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Fire Dept Issues Grass Cutting Safety Alert
  • As the grass-cutting season before Chuseok approaches, the fire department has issued a safety alert. According to the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over the past five years in Jeju, one person died and 172 were injured during grass-cutting operations, with 85.6% of these incidents occurring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just before Chuseok. The most common cause for 38.2% of accidents was machinery like grass trimmers, followed by physical strain and collisions during excessive work. 소방, 추석 벌초시기 '안전사고 주의보' 발령 추석 전 벌초 시기가 다가오면서 소방이 안전사고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 사이 제주에서 벌초작업 도중 안전사고로 1명이 숨지고 172명이 다쳤으며 이 가운데 85.6%가 추석을 앞둔 8월에서 9월 사이 집중됐습니다. 원인별로는 예초기 등 기계에 의한 사고가 38.2%로 가장 많았고, 무리한 작업으로 인한 신체적 요인, 부딪힘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08.23(fri)  |  이현
  • Chuseok Tamna-jeon Benefits Expanded
  • In celebration of Chuseok, Jeju Island is boosting its local currency benefits, Tamnaneunjeon, to enhance consumer spending and stimulate the local economy. Until September 22, shoppers using local currency at participating stores with annual sales under 1 billion KRW will double their accumulation points from 7% to 14%. The monthly accumulation limit will also increase from 700,000 KRW to 1 million KRW, and the range of eligible stores will expand from those with annual sales under 300 million KRW to those under 1 billion KRW. 추석 맞아 탐나는전 혜택 '확대'…포인트 14% 적립 제주도가 추석을 맞아 소비심리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을 위해 지역화폐인 탐나는전 적립 혜택을 확대합니다 이에따라 다음달 22일까지 연 매출액 10억 원 이하 가맹점에서 탐나는전으로 결제하면 적립포인트가 기존 7%에서 14%로 두 배 상향됩니다. 적립 한도도 기존 월 7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상향되고 사용처 역시 연 매출액 3억 원 이하 가맹점에서 10억 원 이하 가맹점으로 확대됩니다.
  • 2024.08.23(fri)  |  이현
  • Jeju's First Youth Mall Closing, Lake of Efforts
  • Jeju's First Youth Mall Closing Down, Lake of Efforts The Youthful Vitality Youth Mall is located in the (중앙로) Jungang-ro shopping district of Jeju City. This youth mall was the first in Jeju, created in 2019 with 2.4 billion won from a government project aimed at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and creating jobs for young people. Most of the stores have closed, and miscellaneous items are left abandoned in the vacant spaces. Even during lunchtime, the tables are empty. The broken kiosk set aside and the dust accumulated throughout the store indicate that a long time has passed. The few stores that remain open are also on the verge of closing soon. This November, the five-year youth mall project will end, leading to the closure of the mall. Although last year it was selected for an activation project and secured 400 million won in government funds, this was not enough to revive the youth mall. Local merchants who had hoped for revitalization are disappointed that the youth mall is ending without any significant achievements. Local merchant near the Youth Mall They tried hard, thinking it would work, but it only trapped the young people. We helped these young people make a living, but they all eventually gave up and left. Later on, they were left in debt. The situation is similar at the youth mall in the basement of Dongmun Public Market, which opened in 2021 with tens of billions of won. Despite being located in a high-traffic area within Dongmun Market, there are few visitors, leaving the mall quiet. Although the youth mall offers the advantage of low rent and facility usage fees, it has not been properly publicized, and as a result, it has not been activated for years, with repeated recruitment efforts for vacant store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follow-up and post-management after the project was selected. Shin Seon-hye / Merchant at Dongmun Public Market Youth Mall Even local residents who visit say, 'This place is so nice, why didn't we know about it? We come to the market all the time.' This shows how poorly it has been promoted.