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Employment Drops 5,000
  • Jeju Employment Drops 5,000 Last month,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Jeju decreased for the seventh consecutive month, signaling a prolonged stagnation in the labor market. According to the Jeju Office of Statistics,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Jeju last month was 396,000, down by 5,000 compared to the same time last year, marking a seven-month decline since July of last year. The drop in employment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certain industries, with the construction sector losing 8,000 jobs and retail,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s losing 3,000, reflecting the ongoing sluggishness in the domestic economy and construction market. The employment rate last month stood at 68.5%, down 0.7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1월 취업자 5천명 줄어…7개월 연속 감소세 지난달 제주지역 취업자 수가 7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고용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 취업자 수는 39만 6천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천명 줄며 지난해 7월부터 7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산업별 취업자 감소폭을 보면 건설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이 길어지면서 건설업 8천명과 도소매, 숙박. 음식점업 3천명 등 관련 산업에서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졌습니다. 지난달 고용률은 68.5%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7%포인트 하락했습니다.
  • 2025.02.17(mon)  |  고주연
  • More Pothole Incidents
  • More Pothole Incidents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potholes as freezing and thawing cycles cause the roads to crack, requiring extra caution from drivers.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stated that the period between February and March, known as the thawing season, sees frequent pothole occurrences, which can disrupt traffic flow and increase the risk of accidents. As a result, drivers are advised to pay close attention to road conditions ahead, watch the movements of vehicles in front, and reduce speed to ensure safety. 최근 포트홀 다수 발생…"운전자 주의해야" 최근 눈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며 도로가 파이는 포트홀이 많이 발생하며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은 2월에서 3월 해방기를 맞아 도로 포트홀 발생이 잦아 차량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고 교통 사고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운전할 때 전방 도로 상태와 앞차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감속 운전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 2025.02.17(mon)  |  고주연
  • New Rules on Power Banks Aboard Flights
  • New Rules on Power Banks Aboard Flights Starting next month, charging power banks and storing them in overhead compartments will be prohibited on flight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new standards for strengthening in-flight safety management, when boarding an aircraft, power banks and electronic cigarettes must be carried directly with the passenger or stored in the seat pocket. Additionally, it will be prohibited to charge power banks onboard, and storing power banks and electronic cigarettes in the overhead compartments will also be banned. For power banks, the regulations will require them to be stored in a way that prevents the metal terminal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it’s surroundings, such as by using insulating tape, protective pouches, or placing them in zipper bag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ll consider further regulations, including restrictions on the quantity of power banks allowed onboard, if an incident like the recent Air Busan fire, caused by a power bank, is confirmed. 항공기 내 보조배터리 충전 금지…지퍼백 보관 다음달부터 항공기 내에서 보조배터리 충전과 선반 보관 등이 금지됩니다. 국토교통부가 마련한 기내 안전관리 체계 강화 표준안에 따르면 항공기를 탑승할 경우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는 직접 소지하거나 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 또 보조배터리를 항공기 내에서 직접 충전하면 안되고,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를 기내 선반에 보관하는 것도 금지됩니다. 보조배터리의 경우 단자가 금속과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테이프를 붙이거나 보호형 파우치 또는 지퍼백 등에 넣어 보관하도록 규정이 강화됩니다. 국토부는 지난 에어부산 화재사고 원인이 보조배터리로 밝혀질 경우 기내 반입 수량 제한 등 추가 규제강화 여부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 2025.02.17(mon)  |  고주연
  • Maritime Safety Concerns Reach Critical Point
  • Recently ship accidents off the coast of Jeju have resulted in significant casualties, adding to the tragedy. These incidents have also brought renewed attention to long-standing maritime safety concerns. Joseph Kim reports. [잇따른 어선 사고…해상 안전 '빨간불'] 최근 제주 바다에서 선박 사고가 잇따르고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지면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사고들을 통해 그동안 고질적으로 제기됐던 해상 안전 관련 문제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Joseph Kim 기자입니다. [Slug] This month: Successive capsizing and grounding accidents, 5 dead, 4 missing On the 12th, the capsizing of the (재성호) Jaeseongho ship. On the 1st, a fishing boat ran aground near (토끼섬) Tokkiseom Island. In just this month, two fishing boat accidents have resulted in five deaths and four missing persons. [Slug] Incident area under ‘high seas warning’, Capsizing in less than 4 minutes after SOS call At the time of the Jaeseongho accident, a high seas warning had been issued. The boat capsized in less than four minutes after the distress signal was sent due to large swells. [Slug] Bad weather hampers coast guard rescue and search efforts The rough weather made rescue and search operations even more challenging. [Slug] Jaeseongho