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 month’s airplane fire incident a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s suspected to have originated from a spare battery. As a result, domestic airlines are strengthening their management policies.
Airlines are implementing various regulations, such as requiring passengers to personally carry spare batteries during the check-in process before issuing boarding passes. Additionally, only baggage that has undergone content verification will be allowed in overhead compartments.
Joseph Kim reports.
Airlines Tighten Safety Rules on Spare Battery
[Slug] Jeju International Airport
Passengers are seen completing check-in procedures at kiosks.
A notice appears on the screen stating that spare batteries cannot be stored in overhead compartments and must be carried by passengers at all times.
Passengers must agree to this policy to receive their boarding passes.
[Slug] Jeju Air ? strengthens safety regulations, passengers must agree to carry spare batteries for boarding pass issuance
Following last month’s Air Busan fire incident a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which was suspected to have been caused by a spare battery, Jeju Air has strengthened its safety regulations.
INTERVIEW
Park Sang-jin / From Gyeongsan, Gyeongbuk
Since there was an accident recently, I think people will be more cautious and keep their batteries in sight. This could help both airline staff and passengers feel a bit safer while flying.
<박상진 / 경북 경산>
이번에 사고가 있었으니까 이제 본인이 오히려 좀 더 경각심을 가지고 항상 눈앞에 보이는데 두고 있으면서 조금은 더 (항공사) 직원분들도 다른 손님분들도 조금 더 안심하고 탈 수 있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Slug] Domestic airlines ?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of spare batteries and small electronic devices
Other domestic airlines are also stepping up their management of spare batteries and small electronic devices.
[Slug] Korean Air ? reinforces instructions for storing spare batteries in seat pockets, considering transparent zipper bags
Korean Air is strengthening passenger guidance on storing spare batteries in seat pockets and is considering providing transparent zipper bags for storage.
[Slug] T’way & Eastar ? require spare batteries to be individually stored in zipper bags, insulating tape to prevent short circuits
T’way Air and Eastar Jet are instructing passengers to store spare batteries in individual zipper bags and attach insulating tape to battery terminals to prevent short circuits.
[Slug] Air Busan ? only verified carry-on luggage allowed in overhead compartments
Air Busan will conduct pre-boarding checks to confirm the presence of batteries in carry-on luggage and will only permit overhead storage for verified baggage.
[Reporter] Joseph Kim
[Camera] Park Byeong-june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se policies since there are no specific regulations to penalize passengers who disregard the guidelines and store spare batteries in overhead compartments.
Joseph Kim, KCTV
화재 원인 보조배터리 '선반 보관 금지'
[제주국제공항]
공항 이용객들이 키오스크 앞에서 수속 절차를 밟습니다.
모니터 화면에
보조배터리를 기내 선반에 보관할 수 없고
반드시 직접 소지해야 한다는 안내 문구가 표시됩니다.
탑승객들은 이에 동의해야만 탑승권 발권이 가능해졌습니다.
[제주항공, 안전 규정 강화…보조배터리 직접 소지 동의해야 탑승권 발권]
지난달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의 원인이
보조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면서
제주항공이
안전 규정을 강화한 겁니다.
<박상진 / 경북 경산>
이번에 사고가 있었으니까 이제 본인이 오히려 좀 더 경각심을 가지고 항상 눈앞에 보이는데 두고 있으면서 조금은 더 (항공사) 직원분들도 다른 손님분들도 조금 더 안심하고 탈 수 있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국내 항공사, 보조배터리·소형 전자기기 안전 관리 강화]
다른 국내항공사들도 앞다퉈
보조배터리와
소형 전자기기에 대한
관리 강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대한항공, 보조배터리 좌석 주머니 보관 안내…투명 지퍼백 배치 검토]
대한항공은
보조배터리를 좌석 주머니에 보관하도록
승객 안내를 강화하고,
보관을 위한
투명 지퍼백 배치 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티웨이·이스타, "지퍼백에 개별 포장 보관…절연테이프 부착 합선 방지"]
티웨이항공과 이스타항공의 경우
지퍼백 개별 포장보관에 더해
배터리 단자에
절연테이프 등을 부착해
합선을 방지하도록 안내합니다.
[에어부산, 탑승구서 내용물 확인된 수하물만 선반 보관 가능]
에어부산은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안에
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고
기내에서는
확인이 완료된 수하물만
선반에 보관하도록
통제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병준, KCTV : Joseph Kim]
다만 승객들이
이 같은 안내를 따르지 않고
선반 안에
보조배터리를 보관하더라도
제재하거나 처벌할 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