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Offers Travel Aid for Patients
  • Jeju City is offering transportation cost support for patients with rare and severe diseases who need treatment outside the province. Each person can receive support for up to 12 trips. The program is available to medical aid recipients, those eligible for reduced copayment, and individuals registered for special cases due to rare or severe diseases. For children under 18 or elderly patients aged 80 and older, one accompanying guardian can also receive support. To apply, patients can submit their boarding ticket and original medical receipt to the local district office within one week. 희귀난치·중증질환 도외 진료 교통비 지원 제주시가 희귀난치성 질환과 중증질환자의 도외 진료 교통비를 1인당 최대 12회까지 지원합니다. 지원대상은 의료급여 수급자와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 중 산정특례자로 등록된 희귀난치성,중증질환자입니다. 18살 미만 아동청소년 환자 또는 80살 이상 노령환자의 경우 동반 보호자 1명까지 추가 지원됩니다. 지원 신청은 일주일 이내에 탑승권과 진료비 영수증 원본을 구비해 읍면동주민센터로 접수하면 됩니다.
  • 2025.02.13(thur)  |  이현
  • Foreign Tourists Rack Up Traffic Fines
  • Foreign tourists who rent cars and violate traffic laws often escape penalties due to delayed enforcement. Last year alone, unpaid traffic fines reached approximately 1 billion won. Todd Thacker reports. Foreign Tourists Rack Up Traffic Fines Rental cars can be found at every major tourist destination. [Slug] Rental car use by overseas tourists boosts traffic violations With the rise in individual tourists, particularly from Chinese-speaking regions, the demand for rental cars has surged. However, since foreign drivers are unfamiliar with local road conditions, violations such as speeding, illegal parking, and running red lights are common. Among rental car users, foreign tourists often fail to pay fines for traffic violations, leading to a ballooning amount of unpaid penalties. Last year, the police and local authorities recorded some 16,300 traffic violations by foreign rental car drivers. Of these, approximately 87.5% involved unpaid fines, totalling nearly 1 billion won. [Slug] 20 days required to issue a fine notice Even when violations occur, it takes around 20 days for the fine notice to be issued. This makes it nearly impossible to collect the fine once the tourist has already left the country. [Slug] Current law shields rental car companies from fines Even if authorities attempt to charge rental car companies, current regulations shield such businesses from fines. Rental car industry representatives argue that the current lengthy process, from violation detection to notice issuance, makes it difficult to impose fines on foreign drivers who leave the country before receiving the notice. They are calling for a shorter issuance period to address the issue. A police official stated, "We need to revise regulations that prevent fines from being imposed on rental car companies, or introduce a deposit system where fines can be deducted later." [Slug] Legislative proposal scrapped, deposit system impractical A related bill was proposed during the 21st National Assembly, but it was discarded without even being reviewed by the committee. Meanwhile, industry experts argue that a deposit-based system is impractical.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Hyeon Gwang-hoon [CG] Song Sang-yun With no clear solution in place, the on-going issue of unpaid fines not only impacts the island’s tax revenue but also promotes irresponsible driving behavior. Todd Thacker, KCTV 출국하면 끝?