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Supports Maternity Expenses
  • Jeju City is offering financial support for maternity-related medical expenses and delivery benefits to alleviate the economic burden on low-income prospective parents and encourage healthy childbirth. The maternity medical expense support provides 1 million KRW per fetus for medical aid recipients who are pregnant, including cases of miscarriage and stillbirth, as well as for infants under two years old. The delivery benefit offers 700,000 KRW to basic living allowance recipients. Applications are available one month prior to the due date. 제주시, 저소득층 임신 출산 진료비·해산급여 지원 제주시가 저소득 예비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건강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임신 출산 진료비와 해산급여를 지원합니다. 임신 출산 진료비는 의료급여수급자가 임신 중이거나 유산과 사산을 포함한 출산 수급자, 출생일로부터 2살 미만인 영유아를 대상으로 태아당 100만 원이 지급됩니다. 해산급여는 기초생계 수급자 등을 대상으로 출산에 필요한 해산급여 70만 원이 지원되고 출산 한 달 전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 2024.08.01(thur)  |  이현
  • Jeju Inspects Tourist Restaurants and Lodgings
  • Jeju City will conduct special inspections of 400 restaurants and lodging facilities popular among tourists this month. The inspections will focus on appropriate pricing, the display of internal and external price tags, and the presence of unlicensed businesses around tourist areas. In response to recent complaints about price gouging in seasonal restaurants, the city aims to protect consumer choice by ensuring reasonable pricing and the display of menu photos. For lodging facilities, inspections will cover room cleanliness and sanitation practices. 제주시, 관광객 이용 음식점·숙박업소 400곳 특별점검 제주시가 이달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는 음식점과 숙박업소를 특별 점검합니다. 점검 대상은 400곳으로 음식점인 경우 적정 가격 책정과 내외부 가격표 게시 여부, 관광지 주변 무신고 영업행위 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특히 최근 바가지요금 논란이 불거진 계절음식점은 소비자들이 수용 가능한 합리적인 가격 책정과 메뉴 사진을 게시하도록 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호할 방침입니다. 숙박업소의 경우 객실 청결 상태와 소독 실시여부 등을 점검할 계획입니다.
  • 2024.08.01(thur)  |  이현
  • Seongsan Clam Festival Opens on the 3rd
  • The 3rd 'Sungsan Clam Festival’ will be held on the 3rd and 4th at the Seongsan intertidal sand flats and Gwangchigi Beach area. The festival, set in Jeju's only mudflat, the 943,000-square-meter Seongsan intertidal zone, offers unique experiences, including clam and shellfish-catching activities. The event also includes programs exploring the island's natural and ecological heritage and the Seongsan-Ojo (성산오조) Geological Trail. The opening day will feature a drone light show with 1,100 drones, the world's largest. '성산 조개바당 축제' 3일 성산 갯벌서 개막 제3회 성산 조개바당 축제가 오는 3일과 4일 이틀 동안 성산 내수면 모래갯벌과 광치기 해변 일대에서 열립니다. 제주 유일의 갯벌인 성산읍 내수면 94만 3천제곱미터에서 펼펴지는 이번 축제는 제주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조개잡이와 바릇잡이 체험 등이 마련됩니다. 이와 함께 생태자연유산 탐험 프로그램과 성산오조 지질트레일 프로그램 등이 진행됩니다. 개막식 당일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1천100대의 드론 불꽃쇼가 펼쳐질 예정입니다.
  • 2024.08.01(thur)  |  이현
  • Jeju's Drinking Water Quality 'Satisfactory'
  • The water quality inspection for raw and bottled water in Jeju's water-related businesses has shown satisfactory results. The inspection covered businesses like the Korean Airports Corporation (KAC),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and the company ‘Hallasan’. It checked workplace hygiene, the adequacy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compliance with water quality standards. Additionally, 50 quality checks were conducted on bottled drinking water in circulation. 도내 먹는 물 수질 모두 '적합' 판정 제주도가 도내 먹는 물 관련 영업장의 원수와 제품수, 시중에 유통중인 먹는 샘물에 대한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물 관련 영업장은 한국공항과 제주도개발공사, 한라산으로 이들 업체에 대해 작업장 위생관리와 함께 시설이나 장비의 적정성, 수질기준 적합여부 등을 확인했습니다. 또 유통 중인 먹는 샘물에 대해서는 50개 항목에 대해 수질검사를 진행했습니다.
