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Youth Wages Low in Jeju
  • Three out of ten young regular workers in Jeju earn less than 20 million won annually, according to a report. The Jeju Office of Statistics released data on "Changes in Jeju's Youth Generation Through Statistics," which shows that as of 2022, the largest income group (29.8%) among regular workers aged 19-39 in Jeju earned less than 20 million won annually. This is 5.4 percentage points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In contrast, only 12.6% of regular workers earned over 50 million won annually, which is 10.2 percentage point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청년 상시근로자 30% '연소득 2천만원 미만' 제주도내 청년 상시근로자 10명 가운데 3명은 연소득이 2천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제주사무소가 발표한 '통계로 본 제주 청년세대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도내 19살 이상 39살까지 청년 상시근로자의 연간 소득 비중은 2천만원 미만이 29.8%로 가장 높았습니다. 전국 평균과 비교해 5.4%포인트 높은 것입니다. 반면 연소득 5천만원 이상 상시근로자는 12.6%로 전국 평균보다 10.2%포인트 낮았습니다.
  • 2024.09.26(thur)  |  이현
  • Jeju Signs Energy Deal with Norway
  • Renewable energy companies from Norway are showing interest in Jeju's carbon neutrality policies. A Jeju delegation on a Northern European tour signed consecutive agreements with the Norwegian Renewable Energy Association and the Offshore Wind Association on the 24th local time. Through these agreements, they agreed to share technology and experience for the design,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offshore wind farms, as well as collaborate on various infrastructure developments. Prior to the agreements, the Jeju delegation visited the headquarters of Equinor, a state-owned enterprise pursuing large-scale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around Chuja(추자) Island. They met with executive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nsuring public interest and resident acceptance. 제주도-노르웨이 신재생에너지 협회와 업무협약 노르웨이의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이 제주도의 탄소중립 정책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유럽 출장중인 제주도 대표단은 현지시각으로 지난 24일 노르웨이 신재생에너지협회, 해상풍력협회와 잇따라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설계와 설치, 운영을 위한 기술과 경험을 공유하고 각종 인프라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제주도 대표단은 협약에 앞서 추자 일대에서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국영기업인 에퀴노르 본사를 방문해 경영진과 면담을 갖고 공공성과 주민 수용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 2024.09.26(thur)  |  이현
  • Final Training for National Sports Festival
  • Final Training for National Sports Festival As a loud shout is heard, a heavy barbell is hoisted high onto an athlete’s shoulders. Son Young-hee, a leading figure in Jeju weightlifting, is sweating through her final training sessions ahead of next month's National Sports Festival. INTERVIEW Son Young-hee / Weightlifter (Jeju) It feels like just an average day of training, as usual. I'm preparing well without getting hurt. <손영희 / 역도 (제주도청) > 평소와 다름없이 그냥 평균적인 것 같고요. 그래서 그냥 좀 안 아프게 잘 준비하고 있는 것 같아요. Son has set her sights on a remarkable performance at this year's event. In February, Son Young-hee achieved a combined total of 287kg at the Asian Championships, which placed her in a shared third position in the rankings for the Paris Olympics. However, Son made the decision to hand over the Olympic ticket to her junior teammate, Park Hye-jeong (박혜정). This was due to an Olympic weightlifting rule that restricts each country to one athlete per weight category, resulting in a maximum of 12 competitors in each category. INTERVIEW Son Young-hee / Weightlifter (Jeju) I do have a lot of regrets, but preparing for such competitions has helped me grow a lot, so I'm okay. I'm trying my best to do what I can. Kim Ye-ra (김예라), also from Jeju, is expected to win another medal at this year's National Sports Festival, having claimed three gold medals at last year's Korea Industrial Weightlifting Association President's Cup Competition. With achievements like these in various events, the Jeju team has set up a goal of winning over 100 medals at the upcoming National Sports Festival. Despite aiming for a lower medal count compared to last year's record-breaking performance of 115 medals (37 gold, 33 silver, and 45 bronze), the team expects to exceed this target. This is thanks to improved performances in swimming, track and field, and cycling. INTERVIEW Shin Jin-seong / President, Jeju Sports Council We trained hard and analyzed well, so I expect good results. It was extremely hot this summer, but our athletes worked very hard. The 105th National Sports Festival will be held from October 11th to 17th in (경상남도) Gyeongsangnam-do Province. 