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Increased Hornet Activity Caution
  • Increased Hornet Activity Caution A paramedic sprays a pine tree with a hornet nest removal spray. Around 11:40 AM on the 19th, four visitors walking on a trail about 300 meters from the entrance of Saryeoni Forest were stung by hornets. Over 20 hornets suddenly appeared under a pine tree, stinging the visitors on their heads, arms, and legs, leading them to be transported to the hospital. Two forest trail management staff members, who were carrying out safety measures, were also stung and received first aid. INTERVIEW Saryeoni Forest Trail Representative It seemed like more than 20 hornets charged at us. We couldn't fight them off, so we evacuated to a safe place, and after 119 arrived to provide first aid, the situation was managed. The fire department removed the hornet nest in the ground under the pine tree by covering it with soil. Jeju City has temporarily controlled access to the trail leading to the accident site, considering the high risk of additional incidents, and is monitoring to see if the hornets reappear. INTERVIEW Saryeoni Forest Trail Representative The hornets suddenly emerged from the ground with a strong sense of aggression. They attack immediately as you approach, so since they are in the area, we have controlled access to ensure the safety of visitors. More than 60% of the annual hornet nest removal dispatches and sting incidents are concentrated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This year, as the heatwave comparable to midsummer has continued into mid-September, the risk of hornet sting incidents has also increased. Last September, there were 6 incidents, but this year, in just 19 days, there have already been 9, a 1.5 times increase. Hong Il-jun / Jeju Fire Station It is better to choose bright-colored hats and clothing instead of dark colors, wear long clothing to minimize skin exposure, avoid using strong-scented cosmetics, and be cautious if you have sweet beverages or leftover food with you. The fire departmen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porting any discovered hornet nests to 119, and urged particular caution when walking in sparsely populated forests or hiking in mid-mountain areas, as toxic hornet swarms can appear anywhere at any time. 늦더위에 말벌 기승…숲길 탐방객 '쏘임 사고' 구급대원이 소나무에 벌집 제거용 스프레이를 뿌립니다. 지난 19일 오전 11시 40분쯤 사려니 숲길 입구에서 300여 미터 떨어진 둘레길을 걷던 탐방객 4명이 말벌에 쏘였습니다. 소나무 아래에서 갑자기 나타난 말벌 20여 마리에 머리와 팔, 다리 등이 쏘여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안전조치를 하던 숲길 관리 직원 2명도 벌에 쏘여 응급처치를 받았습니다. <씽크:숲길 근무자> 말벌 20마리 이상은 달려든 것 같아요. 속수무책 말벌과 싸울 수 없으니까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119가 와서 응급처치한 다음에 현장 조치를 취했습니다. 소방은 소나무 아래 땅 속에 있는 벌집을 흙으로 덮어 제거했습니다. 제주시는 추가 사고 위험이 높다고 판단해 사고 현장 진입로 출입을 임시 통제하고 말벌이 다시 나타나는지 확인 중입니다. <씽크:사려니숲길 관계자> 땅에서 말벌이 갑자기 올라오면서 공격성이 강하더라고요. 근처만 가면 바로 쏴버리니, 말벌이 있는 상황이니까 거기가 진입로입니다. 그 길에 말벌이 나오는 상황이니 탐방객 안전을 위해 통제하고 있습니다. 1년 중 벌집 제거 출동 건수와 쏘임 사고 60% 이상은 7월과 8월에 이어 9월에 집중됐습니다. 올해는 한여름에 버금가는 폭염이 9월 중순까지 이어지면서 벌 쏘임 사고 위험도 덩달아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9월에는 6건이 발생한 반면 올해 9월에는 불과 19일 만에 9건으로 1.5배 늘었습니다. <씽크:홍일준 / 제주소방서 119 구조대원> 어두운 색보다는 밝은 색의 모자와 옷을 선택하고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긴 옷차림이 좋습니다. 또한 향이 강한 화장품 사용을 자제하고 단 음료나 먹고 남은 음식물을 소지했을 때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방은 벌집을 발견하면 119에 신고하고 특히 중산간 지대에서 인적이 드문 숲을 걷거나 산행중에는 독성이 강한 말벌 떼가 언제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 2024.09.23(mon)  |  이현
  • Over 1,000 High Delinquent Taxpayers
  • The number of delinquent taxpayers in Jeju who owe more than 10 million KRW has exceeded 1,000. According to material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by Democratic Party lawmaker Han Byung-do, more than 1,100 people in Jeju had unpaid local taxes of more than 10 million KRW, with the total amount reaching 51.1 billion KRW in 2023. This represents a significant increase from 2022, when 760 people owed a total of 40 billion KRW. Among them, 77 individuals owed more than 100 million KRW, while 98 people owed between 50 million and 100 million KRW. 지난해 1천만 원 이상 고액 체납 1천 명 넘어" 제주에서 1천만 원 이상 고액 체납자가 1천 명을 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의 국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에서 지방세 1천만 원 이상 내지 않은 체납자는 1천 1백여 명, 체납액은 511억 원이었습니다. 지난 2022년 체납자 760여 명, 체납액 4백억 원에 비해 지난해 큰 폭으로 체납 규모가 늘어났습니다. 특히 1억 원 이상 체납자는 77명, 5천 만원 이상 1억 원 미만 체납자는 98명으로 파악됐습니다.