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 city hall or even Dongmun Market had put up banners, but such efforts were lacking. As youth malls across the country continue to close, there are concerns that the repeated cycle of recruitment and withdrawal without proper analysis of failure factors may not be appropriate, and there is a call for fundamental discussions on this issue. 문 닫는 제주 첫 청년몰…활성화 뒷전 제주시 중앙로상점가에 위치한 생기발랄청년몰. 전통시장 활성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정부의 공모사업에 선정돼 24억 원을 들여 지난 2019년 제주에 처음으로 조성된 청년몰입니다. 대부분의 점포가 문을 닫았고 빈 점포에는 잡동사니들이 방치돼 있습니다. 점심시간임에도 테이블은 텅 비었습니다. 고장나 한쪽으로 치워둔 키오스크와 매장 곳곳에 쌓인 먼지들은 오랜 시간이 지났음을 짐작케합니다. 그나마 운영 중인 매장도 조만간 폐업을 앞두고 있습니다. 오는 11월, 청년몰 사업기간인 5년이 종료되며 폐장을 앞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활성화 사업에도 선정돼 4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지만 이마저도 청년몰을 되살리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내심 활성화를 기대했던 인근 상인들도 별다른 성과없이 종료되는 청년몰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청년몰 인근 상인> 해볼 거라고 열심히 하는데 젊은 애들 잡는 일이지... 돈 없는 청년들 먹고살게 해 줬지만 손 다 털고 나갔잖아. 나중에는 빚졌지 그 사람들. 인근 동문공설시장 지하에 지난 2021년 수십억 원을 들여 개장한 청년몰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유동 인구가 많은 동문시장 안에 위치해 있지만 이용하는 사람은 없어 한산하기만 합니다. 임대료와 시설 사용료가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청년몰 자체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수년째 활성화되지 않으면서 빈점포 입점 모집만 반복되고 있습니다. 사업 선정 이후 후속 조치 등 사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겁니다. <신선혜 / 동문공설시장 청년몰 입점상인> 도민분들도 오셔서 '이렇게 좋은데 왜 우리가 몰랐지? 시장 맨날 오는데' 이럴 정도로 홍보가 안 된 편이라서. 시청이나 이런 주변이나 아니면 동문시장에 현수막이라도 걸었으면 좋겠는데 그런 부분이 조금 미흡하지 않았나. 전국적으로 청년몰 폐장이 잇따르는 가운데 실패 요인에 대한 제대로운 분석 없이 쳇바퀴 돌듯 모집과 철수를 반복하는게 타당한지 이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 2024.08.23(fri)  |  이현
  • Tamna Library Reading Month of September
  • Tamna Library will host various programs to celebrate the ‘Month of Reading’ in September. Tamna Library, along with Aewol (애월) Library and Hankyeong (한경) Library, will offer 26 programs, including book talks, exhibitions, humanities lectures, and children's reading quizzes. The libraries will also host additional events to encourage participation. Program participation is available through the Jeju Public Library website. 탐라도서관, 9월 독서의 달 프로그램 운영 탐라도서관이 9월 독서의달을 맞아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에 탐라도서관과 애월도서관, 한경도서관 등에서 북토크와 전시회, 인문학 강연, 어린이 독서 퀴즈 등 26개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이와 함께 도서 대출 2배 데이와 연체자 해제 이벤트 등을 통해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입니다. 프로그램 참여는 제주도 공공도서관 누리집을 통해 가능합니다.
  • 2024.08.22(thur)  |  이현
  • Pests in the Sanabangsan on the Rise
  • An unprecedented tree die-off has occurred in Sanbangsan (산방상), a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prompting an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Jeju World Heritage Center, a group of pest infestations began last week in the chestnut tree plantation near the 350m summit of Sanbangsan. The Center believes the recent drought and heatwave have weakened the trees, allowing pest damage to spread rapidly. Drones will be deployed to assess the extent of damage, and tree samples will be sen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for testing. Source: Jeju World Heritage Center 산방산 정상 산림 '병해충' 확산…원인 조사 국가지정 문화재인 산방산에 유례 없는 나무 고사 피해가 발생해 당국이 원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제주도세계유산본부에 따르면 지난 주부터 해발 350m 산방산 정상 부근에 서식하는 구실잣밤나무 조림지에서 집단 병해충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유산본부는 최근 가뭄과 폭염으로 수세가 약해진 상태에서 해충 피해가 빠르게 확산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조만간 드론을 투입해 정확한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나무 시료를 채취해 국립산림과학원에 검사를 의뢰할 예정입니다.