…교통법규 체납액 눈덩이 유명 관광지마다 렌터카들이 세워져 있습니다. [외국인 렌터카 수요 증가…불법 주정차·과속 '교통 위반' 빈번] 최근 개별 관광객이 늘면서 특히 중화권 렌터카 이용 수요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로 환경에 익숙치 않다보니 과속이나 불법 주정차, 신호 위반 차량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렌터카 이용객 중 외국인 관광객들은 교통법규 위반 과태료를 제때 거둬들일 수 없어 체납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경찰과 자치경찰에 적발된 외국인 렌터카 교통 위반 건수는 1만 6천여 건, 이 가운데 87% 정도가 과태료 미납 차량이었습니다. 체납액은 10억 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고지서 발송까지 20일 걸려…외국인 출국하면 과태료 징수 어려워] 위반을 해도 고지서 발송까지 약 20일이 걸리는데 외국인 관광객이 출국하면 과태료를 받을 길이 없습니다. [현행법상 자동차대여사업자에게 과태료 부과 처분 못해] 차를 빌려준 렌터카 회사에 청구하려 해도 현행 법에서 자동차대여사업자에게 과태료 부과 처분은 할 수 없도록 돼 있습니다. 렌터카 업계는 위반 단속 시점부터 고지서 발송까지 장기간 걸리는 문제 때문에 외국인이 출국하면 사실상 과태료 부과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발송 기간 단축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렌터카 업체에 과태료 부과 처분을 할 수 없도록 한 규정을 개정하거나 보증금을 받고 사후에 정산하는 제도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법률 개정안 국회 폐기·보증금 제도 현실성 떨어져] 이미 지난 21대 국회에서 관련 법이 발의됐지만 상임위원회에서 논의 조차 안되며 폐기됐고 보증금 정산 제도 역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게 현장의 목소리입니다. [영상취재 : 현광훈, 그래픽 : 송상윤, KCTV : Todd Thacker] 뚜렷한 해법 없이 매년 반복되는 과태료 체납 문제로 세수 확보 차질은 물론 무엇보다 제주에서의 난폭 운전을 부추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5.02.13(thur)  |  이현
  • Jeju Chamber Music Fest Opens
  • The Jeju International Chamber Music Festival, hosted by the Jeju Culture and Arts Promotion Agency, will take place from the 20th for three days at the Jeju Culture and Arts Center's main and small theaters. Top-tier classical musicians and ensembles, including some of the best domestic violinists, will perform a variety of rich and diverse music. Notably, during the closing performance, Professor Kim Yong-bae (김용배), former president of the Seoul Arts Center, will appear as a concert guide and provide an easy-to-understand explanation of classical music to the audience. Tickets are priced at 10,000 won for the main theater, with free admission for the small theater. Veterans,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ultural membership holders, and seniors over 65 can receive discounts of up to 50%. 제주국제실내악페스티벌 오는 20일 개막 제주도문화예술진흥원의 제주국제실내악페스티벌이 오는 20일부터 사흘간 제주문예회관 대극장과 소극장에서 열립니다. 국내 최정상 바이올리니스트 등을 비롯한 정상급 클래식 음악인과 단체가 참여해 다채롭고 풍성한 음악을 선사하게 됩니다. 특히 폐막공연에서는 예술의 전당 사장을 역임한 김용배 교수가 콘서트 가이드로 출연해 청중들에게 클래식 음악에 대해 쉽게 설명할 예정입니다. 관람료는 대극장 1만원, 소극장은 무료이며, 국가유공자와 장애인, 문화사랑회원, 65살 이상 어르신은 최고 50%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 2025.02.10(mon)  |  이현
  • Jeju Seeks 163 Ocean Keepers
  • Jeju City is recruiting 163 Ocean Environment Keepers until the 12th. Applicants must be residents of Jeju aged 19 or older,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marin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pplications can be made at the local community centers in the desired work areas. Selected candidates will work from the 10th of next month until October, performing tasks such as collecting marine waste, preventing illegal dumping, and conducting awareness activities. 제주시, 바다환경지킴이 163명 모집 제주시가 오는 12일까지 바다환경지킴이 163명을 모집합니다. 신청은 19살 이상의 해양환경 보전 활동에 책임감을 가진 제주시 거주자면 희망 근무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선발된 바다환경지킴이는 다음 달 10일부터 10월까지 근무하게 되고 해양쓰레기 수거와 불법 투기 방지, 계도 활동 등을 수행하게 됩니다.