  • 2024.09.19(thur)  |  이현
  • Jeju-Yeosu Ferry Service Suspended
  • The ferry service between Jeju and Yeosu(여수), South Jeolla Province, is facing suspension. According to Yeosu(여수) City, Hanil(한일) Express, the operator of the route, has expressed its intention to return its transportation business license to the Yeosu(여수) Maritime Office due to accumulated losses from rising fuel costs and a decrease in passengers. Hanil Express has been operating the 20,000-ton Gold Stella ship, capable of carrying 948 passengers and 250 vehicles, daily since 2015. 제주 ~ 전남 여수 여객선 '골드스텔라' 운항 중단 위기 제주와 전남 여수를 오가는 여객선이 운항 중단 위기에 놓였습니다. 여수시에 따르면 제주와 여수를 운항하는 한일고속이 지난달 여수지방해양수산청에 운송 사업 면허 반납 의사를 밝혔습니다. 한일 고속은 유류비 증가와 승객 감소 등으로 누적 적자가 200억원에 달한다며 경영난을 운항 중단 사유로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일고속은 지난 2015년부터 지난 2015년부터 여객 정원 948명에 차량 250대를 동시에 실어나를 수 있는 2만톤급 골드스텔라호를 하루 한 차례 운항해왔습니다.
  • 2024.09.19(thur)  |  이현
  • Tourism Association Collects Stories of Kindness
  • The Jeju Tourism Association is collecting stories of kindness experienced during trips to Jeju. Until November 14,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velers can submit stories from all sectors of the tourism industry, including transport services. The association plans to reward travelers who submit these stories and the businesses involved, using the stories for social media marketing. 관광협회, 제주 여행 '친절·미담' 사례 공모 제주도관광협회가 제주여행 중 겪은 친절사례를 공모합니다. 11월 14일까지 도내외 모든 여행객을 대상으로 관광사업체나 운송서비스 등 업계 전분야에서 직접 경험한 친절 미담 사례를 받습니다. 협회는 심사를 통해 미담사례를 신청한 여행객과 대상 사업장을 시상하고 SNS 마케팅에도 활용할 계획입니다.
  • 2024.09.19(thur)  |  이현
  • Jeju Ranks as Top Travel Destination for Chuseok
  • During the Chuseok holiday, Jeju Island was marked as the most popular Chuseok travel destination. Jeju Air reported that from September 13 to the end of the holiday on September 18, more than 103,000 passengers had booked flights to Jeju, making it the most booked destination. This number is nearly double that of Japan, which had 51,000 reservations, placing it second. 제주항공 "제주, 추석 연휴 인기 여행지 1위" 이번 추석 연휴 기간 제주도가 가장 인기가 높은 여행지로 꼽혔습니다. 제주항공이 지난 13일부터 연휴 마지막 날인 18일까지 노선별 항공권 예약자 수를 집계한 결과 편도 기준 제주도 노선에 10만 3천여 명이 예약해 예약자 수가 가장 많았다고 밝혔습니다. 2위인 일본 예약자 5만 1천여 명보다 두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09.19(thur)  |  이현
  • Jeju Supports Basic Livelihood Funds
  • Jeju City will support vulnerable groups who have been excluded or disqualified from the basic livelihood benefit assessment. The targeted groups include households that no longer receive benefits due to having support obligations or those who have lost their economic capacity due to disasters such as fires. One-person households will receive 220,000 KRW, and two-person households will receive 370,000 KRW per month for one year as special living expenses. 기초수급 탈락 '복지 사각지대' 생계비 지원 제주시가 기초생활 수급 심사 등에서 탈락 또는 중지된 취약계층을 지원합니다. 대상은 부양의무자가 생겨 각종 보장을 받지 못하거나 화재나 재난 재해 등으로 경제력을 상실한 가구입니다. 1인 가구는 22만 원 2인 가구는 37만 원 등으로 가구원 수에 비례해 1년 동안 특별생계비를 지급할 예정입니다.