  • 2024.08.22(thur)  |  이현
  • Ice Cream on Hallasan
  • The kind gesture of young people giving away ice cream to hikers on Hallasan Mountain on Independence Day has warmed hearts.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awarded a plaque of appreciation to locals Jo Shin-hong (조신홍) and Kwak Yong-jun (곽용준) for distributing 150 ice creams for free on August 15 at the summit of Hallasan. The individuals carried heavy coolers and hiked six hours to the summit, where they distributed the ice cream to climbers. They explained that they wanted to do something meaningful for Independence Day. 광복절에 한라산서 아이스크림 나눔 선행 '눈길' 광복절 한라산 등산객들에게 아이스크림을 나눠준 청년들의 선행이 알려져 훈훈함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제주관광공사는 지난 15일 한라산 정상에서 아이스크림 150개를 무료로 나눠주며 제주 이미지 개선에 기여한 도민 조신홍, 곽용준씨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무거운 아이스박스를 들고 6시간의 등반 끝에 한라산 정상에 도착해 아이스크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무료 나눔 활동을 펼쳤습니다. 이들은 올해 광복절을 맞아 뜻깊은 일을 고민하다가 아이스크림 무료 나눔 활동을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4.08.22(thur)  |  이현
  • Jeju Citrus Splitting Post-Typhoon
  • Citrus fruits in the province are experiencing splitting damage due to heatwaves, drought, and the recent typhoon. The Seogwipo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reports that continuous heat and rains have caused splitting, especially in trees with many fruits. The hot and humid weather brought by Typhoon Jongdari (종다리) is expected to exacerbate the damage. Th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s conducting inspections to assess the damage and is urging preventive measures. 감귤 열매 터지는 '열과 피해'…태풍 이후 피해 확산 무더위와 가뭄 그리고 태풍 등의 영향으로 감귤 열매가 터지는 열과 피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는 폭염이 지속된 상태에서 최근 비 날씨까지 이어지면서 열매가 많이 달린 감귤 나무를 중심으로 열과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태풍 종다리가 몰고 온 고온 다습한 기후로 인해 열과 피해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농업기술센터는 피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예찰을 벌이는 한편 피해 예방을 위한 방제 작업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4.08.22(thur)  |  이현
  • High Sea Temperature Causing Fish Farm Damage
  • Despite the passage of Typhoon Jongdari (종다리), high sea temperatures in coastal waters cause rising concerns about damage to fish farms. According to the Jeju Marine Research Institute, sea surface temperatures at key locations including Jeju Port, Marado island (마라도), and Jungmun (중문) exceed 30°C, which is 2-3°C higher than average. Fish farms in Daejeong-eup (대정읍), which use warm seawater, report temperatures close to 32°C. High temperatures have caused the death of approximately 162,000 flatfish in over 50 fish farms, and damages are expected to increase. 태풍 지나도 바다 '고수온' 여전…광어 16만 마리 폐사 태풍 종다리가 지나간 이후에도 제주 바다 고수온 현상은 해소되지 않으면서 양식장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제주해양수산연구원 관측 정보에 따르면 제주항과 마라도, 중문 등 주요 지점의 바다 표층 수온은 30도를 넘고 있고 평년보다 2 ~ 3도 오른 고수온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고수온 바닷물을 끌어 쓰는 대정읍 일대 양식장 수온은 32도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고수온 때문에 양식장 50여 곳에서 광어 16만 2천여 마리가 폐사했고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2024.08.22(thur)  |  이현
  • COVID19 Absence Counted for Attendance
  • The Jeju Education authorities announced that student absences due to COVID-19 will be treated as attendance to prevent further spread of the virus. The Jeju POE expects an increase in COVID-19 cases among students with the start of the second semester. Students with severe COVID-19 symptoms are encouraged to stay home and rest. If they submit a medical certificate, their absence will be considered as attendance. Schools are also instructed to ventilate classrooms every two hours and secure quarantine supplies. 도교육청, 코로나 확진 학생 결석 '출석 인정' 처리 제주교육당국이 코로나 재확산을 막기 위해 감염 학생의 결석을 출석으로 인정하도록 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2학기 개학 시기를 맞아 코로나19 감염 학생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코로나 증상이 심하면 등교하지 말고 집에서 쉬도록 권장하고 진료확인서 등을 제출하는 경우 등교하지 않은 기간도 출석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각급 학교에는 2시간 마다 교실을 환기하고 방역 물품을 확보하도록 주문했습니다.
  • 2024.08.22(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