전국체전 막바지 맹훈련…"올림픽 아쉬움 뒤로" 기합을 넣으며 이를 악물자 묵직한 바벨이 어깨 위로 번쩍 올라갑니다. 제주 역도의 간판 손영희 선수가 다음달 전국체전을 앞두고 막바지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손영희 / 역도 (제주도청) > 평소와 다름없이 그냥 평균적인 것 같고요. 그래서 그냥 좀 안 아프게 잘 준비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이번 전국체전에 출전하는 손영희의 각오는 남다릅니다. 손영희는 올해 2월 아시아선수권에서 작성한 합계 287㎏으로 파리 올림픽 랭킹 공동 3위에 자리했지만 한국 대표팀 후배 박혜정에게 파리행 티켓을 내줬습니다. 올림픽 역도에는 체급별로 12명이 출전하는데 같은 체급에는 나라별로 1명만 출전할 수 있다는 규정 때문이었습니다. < 손영희 / 역도 (제주도청) > 아쉬움이 많긴 한데 그런 시합을 준비하면 제가 좀 더 많이 성장했던 것 같아서 그래도 괜찮습니다. 제가 할 수 있는 걸 최선을 다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청 소속의 김예라 선수도 지난해 한국실업역도회장배 전국역도경기대회에서 3관왕을 차지하는 등 이번 전국체전에서 또 하나의 메달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기록 종목 등을 내세워 제주선수단은 다가오는 전국대회에서 100개 이상의 메달 획득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금메달 37개, 은메달 33개, 동메달 45개 등 115개의 메달을 따내며 최고 기록을 달성했던 지난해보다는 다소 목표를 낮췄습니다. 하지만 최근 수영과 육상, 자전거 종목에서 경기력이 향상되면서 목표 이상의 메달을 따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신진성 / 제주도체육회장 ] 열심히 훈련했고 잘 분석했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또 나올 거라고 보여집니다. 올여름 무지하게 더웠지만 우리 선수들 참 열심히 했습니다. 제 105회 전국체육대회는 다음달 11일부터 17일까지 경상남도에서 펼쳐집니다.
  • 2024.09.26(thur)  |  이현
  • Yeonbuk Road Holds Car-Free Fest on 28th
  • Jeju will host a car-free street festival on a section of Yeonbuk-ro Road in Jeju City from 9 a.m. to noon on the 28th, offering various programs. Of the six lanes in the area, three will be dedicated to walking, two to bicycles, and the remaining lane will be reserved for emergency and essential vehicles. Event participants will receive 5,000 won worth of goods, and 150 electric bicycles will be available for attendees visiting. Additionally, the festival will feature health experience booths, watermelon juice making using bicycles, flea markets, and performances. Residents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walking event can sign up via the website by the 25th. 28일 차 없는 연북로 축제, 프로그램 다채 제주특별자치도가 오는 28일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 제주시 연북로 일부 구간에서 차 없는 거리 축제를 개최하는 가운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행사 구간 6개 차로 가운데 3개 차로는 걷기 전용으로, 2개는 자전거 전용으로 나머지 1개 차로는 긴급 상황 또는 필수 비상 차량을 위해 사용됩니다. 걷기 참여자에게 5천 원 상당의 물품이 제공되며 평소 차량 통행이 많은 도로를 마음껏 달릴 수 있도록 전기 자전가 150대가 비치됩니다. 이와 함께 건강 체험 부스와 자전거를 활용한 수박주스 만들기, 플리마켓, 각종 공연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마련됩니다. 걷기 행사에 참가를 원하는 도민은 오는 25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 2024.09.23(mon)  |  이현
  • Jeju Tops in Tobacco Tax Per Capita
  • Jeju has the highest cigarette tax revenue per capita in the country. According to data submitted to National Assembly member Wi Seong-gon(위성곤)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Jeju’s per capita cigarette tax revenue last year reached 115,000 won, the highest in the nation. This is double the amount of Sejong(세종) City, which had the lowest per capita cigarette tax at 62,000 won. After Jeju, Chungnam(충남), Gangwon(강원), and Chungbuk(충북) provinces had the next highest amounts. Cigarette tax is a local tax levied by municipalities on cigarette manufacturers and importers under the Local Tax Act. 제주 1인당 담배 소비세 전국 최고 제주의 1인당 담배 소비세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성곤 국회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의 1인당 담배 소비세액은 11만 5천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가장 낮은 세종 6만 2천 원의 두배 수준입니다. 제주 다음으로는 충남과 강원, 충북 순으로 높았습니다. 담배 소비세는 지방세법에 따라 지자체가 담배 제조사와 수입사에 부과하고 있습니다.
