시원하고요 물이 너무 맑고 물고기도 많고 고둥도 많아서 정말 재밌습니다. 다이빙을 하는 사람들도 눈에 띕니다. 자세를 고쳐잡고 물 속으로 뛰어듭니다. [곳곳 안전요원 배치돼 안전사고 대비] 곳곳에는 안전요원이 배치돼 수심이 낮을 때는 다이빙을 제한하는 등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싱크 : 안전요원> (근무는) 오전 10시부터 저녁 7시까지요. (그때는) 한 20명, 10명 정도 남아 계세요. 만조일 경우에는 수영 못하시는 분들 구명조끼 착용하고 안전 귀가해라 말하고 퇴근해요. 문제는 밤 시간대입니다. [야간 시간대에는 안전요원 상주 안해] 저녁 근무 시간이 끝나면 안전요원은 더이상 상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주시 용담포구] 캄캄한 밤에도 북적이는 제주 시내 또다른 포구. 멀리서 달려와 거침없이 물 속으로 뛰어듭니다. 조명에 신나는 음악을 켜놓고 묘기까지 부리며 다이빙을 선보입니다. [안전장비도 없이 다이빙 하며 사고 우려] 벽면에 있는 밧줄을 잡고 올라와 뛰어내리기를 반복하고, 안전장비도 없이 여러 명이 동시에 몸을 던지기도 하면서 아찔해 보입니다. [어선 오가는 포구, 물놀이 제한돼 있지만 물놀이객 '북적'] 해당 포구는 어선들이 오가는 곳으로, 다이빙이나 수영 등 물놀이가 제한돼 있지만 아랑곳 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안전요원도 배치돼 있지 않아 위험이 우려됩니다. [항포구, 선박·주위 시설로 인해 인명사고 가능성 커] 항포구에서는 선박과 주위 시설물로 인해 인명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야간에는 수심, 장애물 등 확인하기 어려워 '위험'] 특히 밤에는 물의 깊이나 장애물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더욱 위험합니다. [지난달, 월령포구서 다이빙하던 물놀이객 다치는 등 사고 잇따라] 지난달 제주시 월령포구에서는 1.5m의 낮은 수심에 다이빙을 하던 물놀이객이 크게 다치는 등 도내 항포구에 피서객들이 몰리면서 밤낮으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좌상은, KCTV : Joseph Kim] 최근 3년 사이 도내 항포구에서 발생한 사고는 50여 건으로 이로 인해 16명이 숨졌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4.08.12(mon)  |  이현
  • “Mokkeabi” Delivery App Discounts Return
  • The province will provide a 3,000 won delivery fee discount coupon to customers using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delivery app 'Mokkeabi' starting on the 9th. The event was suspended due to budget exhaustion but is being resumed with additional funding and can be used once a day. Jeju previously conducted various benefits when using the local currency Tamnaneunjeon(탐나는전). Currently, Mokkeabi has 3,200 member stores, 38,000 members, and a cumulative sales of 7.2 billion won. 먹깨비 이용 고객 '배달비 할인쿠폰' 지원 재개 제주특별자치도가 9일부터 민관협력형 배달앱인 '먹깨비' 이용 고객에게 3천 원의 배달비 할인쿠폰을 지급합니다. 이 행사는 예산 소진으로 중단됐지만 추가 예산을 확보해 다시 시행되고 있으며 1일 1회 즉시 사용 가능합니다. 제주도는 앞서 낮은 가맹점 수수료와 지역화폐인 탐나는전 사용에 따른 혜택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중입니다. 현재 먹깨비 가맹점은 3천 200개소, 회원수는 3만 8천명, 지금까지 누적 매출액
  • 2024.08.08(thur)  |  이현
  • Inspect Illegal Act in the Water Source Area
  • Jeju will conduct special inspections for illegal activities and water pollution emissions in 11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until next month. The focus will be on illegal land use changes, unlicensed businesses, land modification, and fishing or cooking activities. Jeju Province will refer serious and chronic violations to judicial authorities. 상수원보호구역 주변 불법행위 특별단속 제주도가 다음달까지 도내 11개소 상수도보호구역을 대상으로 불법행위와 수질오염물질 배출행위를 중점 단속합니다. 특히 불법 용도변경과 무허가 영업, 형질변경, 낚시나 취사행위를 중점적으로 확인합니다. 제주도는 적발된 위반행위가 중대하고 고질적으로 판단되면 사법기관에 고발조치할 방침입니다.
