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Monet to Warhol’ Hits 30K Visitors
  • The cumulative number of visitors to Monet to Warhol, an exhibition held at the Museum of Modern Art as part of the 4th Jeju Biennale, has surpassed 30,000. Notably, on the 1st of this month, the exhibition set a new daily record with 1,363 visitors?the highest since the museum's opening in 2007. The ‘Monet to Warhol’ exhibition runs until the 30th of next month, showcasing 143 works by 89 renowned Western artists. '모네에서 앤디 워홀까지' 누적 관람객 3만 돌파 제주도립미술관이 제4회 제주비엔날레 협력 전시로 현대미술관에서 진행중인 '모네에서 앤디 워홀까지'의 누적 관람객이 3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지난 1일, 하루 관람객이 1천 363명으로 2007년 현대미술관 개관 이래 하루 관람객 최다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모네에서 앤디 워홀까지' 전은 다음달 30일까지 진행되며 서양미술의 거장 89명의 작품 143점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 2025.02.06(thur)  |  이현
  • Small Households Rise in Jeju
  • The number of one- and two-person households in Jeju continues to grow, while households with four or more members are steadily declining.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e, the proportion of one- and two-person households increased from 57.8% in 2019 to 61% in 2021, 62% in 2022, and 63.2% in 2023. In contrast, households with four or more members decreased from 22.8% in 2019 to 19.3% in 2022 and 18.5% in 2023. In response to this trend, Jeju plans to implement customized housing policies focused on smaller households and supply 7,000 public housing units by 2026. 1~2인 가구 늘고 4인 이상 가구 감소세 이어져 제주지역의 1~2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편 4인 이상 가구는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19년만 하더라도 57.8%의 1~2인 가구는 2021년 61%, 2022년 62%, 2023년은 63.2%로 늘어났습니다. 반면 4인 이상 가구는 2019년 22.8%에서 2022년 19.3%, 2023년 18.5%로 감소했습니다. 제주도는 1~2인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맞춰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주거정책을 추진하고 2026년까지 공공주택 7천호를 공급한다는 계획입니다.
  • 2025.02.06(thur)  |  이현
  • Jeju Offers Youth Moving Aid
  • Jeju is launching a support program to cover moving costs for young residents, providing up to 400,000 KRW. Eligible applicants are individuals aged 19 to 39 who have moved to Jeju after January 1, 2025, or relocated within Jeju and completed their address registration. They must be from non-homeowning households with an income below 180% of the median income. This support is available once every two years, up to three times. Those who received aid last year are not eligible this year. Applicants can receive up to 400,000 KRW in actual moving expenses, and applications can only be submitted online to the government website at www.gov.kr. 청년 이사비용 최대 40만 원 지원…2년에 한 번 제주특별자치도가 최대 40만 원의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 지원대상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제주도에 전입했거나 도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를 마무리한 19살 이상 39살까지의 청년으로 가구당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인 무주택이어야 합니다. 2년에 한차례씩 최대 3차례까지 가능하며 지난해 지원받았다면 올해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원은 최대 40만 원까지 실비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정부24를 통한 온라인으로만 접수합니다.
  • 2025.02.06(thur)  |  이현
  • Jeju Focuses on Road Repairs
  • The Province is launching an intensive repair initiative to address road damage and facility deterioration caused by winter ground freezing and thawing. To this end, Jeju Province, along with administrative cities and township offices, has formed dedicated teams and allocated 16.2 billion won for a full-scale road condition survey, repair work, and facility maintenance projects. Notably, an AI-powered road analysis system will be introduced on a trial basis this year to collect real-time road hazard data and detect potholes. 제주도, 도로 포트홀·시설물 파손 집중 정비 제주특별자치도가 겨울철 지반 동결과 해빙 등으로 인한 도로 파임과 시설물 파손을 집중 정비합니다. 이를 위해 제주도와 행정시, 읍면동 전담팀을 구성하고 사업비 162억 원을 투입해 도로 전구간 포장상태 전수조사와 보수공사, 시설물 정비사업을 추진합니다. 특히 올해 시범적으로 인공지능 도로분석장치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도로위험 정보를 수집하고 포트홀을 발견하게 됩니다.