  • 2024.09.23(mon)  |  이현
  • Jeju Tourist Count Tops 10 Million
  •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Jeju this year has surpassed 10 million. According to Jeju Province, as of the 17th, over 10 million tourists visited the island this year, which surpasses records 12 days earlier than last year. On the 15th, during the Chuseok holiday, Jeju recorded its highest number of daily visitors this year, with 52,200 people arriving in one day. Although domestic visitors were down by approximately 10% earlier this year compared to last year, they have been recovering since July and are expected to increase this month.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particularly independent travelers in their 20s and 30s from China, continues to grow steadily. 올해 제주 관광객 1천만 조기 돌파…내국인 회복세 올들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1천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17일을 기준으로 올해 방문 관광객수가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12일 빠른 것입니다. 특히 추석 연휴인 지난 15일의 경우 하루 방문객이 5만 2천 200여명으로 올해 1일 방문객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올초만 하더라도 내국인 관광객의 감소폭이 지난해 보다 10% 안팎에 이르렀지만 7월부터 비중이 줄면서 이달에는 증가세로의 전환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 20~30대 개별관광객을 중심으로 한 중국시장이 성장세를 보이는 등 외국인 관광객의 꾸준한 증가세도 이어졌습니다.
  • 2024.09.23(mon)  |  이현
  • Jeju Surveys for 2024 Seasonal Workers
  • Jeju City is conducting a demand survey for foreign seasonal workers to alleviate labor shortages in rural areas for the first half of next year until October 8th. The application is open to farmers and agricultural corporations in Jeju City who wish to hire foreign seasonal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who wish to invite relatives within the fourth degree of kinship living in their home country.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at local community centers. Participating farms must provide accommodations, guarantee a minimum number of workdays, and pay at least the minimum wage.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crop area and elderly farmers, farms can apply for up to 14 workers. After reviewing the results, the Ministry of Justice will finalize the number of workers who will be assigned to participating farms starting in January next year. 제주시, 내년 상반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수요조사 제주시가 다음 달 8일까지 농촌 인력부족 해소를 위한 내년도 상반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수요조사를 실시합니다. 신청 대상은 제주시에 주소를 둔 외국인 계절근로자 고용을 희망하는 농업인과 농업법인, 본국 거주 4촌 이내 친척 초청을 희망하는 결혼이민자 등으로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하면 됩니다. 참여 농가는 계절근로자에게 숙소 제공과 최소 근무일수 보장, 최저시급 이상 지급 등 근로조건을 준수해야 하고 작물 재배면적과 고령농 여부 등에 따라 최대 14명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제주시는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법무부 심사를 거쳐 인원이 확정되면 내년 1월부터 참여 농가에 계절근로자를 배치할 계획입니다.
  • 2024.09.23(mon)  |  이현
  • Jeju Teams Up with Denmark for Carbon Goals
  • The Province and Sønderborg, Denmark, have agreed to strengthen exchanges to promote carbon neutrality. On the 19th, the two entities signed a practical exchange agreement in Sønderborg, Denmark. They agreed to collaborate in strategy develop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human resource training to promote their shared goal of carbon neutrality. Sønderborg aim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29 through energy saving, reuse, and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and is currently pursuing net-zero policies at one of the fastest paces. 제주도-덴마크 탄소 중립 촉진 '맞손' 제주특별자치도와 덴마크 쇠네르보르시가 탄소 중립 촉진을 위한 교류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두 기관은 덴마크 현지시간으로 지난 19일 오후 덴마크 쇠네르보르 시 현지에서 실무 교류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두 기관은 탄소 중립이라는 공동의 목표 촉진을 위해 전략 수립과 연구 개발, 인력 양성에 협력하기로 약속했습니다. 한편 덴마크 쇠네르보르 시는 2029년 탄소중립을 목표로에너지 절약과 재사용, 재생에너지 확대를 핵심전략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넷제로 정책을 추진중입니다.
  • 2024.09.23(mon)  |  이현
  • Jeju's ER Cost Exemption Denied
  • Jeju's request for an exemption from increased emergency room costs was rejected. The province requested a delay or reconsideration of the increase for five emergency rooms, including Seogwipo, considered a medically underserved area. However, no response was received. As a result, emergency room fees for mild cases in five locations including Halla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Hanmaeum, Jeju Central, and Seogwipo Medical Centers will see an increase from 50-60% to up to 90% of previous medical costs. '도내 응급실 본인 부담 인상 제외' 불발 제주도가 정부에 도내 응급실 본인부담금 인상 적용을 제외해 달라고 건의했지만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의료 취약지역인 서귀포를 포함해 도내 응급실 5곳의 본인부담금 인상을 유예 또는 재검토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이와 관련해 회신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지역에서도 경증 환자가 한라와 제주대, 한마음, 중앙, 서귀포의료원 5곳의 응급실을 이용할 경우 본인 부담금이 종전 의료비의 50 ~ 60%에서 90%까지로 오르게 됩니다.
  • 2024.09.23(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