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reased Hornet Activity Caution
이현   |  
|  2024.09.23 10:33
Increased Hornet Activity Caution


A paramedic sprays a pine tree with a hornet nest removal spray.

Around 11:40 AM on the 19th, four visitors walking on a trail about 300 meters from the entrance of Saryeoni Forest were stung by hornets.


Over 20 hornets suddenly appeared under a pine tree, stinging the visitors on their heads, arms, and legs, leading them to be transported to the hospital.

Two forest trail management staff members, who were carrying out safety measures, were also stung and received first aid.

INTERVIEW
Saryeoni Forest Trail Representative
It seemed like more than 20 hornets charged at us. We couldn't fight them off, so we evacuated to a safe place, and after 119 arrived to provide first aid, the situation was managed.

The fire department removed the hornet nest in the ground under the pine tree by covering it with soil.

Jeju City has temporarily controlled access to the trail leading to the accident site, considering the high risk of additional incidents, and is monitoring to see if the hornets reappear.

INTERVIEW
Saryeoni Forest Trail Representative
The hornets suddenly emerged from the ground with a strong sense of aggression. They attack immediately as you approach, so since they are in the area, we have controlled access to ensure the safety of visitors.

More than 60% of the annual hornet nest removal dispatches and sting incidents are concentrated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This year, as the heatwave comparable to midsummer has continued into mid-September, the risk of hornet sting incidents has also increased.


Last September, there were 6 incidents, but this year, in just 19 days, there have already been 9, a 1.5 times increase.

Hong Il-jun / Jeju Fire Station
It is better to choose bright-colored hats and clothing instead of dark colors, wear long clothing to minimize skin exposure, avoid using strong-scented cosmetics, and be cautious if you have sweet beverages or leftover food with you.

The fire departmen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porting any discovered hornet nests to 119, and urged particular caution when walking in sparsely populated forests or hiking in mid-mountain areas, as toxic hornet swarms can appear anywhere at any time.



늦더위에 말벌 기승…숲길 탐방객 '쏘임 사고'


구급대원이
소나무에 벌집 제거용 스프레이를 뿌립니다.

지난 19일 오전 11시 40분쯤
사려니 숲길 입구에서
300여 미터 떨어진 둘레길을 걷던 탐방객 4명이 말벌에 쏘였습니다.

소나무 아래에서 갑자기 나타난 말벌 20여 마리에
머리와 팔,
다리 등이 쏘여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안전조치를 하던
숲길 관리 직원 2명도
벌에 쏘여 응급처치를 받았습니다.

<씽크:숲길 근무자>
말벌 20마리 이상은 달려든 것 같아요. 속수무책 말벌과 싸울 수 없으니까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119가 와서 응급처치한 다음에
현장 조치를 취했습니다.

소방은
소나무 아래 땅 속에 있는 벌집을 흙으로 덮어 제거했습니다.

제주시는
추가 사고 위험이 높다고 판단해
사고 현장 진입로 출입을 임시 통제하고
말벌이 다시 나타나는지 확인 중입니다.

<씽크:사려니숲길 관계자>
땅에서 말벌이 갑자기 올라오면서 공격성이 강하더라고요. 근처만 가면 바로 쏴버리니, 말벌이 있는 상황이니까 거기가 진입로입니다. 그 길에 말벌이 나오는 상황이니 탐방객 안전을 위해 통제하고 있습니다.


1년 중 벌집 제거 출동 건수와 쏘임 사고 60% 이상은
7월과 8월에 이어 9월에 집중됐습니다.


올해는 한여름에 버금가는 폭염이
9월 중순까지 이어지면서
벌 쏘임 사고 위험도 덩달아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9월에는 6건이 발생한 반면
올해 9월에는 불과 19일 만에 9건으로 1.5배 늘었습니다.

<씽크:홍일준 / 제주소방서 119 구조대원>
어두운 색보다는 밝은 색의 모자와 옷을 선택하고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긴 옷차림이 좋습니다. 또한 향이 강한 화장품 사용을 자제하고 단 음료나 먹고 남은 음식물을 소지했을 때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방은
벌집을 발견하면 119에 신고하고
특히 중산간 지대에서
인적이 드문 숲을 걷거나 산행중에는
독성이 강한 말벌 떼가
언제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