  • 2025.02.10(mon)  |  이현
  • Jeju City to Offer Food Vouchers
  • Starting from the 17th, Jeju City will begin accepting applications for its agricultural food voucher support program for vulnerable groups. The eligible recipients are households receiving living assistance with incomes at or below 32% of the median income, specifically households with pregnant women or children attending high school or lower. Applications can be made through local community centers or online. The support amount is 100,000 won per month for a four-person household, with varying amounts based o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vouchers will be provided for 10 months, starting next month. 제주시, 취약계층 대상 농식품 바우처 지원 제주시가 오는 17일부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농식품 바우처 지원사업 신청을 받습니다.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 32% 이하의 생계급여 수급 가구 가운데 임산부와 고등학교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로 읍면동 주민센터와 온라인 등을 통해 접수하면 됩니다. 지원 금액은 4인 가구 기준 월 10만 원이며,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원되고 다음달부터 10개월 간 바우처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2025.02.10(mon)  |  이현
  • Jeju Real Estate Auction Hits Record Low
  •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and high interest rates, the success rate of real estate auctions in Jeju last month reached its lowest point in history. According to data from the real estate auction company GG Auction, there were 321 real estate auctions in Jeju last month, but only 56 properties were successfully auctioned, resulting in a success rate of 17.4%. This marks the lowest success rate since data has been available in 2001, and it is the second lowest among 17 provinces and cities nationwide, following Gyeongnam's (경남) 14.5%. GG Auction explained that while the number of auctions has increased, the weakened investment sentiment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and high interest rates has led to a decline in the success rate. 제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17.4% '역대 최저' 경기 침체와 고금리 여파로 지난달 제주지역 부동산 경매 낙찰률이 역대 최저치에 그쳤습니다. 경매 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도내 부동산 경매 진행건수는 321건으로 이중 56건만 낙찰되면서 낙찰률 17.4%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제공된 2001년 이후 역대 최저치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에선 14.5%의 경남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습니다. 지지옥션은 경매 진행건수가 늘고 있지만 경기 침체와 고금리 등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낙찰률이 하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5.02.10(mon)  |  이현
  • 1 in 10 Seniors in Jeju Have Dementia
  • It is estimated that 1 in 10 seniors aged 65 and over in Jeju are living with dementia. According to the Province and the National Dementia Center, as of 2023, Jeju has approximately 13,000 dementia patients, representing 11%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older. The province explained that as life expectancy increases,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also rising. In light of this, the province encourages active engagement in early dementia screenings, which are offered year-round. Any local resident can visit one of the six dementia relief centers at health clinics across the region and receive a free screening, as long as they bring their ID, without any age restrictions. 도내 65살 이상 어르신 10명 중 1명 '치매' 제주도내 65살 이상 어르신 10명 가운데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치도와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제주도내 치매환자는 1만 3천여명으로 65살 이상 인구의 1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치매환자도 증가하고 있다며 치매조기검진을 연중 실시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관심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지역주민 누구나 연령 제한없이 신분증을 가지고 6개 보건소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면 무료로 검진받을 수 있습니다.
  • 2025.02.10(mon)  |  이현
  • 1100 Road Illegal Parking Fines Hit 60M
  • Authorities have issued fines amounting to 60 million won for illegally parked vehicles on 1100 Road, as visitors flocked to enjoy the snowy landscape. According to the Province, a total of 1,480 vehicles were caught illegally parked on 1100 Road between December 21 of last year and February 5. A total fine of about 59 million won was imposed on these violating vehicles. The local government is focusing on strict enforcement on the 6km section from the 1100 Rest Area, through Yeongsil (영실) and Eorimok (어리목 ) entrances. "설경 보자" 1100도로 불법 주정차 과태료 '6천만 원' 설경을 보기 위해 1100도로에 불법 주정차한 차량에 부과된 과태료가 6천만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행정시에 따르면 지난 해 12월 21일부터 지난 5일까지 1100도로에서 불법 주정차량 1천 480여대가 적발됐습니다. 이들 위반 차량에는 불법 주정차 과태료 5천 9백여 만원이 부과됐습니다. 행정시는 1100고지 휴게소를 중심으로 영실과 어리목 입구까지 약 6km 구간을 집중 단속하고 있습니다.