  • 2024.08.01(thur)  |  이현
  • 4,500 EVs for Public Distribution
  • Jeju is launching a public distribution program for 4,500 electric vehicles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he program offers an additional 10% national subsidy on top of the existing provincial subsidy for families with multiple children. The subsidy benefits, previously limited to small business owners, will be extended to the primary industry sector. Additionally, the restriction period for support on the repurchase of electric trucks will be reduced from five years to two. Currently, 37,500 registered electric vehicles are in Jeju, accounting for 9% of the total, the highest penetration rate in the country. 하반기 전기자동차 4천 500대 민간보급 공모 제주도가 올 하반기에 4천 500대의 전기차 민간보급사업을 추진합니다. 특히 다자녀 가정에 대해 기존 도비 보조금에 더해 국비로 10%를 추가 지원합니다. 또 기존 소상공인으로 한정됐던 전기 화물차 보조금 혜택을 1차산업 대상으로 확대합니다. 또 전기화물차 재구매에 대한 지원 제한 기간을 5년에서 2년으로 단축합니다. 현재 제주에 등록된 전기자동차는 3만 7천 500대로 전체의 9%를 차지하며 전국 최고의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2024.08.01(thur)  |  이현
  • Bus Route Revision Sparks Public Outcry
  • Citizen groups and political parties, under the coalition "Nuclear-Free Climate Crisis Jeju Action," are demanding a review of recent bus route changes that they argue ignore public convenience and restrict mobility rights. In a statement, they criticized the route changes, noting that the reduction in bus services mainly affects commuters and students who rely on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in low-demand areas where non-profitable routes have been cut. They argued that the role of public transportation has been reduced to mere efficiency and market logic, with no consideration for the needs of bus users. They also pointed out that the route changes focused solely on cost savings without considering the perspectives of local bus users. "편의 외면·이동권 제약 버스노선 개편 재검토" 제주지역 시민사회 단체와 정당 등으로 구성된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이 시민편의를 외면하고 이동권을 제약하는 버스노선 개편을 재검토 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버스 감차 피해가 대중교통으로 출퇴근 하고 등하교 하던 도민과 학생들에게 집중되고 특히 수요가 적은 지역에 배치됐던 비수익 노선에서 발생하며 공공대중교통의 역할이 오로지 효율과 시장 논리에 맡겨졌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노선 개편을 비용 절감에만 치중하고 버스 이용 도민들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고 꼬집었습니다.