  • 2025.02.06(thur)  |  이현
  • Neulbom School Expands to 2nd Grade
  • Jeju’s Neulbom School, which provides education and tailored care, will be expanded this yearfrom first graders to include second graders as well. As a result, the number of eligible applicants for Neulbom School will increase from approximately 5,400 last year to around 10,400 this year. A preliminary survey conducted due to a shortage of after-school care classrooms, indicates that about 150 students from overcrowded schools may be unable to enroll. In response, the education office has decided to allow these students to apply for after-school programs, excluding after-school care, free of charge. Meanwhile, last year, 93% of first graders participated in the Neulbom School. 늘봄학교 초등 2학년까지 확대…150여 명 탈락 교육과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는 '늘봄학교'가 올해부터 종전 초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까지로 확대됩니다. 이에 따라 늘봄학교 신청 대상은 지난해 5천4백여 명에서 올해는 1만4백여 명으로 늘어납니다. 다만 사전 수요 조사 결과 돌봄교실 부족 등으로 일부 과대학교에서 참여 희망 학생 중 150여명이 탈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교육청은 이에따라 탈락학생들이 돌봄교실을 제외한 방과후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한편 지난해는 초등학생 1학년의 93%가 늘봄학교에 참여했습니다.
  • 2025.02.06(thur)  |  이현
  • Lunar New Year Boosts Spending
  • The Provincial-wide consumption promotion campaign conducted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had a positive impact. Between January 20 and 31, the total amount spent using local currency ‘Tamnaneunjeon’reached 107.6 billion won, marking a 51%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In particular, an event providing a 10,000 won refund for purchases of 50,000 won or more in a single day led to an additional consumption of over 10 billion won. Additionally, transactions through the public delivery app Mokkaebi(먹깨비) surged to 6,800 orders, generating approximately 7 billion won in sales more than four times the amount recorded during the same period last year. 설 연휴 소비촉진활동 성과…탐나는전 107억 사용 제주특별자치도가 설 연휴기간 범도민 소비촉진 캠페인을 진행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지난달 20일부터 31일까지 탐나는전 사용액은 107억 6천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1% 증가했습니다. 특히 1일 합산 5만원 이상 구매할 경우 1만원을 환급해주는 탐나는전 이벤트를 통해 10억 원 이상의 추가 소비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또 공공배달앱인 먹깨비 이용건수는 6천 800건에 약 7억 원의 매출로 이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 2025.02.06(thur)  |  이현
  • Jeju Faces Rapid Aging Shift
  • Jeju is on the brink of becoming a super-aged society. With birth rates declining and the population aging at an accelerating pace, the demographic structure is rapidly shifting. As a result, the financial and social burden on younger generations to support the elderly continues to grow. Todd Thacker reports. Jeju Faces Rapid Aging Shift [Slug] Rapid shift in Jeju's aging population Jeju’s population pyramid is rapidly transforming. The inverted triangle structure symbolizes the serious issue of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society. As of 2023, Jeju’s population stands at approximately 675,000. This marks an increase of nearly 70,000 compared to a decade ago. By age group, the number of people under 9, teenagers, and those in their 30s has decreased, while the population aged 50 and above has increased. The working-age population, which is crucial in economic activities, has been declining since 2020, whereas the population aged 65 and older continues to rise. [Slug] By 2050, youth population share at 14%, elderly share at 32% If this trend continues, in 25 years?by 2050?Jeju’s youth population will make up only 14% of the total, while those aged 70 and older will account for 32%. This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to become a significant burden on younger generations. The old-age dependency ratio, which indicates the number of elderly per 100 working-age people, is projected to surge from 26% in 2023 to 57.2% in 2040 and 78.3% in 2050. Currently, each working-age individual bears an elderly welfare budget of 900,000 won. In 25 years, this is expected to more than double to 2.26 million won. INTERVIEW Kang Kwon-oh / Researcher, Jeju Women's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The biggest issue is that the supporting population is continuously decreasing, while the dependent population is increasing too rapidly. To address this issue, we need to