  • 2025.02.10(mon)  |  이현
  • Airlines Tighten Safety Rules on Spare Battery
  • Last month’s airplane fire incident a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s suspected to have originated from a spare battery. As a result, domestic airlines are strengthening their management policies. Airlines are implementing various regulations, such as requiring passengers to personally carry spare batteries during the check-in process before issuing boarding passes. Additionally, only baggage that has undergone content verification will be allowed in overhead compartments. Joseph Kim reports. Airlines Tighten Safety Rules on Spare Battery [Slug] Jeju International Airport Passengers are seen completing check-in procedures at kiosks. A notice appears on the screen stating that spare batteries cannot be stored in overhead compartments and must be carried by passengers at all times. Passengers must agree to this policy to receive their boarding passes. [Slug] Jeju Air ? strengthens safety regulations, passengers must agree to carry spare batteries for boarding pass issuance Following last month’s Air Busan fire incident a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which was suspected to have been caused by a spare battery, Jeju Air has strengthened its safety regulations. INTERVIEW Park Sang-jin / From Gyeongsan, Gyeongbuk Since there was an accident recently, I think people will be more cautious and keep their batteries in sight. This could help both airline staff and passengers feel a bit safer while flying. <박상진 / 경북 경산> 이번에 사고가 있었으니까 이제 본인이 오히려 좀 더 경각심을 가지고 항상 눈앞에 보이는데 두고 있으면서 조금은 더 (항공사) 직원분들도 다른 손님분들도 조금 더 안심하고 탈 수 있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Slug] Domestic airlines ?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of spare batteries and small electronic devices Other domestic airlines are also stepping up their management of spare batteries and small electronic devices. [Slug] Korean Air ? reinforces instructions for storing spare batteries in seat pockets, considering transparent zipper bags Korean Air is strengthening passenger guidance on storing spare batteries in seat pockets and is considering providing transparent zipper bags for storage. [Slug] T’way & Eastar ? require spare batteries to be individually stored in zipper bags, insulating tape to prevent short circuits T’way Air and Eastar Jet are instructing passengers to store spare batteries in individual zipper bags and attach insulating tape to battery terminals to prevent short circuits. [Slug] Air Busan ? only verified carry-on luggage allowed in overhead compartments Air Busan will conduct pre-boarding checks to confirm the presence of batteries in carry-on luggage and will only permit overhead storage for verified baggage. [Reporter] Joseph Kim [Camera] Park Byeong-june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se policies since there are no specific regulations to penalize passengers who disregard the guidelines and store spare batteries in overhead compartments. Joseph Kim, KCTV 화재 원인 보조배터리 '선반 보관 금지' [제주국제공항] 공항 이용객들이 키오스크 앞에서 수속 절차를 밟습니다. 모니터 화면에 보조배터리를 기내 선반에 보관할 수 없고 반드시 직접 소지해야 한다는 안내 문구가 표시됩니다. 탑승객들은 이에 동의해야만 탑승권 발권이 가능해졌습니다. [제주항공, 안전 규정 강화…보조배터리 직접 소지 동의해야 탑승권 발권] 지난달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의 원인이 보조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면서 제주항공이 안전 규정을 강화한 겁니다. <박상진 / 경북 경산> 이번에 사고가 있었으니까 이제 본인이 오히려 좀 더 경각심을 가지고 항상 눈앞에 보이는데 두고 있으면서 조금은 더 (항공사) 직원분들도 다른 손님분들도 조금 더 안심하고 탈 수 있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국내 항공사, 보조배터리·소형 전자기기 안전 관리 강화] 다른 국내항공사들도 앞다퉈 보조배터리와 소형 전자기기에 대한 관리 강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대한항공, 보조배터리 좌석 주머니 보관 안내…투명 지퍼백 배치 검토] 대한항공은 보조배터리를 좌석 주머니에 보관하도록 승객 안내를 강화하고, 보관을 위한 투명 지퍼백 배치 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티웨이·이스타, "지퍼백에 개별 포장 보관…절연테이프 부착 합선 방지"] 티웨이항공과 이스타항공의 경우 지퍼백 개별 포장보관에 더해 배터리 단자에 절연테이프 등을 부착해 합선을 방지하도록 안내합니다. [에어부산, 탑승구서 내용물 확인된 수하물만 선반 보관 가능] 에어부산은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안에 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고 기내에서는 확인이 완료된 수하물만 선반에 보관하도록 통제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병준, KCTV : Joseph Kim] 다만 승객들이 이 같은 안내를 따르지 않고 선반 안에 보조배터리를 보관하더라도 제재하거나 처벌할 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2.10(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