  • 2024.08.01(thur)  |  이현
  • Rainy Season Ends, Heat Begins
  • Rainy Season Ends, Heat Begins Jeju’s rainy season, which started on the 19th of last month, has ended. The region’s third typhoon, called Gemi, pushed the stationary front north, effectively ending this year's rainy season on the 27th. In Jeju this year, the rainy season spanned 39 days, approximately a week longer than the typical duration of 32.4 days. Furthermore, the precipitation during this period was significant. During 2024’s rainy season, Jeju received 561.9mm of rain. This is more than 1.5 times the usual of 348.7mm. With the long and heavy rains retreating, scorching heat is expected to follow. Kim Seong / Jeju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t will be hot for the time be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orth Pacific high-pressure system. Although there are no current rainfall forecasts, there is a continued possibility of showers for the time being. Please take care of your health in the heat. In this weather, Jeju’s power consumption record has once again broken an all-time high, though all in just five days. Experts point to a notable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during evening hours. This surge is primarily attributed to people returning home from work and tourists settling into their accommodations and turning on their air conditioners. The power company expects that due to soaring temperatures, characterized by tropical nights, and the influx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ts, Jeju’s power demand will continue to set new records this year. Kim Yeong-hwan / Head, Jeju Branch of the Power Exchange This year is expected to be particularly hot, so we expect continuous record power demand until mid-August. For the time being, temperatures will reach perceived highs of 35 degrees, and tropical nights are expected to continue for now, raising the danger of heat-related ailments. 길었던 올해 장마 끝…본격적인 찜통더위 지난 달 19일 제주에서 시작된 장마가 끝이 났습니다. 제3호 태풍 개미가 정체전선을 북쪽으로 밀어내면서 지난 27일 사실상 우리나라 올해 장마가 종료된 겁니다. 올해 제주 장마기간은 39일. 평년 32.4일보다 일주일가량 길었습니다. 강수량도 많았습니다. 이번 장마기간 제주지역 강수량은 561.9mm 평년 강수량인 348.7mm의 1.5배 넘는 수준입니다. 길고 많은 비를 뿌린 장마가 물러가며 본격적인 무더위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김 성 / 제주지방기상청 예보관> 당분간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덥겠으며 현재 강수 예보는 없으나 당분간 소나기 가능성은 계속 유지돼 있습니다. 무더위 건강 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같은 날씨 속에 제주지역 전력수요는 닷새 만에 역대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웠습니다. 특히 퇴근 후 귀가와 관광객들이 숙소로 복귀하는 저녁 시간대 냉방기 사용량이 증가하며 전력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 열대야 등 무더운 날씨와 국내외 관광객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올해 제주지역의 전력수요가 계속해서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영환 /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 올해는 특히 무더운 여름으로 예보되고 있어서 8월 중순까지는 계속적인 최대 전력 경신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분간 체감 온도는 35도 안팎에 이르고 야간에는 열대야가 계속 이어지는 밤낮없는 무더위가 예상되는 만큼 온열질환 등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 2024.08.01(thur)  |  이현
  • Jeju Opens Shelter for Out-of-Home Youth
  • A shelter for protecting young run-a-ways or those living away from home due to other various reasons is set to begin operations. The province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a temporary youth shelter in Samyang-dong, Jeju City. The shelter can accommodate up to 10 people and includes separate bedrooms and bathrooms for boys and girls, an activity room, and counseling rooms. It offers protection, basic necessities, and medical and counseling services to support youth in returning to their families or integrating into society. 제주도, 가정 밖 청소년 '보호 쉼터' 운영 가출 등으로 인한 가정 밖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한 쉼터가 운영을 시작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시 삼양동에 일시청소년쉼터를 조성하고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입소 정원은 10명이며 남여 청소년 침실과 화장실, 단체 활동실, 상담실 등이 갖춰졌습니다. 쉼터에서는 청소년을 일정 기간 보호하며 의식주를 제공하고 의료나 상담 서비스를 통해 가정과 사회로의 복귀를 지원하게 됩니다.
  • 2024.07.29(mon)  |  이현
  • Household Loans Increase in Jeju
  • In May, household loans in Jeju switched to an increasing trend.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the Bank of Korea, the balance of loan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in Jeju rose by 147 billion won in May, totaling 39.414 trillion won. Household loans increased by 120 billion won, mainly due to mortgage loans, marking a reversal in growth. In contrast, corporate loans saw a reduced increase. The household loan delinquency rate dropped to 0.84%, down 0.13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month, while the corporate loan delinquency rate increased to 0.93%, up 0.13 percentage points. 가계대출 증가 전환…주택담보 늘어 지난 5월 제주도내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지난 5월 제주지역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1천 470억원 증가한 39조 4천 14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차입주체별로 보면 가계대출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120억원 늘어 증가 전환했으며 기업대출은 증가폭이 축소됐습니다. 이와 함께 가계대출 연체율은 0.84%로 전월 대비 0.13%포인트 하락했으며 기업대출 연체율은 0.93%로 0.13%포인트 올랐습니다.
  • 2024.07.29(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