  • 2024.09.19(thur)  |  이현
  • Inspections Heightened at Welfare Facilities
  • Jeju City is inspecting the management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hich are vulnerable to group infections, as COVID-19 cases surge again. The inspection targets 25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mental care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COVID-19 cases, whether staff are wearing masks,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vailability of quarantine supplies, and protocols for external visitors. Given the recent resurgence of COVID-19, Jeju City is urging compliance with preventive measures such as indoor ventilation and mask-wearing. 코로나19 재유행…장애인 복지시설 점검 제주시가 코로나 19가 재확산 하면서 집단 감염 취약지역인 장애인 복지시설 관리 실태를 점검합니다. 장애인거주시설과 정신요양시설 25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환자 현황과 종사자 마스크 착용, 감염관리 실시 여부 그리고 방역 물품 비치나 외부인 방문 시 관계계획 수립 여부 등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제주시는 최근 코로나19 감염병이 재유행하고 있는 만큼 실내 환기나 마스크 착용 같은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4.09.19(thur)  |  이현
  • Rent Subsidies to Address Low Birth Rate
  • Rent Subsidies to Address Low Birth Rate For 36 consecutive months, Jeju has faced a natural population decline, characterized by more deaths than births. As of June this year, the extent of this natural decline had reached 800 individuals, representing a significant increase of 200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the previous year. With a total fertility rate of 0.8, signifying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a woman is projected to have in her lifetime, the region has also seen a stark decrease in the number of marriages, accelerating the looming population crisis. For the first time in 14 years, Jeju experienced a population decline last year, with more people moving out than moving in, casting doubt on the potential for population growth driven by social factors alone. To address the declining birth rate, the province intends to offer public rental housing for newlyweds. The monthly rent will be just 25,000 won (or 300,000 won annually). Next year, the policy's initial implementation will target 600 households currently living in rental housing for newlyweds, with more units planned in the future. INTERVIEW Choi Myung-dong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This plan includes substantial support measures for various aspects of residents' lives, such as housing, childcare, and employment, by providing newlyweds with groundbreaking public rental housing at an annual cost of KRW 300,000. Over the past seven years, newlyweds with a housing loan and families with children have been eligible for annual interest support from the province. The amount of support, which is capped at 4.5 million won,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loan amount, up to 300 million won. Expanded support will be provided for childbirth and childcare-related matters. Beginning in 2025, the current yearly childcare support of 500,000 won for the first child will be substantially increased to 5 million won, disbursed in installments over a two-year period. To boost both the permanent and temporary resident populations, policies will aim to designate Opportunity Development Zones and implement so-called Workation visas. INTERVIEW Choi Myung-dong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The new strategic population policy projects were developed after thoroughly analyzing Jeju'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ractical needs of its residents. Regarding certain policie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the province has stated that the implementation timeline and strategies will be finalized and communicated at a later date. 저출생 특별공급, '월 임대료 2만 5천원' 제주는 36개월째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들어 지난 6월까지 자연감소 규모만 8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0명 늘었습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은 0.8명대에 그치고 있고 혼인건수도 감소세를 보이면서 인구 절벽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14년 만에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를 넘어서는 순유출까지 발생하면서 사회적 요인에 의한 인구 유입도 기대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제주도는 저출생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월 임대료 2만 5천원, 연간 임대료 30만 원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내년에는 기존 신혼부부 임대주택에 입주해있는 600가구에 적용한 뒤 차츰 공급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 최명동 / 제주도 기획조정실장> 이번 계획에서 신혼부부에게 연 30만원의 파격적인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하는 등 주거, 육아, 일자리 등 도민 삶 전반에 걸친 실질적인 지원책을 담고 있습니다. 주택 구입자금 대출을 받은 7년 이내의 신혼부부와 자녀 출산 가정에 대해서는 대출금 3억원 이내에서 자녀 수에 따라 최대 연 450만원의 이자를 지원합니다. 출생과 육아 분야에서는 육아지원금이 확대됩니다. 현재 첫 아이를 출생할 경우 지급되는 50만원의 육아지원금을 내년부터는 2년에 걸쳐 500만원을 분할 지원하는 방식으로 바뀝니다. 또 정주인구 증가와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기회발전특구 지정과 워케이션 비자 도입에 초점을 맞춘 인구유입 정책이 추진됩니다. <인터뷰 : 최명동 / 제주도 기획조정실장> 이번 인구정책 신 전략사업은 제주의 지역적 특성과 도민의 실질적인 요구를 면밀히 분석해 마련했습니다. 제주도는 준비 단계에 있는 일부 정책에 대해선 세부적인 시행 시기와 방안을 추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2024.09.19(thur)  |  이현
  • Job Fair to Hire 300 on the 25th
  •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Job Happiness Fair" for residents will be held at the Jeju Halla Gymnasium on the 25th. More than 40 companies, including Jeju Semiconductor, Shinhwa World, and Starbucks, will participate in the fair, with 300 job positions available in sectors such as hotel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ir transport services, and tourism. Additionally, booths will provide information on companies planning to hire, such as Hanwha Systems and JDC, which are associated with specialized high schools in Jeju. Various side events, including AI mock interviews, suit rentals, and hair and makeup services, will also be available at the fair. 25일 일자리박람회 개최…300명 현장 선발 제주특별자치도의 도민행복 일자리박람회가 오는 25일 제주한라체육관에서 열립니다. 이번 박람회에는 제주반도체와 신화월드, 스타벅스 등 호텔과 정보통신기술, 항공운송서비스, 관광 등 40여개 기업이 참여해 300명을 채용할 예정입니다. 또 제주지역 협약형 특성화고 산업체인 한화시스템과 JDC 등 채용예정 기업의 정보를 제공하는 부스도 운영됩니다. 제주도는 인공지능 모의면접과 정장대여, 헤어메이크업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마련할 예정입니다.
  • 2024.09.13(fri)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