  • 2024.08.08(thur)  |  이현
  • Odeongbong Apartment Sale
  • The sale of a large-scale apartment complex in Odeongbong(오등봉) Park in Jeju City, will begin this month. Hoban(호반) Construction announced that it will be selling 'We Park Jeju' apartments in Odeongbong(오등봉) Park at the end of this month. The sale includes 1,401 units in 28 buildings which will be the largest scale in the region. The average sale price is 26.28 million won per 3.3 square meters, about 2 million won higher than the privately initiated apartment in Jungbu Park earlier this year. 오등봉공원 아파트 이달 분양…1,400가구 규모 제주시 오등봉공원 민간특례사업으로 조성되는 대단지 아파트에 대한 분양이 이달 시작됩니다. 호반건설은 오등봉공원 내 아파트 '위파크 제주'를 이달 말 분양한다고 밝혔습니다. 분양 규모는 전체 28개 동에 1,401 가구로 도내 최대 규모입니다. 아파트 분양가는 3.3제곱미터당 평균 2천628만원으로 올해 초 타결된 중부공원 민간특례 아파트보다 200만원 가량 높습니다.
  • 2024.08.08(thur)  |  이현
  • Jeju Int’l Wind Ensemble Festival in Progress
  • The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is underway and will continue through the 16th at various locations, including the Jeju Beach Performance Hall and the Jeju Culture and Arts Performance Association. Various events including maestro concerts and village performances are being held across Jeju. During the festival, the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and Percussion Competition will also take place, featuring 180 musicians from 14 countries. KCTV Jeju Broadcasting will record and broadcast the main events, including the opening performance of the festival. 제주국제관악제 개막…16일까지 공연·경연 다채 제주국제관악제가 진행중인 가운데 오는 16일까지 제주해변공연장과와 문예회관 등 도내 곳곳에서 펼쳐집니다. 제주 곳곳에서 마에스트로 콘서트와 우리동네 관악제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됩니다. 행사기간 제주국제관악.타악콩쿠르도 함께 열려 14개국 180여 명의 연주자들이 열띤 경연을 펼칠 예정입니다. KCTV 제주방송은 이번 제주국제관악제 개막공연을 비롯핸 주요 행사를 녹화방송할 예정입니다.
  • 2024.08.08(thur)  |  이현
  • Heatwave Hits Jeju Carrot Crops
  • The ongoing heatwave has affected carrot germination in the eastern region. In Gujwa-eup, a major carrot production area, carrot sowing began last month, but about 40% of the sown seeds have not germinated for over 15 days. Carrots usually germinate a week after sowing, but the heatwave warning and lack of rain have caused the seeds to dry out and die. Jeju Province and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re assessing the exact extent of the damage and installing water bags in key locations to provide water support. 폭염 영향 동부지역 당근 발아 피해…"급수 지원" 폭염 영향으로 파종시기를 맞은 당근도 일부 피해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당근 주산지인 구좌읍 일대에는 지난 달 부터 당근 파종이 시작돼 현재 40% 가량 마무리 됐지만 보름 넘게 발아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보통 파종 후 일주일 지나면 발아가 되는데 폭염 경보가 발효되고 이 기간 비도 내리지 않으면서 땅 속에서 말라 죽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와 농협은 정확한 피해규모를 파악하는 한편 거점별로 물백을 설치해 급수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 2024.08.08(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