strengthen workforce policies, such as supporting women returning to work and gradually extending the retirement age. <인터뷰 : 강권오 /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연구위원> 부양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데 반해서 피부양인구는 지나치게 빠르게 증가하는게 가장 큰 문제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경력단절여성의 인력 지원 강화나 점진적인 정년 연장을 통해 인력 수급 정책을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Kim Yong-min [CG] Yu Jae-gwang With the population cliff approaching, concerns over regional economic decline are rising. Experts are calling for long-term workforce policies and a revised elderly age definition, which currently stands at 65. 인구 절벽 가속화…2050년 노인부양 부담 2.5배 [제주지역 인구 피라미드 '역삼각형' 구조로 변화] 제주지역 인구 피라미드가 심각한 저출생 고령화 사회를 상징하는 역삼각형 구조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 기준 제주지역 인구는 67만5천여 명. 10년 전보다 7만 명 가까이 늘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9살 이하와 10대, 30대 인구는 줄었고 50대 이상 인구는 늘었습니다.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는 생산연령인구는 지난 2020년부터 감소세로 전환됐고 65살 이상 고령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50년, '청년 인구 비중 전체 14%…고령 비중 32%' 예측] 이대로라면 25년 뒤인 2050년에는 제주지역 청년 인구 비중은 전체의 14%에 그치는 반면 70대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32%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 같은 노인 인구 증가는 젊은 세대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 당 고령 인구를 뜻하는 노년 부양비는 지난 2023년 26%에서 2040년에는 57.2%, 2050년에는 78.3%로 폭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생산인구 1명이 부담하는 노인 복지 예산이 90만 원인데 25년 후에는 2.5배가 넘는 226만 원을 부담해야 한다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 강권오 /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연구위원> 부양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데 반해서 피부양인구는 지나치게 빠르게 증가하는게 가장 큰 문제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경력단절여성의 인력 지원 강화나 점진적인 정년 연장을 통해 인력 수급 정책을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그래픽 : 유재광, KCTV : Todd Thacker] 인구 절벽 현상이 현실로 나타나면서 궁극적으로 지역경제 악화가 우려되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인력 수급 대책과, 현재 65살이 기준인 노인의 정의를 새롭게 규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Todd Thacker 입니다.
  • 2025.02.06(thur)  |  이현
  • Jeju Seeks SME Savings Participants
  • The Province is recruiting participants for the "Long-Term Employment Savings Program"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until the 28th of this month. Under this program, employees who contribute 100,000 KRW monthly will have 120,000 KRW each matched by their company and the province of Jeju, totaling 340,000 KRW in monthly savings. After 5 years, participants will receive 20.4 million KRW in savings and interest. Eligible participants are employees aged 40 to 64 who have worked at a small or medium-sized company for at least six months and have an average monthly wage of less than 3.72 million KRW. Since its launch in 2019, a total of 948 people have joined the program. 중소기업 장기재직 재형저축 사업 참여자 모집 제주특별자치도가 중소기업 장기재직 재형저축 사업 참여자를 오는 28일까지 모집합니다. 이 재형저축 사업은 근로자가 10만원을 적립하면 기업과 제주도가 12만원씩 매달 34만 원이 적립돼 5년 만기 시 2천40만 원의 공제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중소기업에 6개월 이상 근무한 40살 이상 64살 이하 근로자 가운데 3개월 평균 임금이 372만 원 미만이면 참여 가능합니다. 한편, 중소기업 장기재직 재형저축사업은 지난 2019년 첫 시행된 이후 모두 948명이 가입했습니다.
  • 2025.02.03(mon)  |  이현
  • Jeju Offers Rent Support for Youth
  • Jeju City is recruiting applicants for its "Hope Recharge Rent Support Program," designed to alleviate the housing cost burden for young people. Eligible applicants are young people aged 35 to 39 who have no homeownership, earn less than 60% of the median income, and have total assets below 12.2 million KRW.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at local community centers in nearby districts. Selected applicants will receive up to 200,000 KRW per month, for a maximum of 12 months, to cover their rent payments. 제주시, 저소득 청년 월세 지원…최장 12개월 제주시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도입한 '희망 충전 월세 지원사업'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지원 대상은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이면서 총 재산가액이 1억 2천200만원 이하인 35살에서 39살 이하 무주택 청년입니다. 신청은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상시 접수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자에 선정되면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 범위 내에서 매달 최대 20만 원씩 최장 12개월간 지급됩니다.
  • 2025.02.03(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