Crew Reportedly Not Wearing Life Jackets Despite mandatory life jacket regulations during severe weather conditions, reports indicate that the crew of the Jaeseongho were not wearing life jackets, exacerbating the casualties. Ko Myeong-cheol / Representative, Jeju Coast Guard For reference, the rescued crew members were not wearing life jackets at the time of the accident. <고명철/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비계장> 참고로 사고 당시 구조된 선원들은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Slug] Over 40 high seas warnings in 4 months, Fishermen forced into dangerous operations Between November of last year and the past four months, there have been 45 high seas warnings?double the number from 20 years ago?forcing fishermen to work in increasingly hazardous conditions. [Slug] Aging boats over 20 years old at greater risk of accidents Older fishing boats, especially those over 20 years old, are at a higher risk of accidents due to rapidly changing sea conditions. [Slug] Suspected capsizing due to loss of stability while moving catch or facing large swells The (금성호) Geumseongho ship, which caused 12 casualties last November, was 34 years old. The (재성호) Jaeseongho, which capsized this month, was 19 years old. These aging vessels likely lost stability while moving their catch or facing large swells, leading to capsizing. [Slug] About 40% of fishing boat accidents involve capsizing, Need for improved stability in aging vessels Four out of every ten fishing boat accidents in Jeju involve capsizing. There is a growing need for safety management and better vessel design to enhance stability in aging fishing boats. Kim In-hyeon / Director, Korea University Maritime Law Research Center When a boat with poor stability gets hit by waves from one side, it can tilt and sink. I suspect that these vessels are either leaving port with poor stability or struggling to recover when waves hit, leading to repeated capsizing incidents. <씽크:김인현/고려대 해상법연구센터장> 복원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파도를 한쪽에서 받게 되면 배가 기울어져서 침몰해 버리는 상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처음부터 복원성이 나쁜 상태에서 출항했거나 복원성이 나쁜 상태에서 파도가 치니까 기울어져서 제대로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지 않나 싶습니다. [Slug] Long-distance fishing boats still face communication issues On the 3rd, during a fishing boat sinking accident in the East China Sea, there were nine fishing vessels nearby. However, only two were able to establish a rescue communication link, exposing ongoing issues with long-distance maritime communication networks. [Reporter] Joseph Kim [Camera] Kim Yong-min [Video Courtesy] Jeju Coast Guard The recent spate of large-scale fishing boat accidents starkly illustrates the unsafe working conditions in Jeju’s fishing industry. Joseph Kim, KCTV. [이달, 선박 전복·좌초 사고 잇따라…5명 숨지고 4명 실종] 지난 12일 발생한 재성호 전복 사고. 지난 1일, 토끼섬 어선 좌초 사고. 이달에만 두 건의 어선 사고로 5명이 숨지고 4명이 실종됐습니다. [사고 해역 '풍랑특보'…구조 신고 4분도 안돼 전복] 당시 사고 해역에는 풍랑특보가 발효됐고 재성호는 너울성 파도에 의해 구조 신고 4분도 안돼 선박이 뒤집혔습니다. [궂은 날씨에 해경 구조·수색 작업 '어려움'] 궂은 날씨 탓에 수색 작업에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재성호 선원 구명조끼 미착용 추정"] 기상 특보때 구명조끼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지만, 이번 재성호 선원들은 구명조끼를 입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피해가 더욱 컸습니다. <고명철/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비계장> 참고로 사고 당시 구조된 선원들은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4개월 동안 풍랑특보 40건 이상 발효…무리한 조업 환경 내몰려] 지난해 11월부터 4개월 동안 발효된 풍랑특보는 45건으로 20년 전보다 두 배나 급증하면서 어민들은 무리한 조업 환경에 내몰려 있습니다. [선령 20년 이상 '노후 선박' 사고 위험 더욱 높아] 특히 20년 이상된 이른바 노후 선박은 급변하는 바다 환경에서 더 큰 사고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어획물 옮기거나 너울성 파도 맞는 과정에서 복원력 상실 추정"] 실제로 지난해 11월 12명의 인명 피해를 낸 금성호의 선령은 34년, 이번 재성호 선령은 19년으로 어획물을 옮기거나 너울성 파도를 맞아 복원력이 떨어지면서 전복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어선 사고 약 40% '전복'…노후 선박 복원력 강화해야"] 제주에서 발생한 어선 사고 10건 중 네 건은 전복 사고라는 점에서 노후 선박 안전관리와 복원력 설계와 관련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씽크:김인현/고려대 해상법연구센터장> 복원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파도를 한쪽에서 받게 되면 배가 기울어져서 침몰해 버리는 상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처음부터 복원성이 나쁜 상태에서 출항했거나 복원성이 나쁜 상태에서 파도가 치니까 기울어져서 제대로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지 않나 싶습니다. [원거리 조업 어선 '통신 불량 문제' 여전] 지난 3일, 동중국해에서 발생한 어선 침몰 사고 당시 주변에 어선 9척이 있었지만 구조 교신이 이뤄진 건 단 두척 뿐이었던 것으로 드러나는 등 원거리 통신망은 취약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KCTV : Joseph Kim] [영상제공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최근 잇따라 발생한 대형 어선 사고는 불안전한 제주 바다의 조업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2.17(mon)  |  고주연
  • Women's Center Opens March Courses
  • The Seolmundae (설문대) Women's Cultural Center in Jeju will begin accepting enrollments for its March courses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starting on February 17th. The center is offering 20 specialized courses and 9 cultural education courses, with 12 to 40 participants per class, for a total of 551 students. Specialized courses include preparation for the Level 2 Organization and Storage Specialist exam, Level 2 Barista exam, Korean and Chinese culinary certifications, basic and advanced ChatGPT, and drone lessons. New applicants will be given priority, and re-enrollment in the same course within a year is restricted. 설문대여성문화센터, 3월 교육과정 수강생 모집 제주도 설문대여성문화센터가 오는 17일부터 3월 교육과정 수강생을 선착순으로 모집합니다. 강좌는 전문교육 20개와 문화교육 9개로 구성되며 과정별로 12명에서 40명씩 전체 551명의 수강생을 모집하게 됩니다. 전문교육은 정리수납전문가 2급 시험대비와 바리스타 2급 시험대비, 한식 또는 중식 조리기능사 실기 시험대비, 챗 GPT 기초와 활용, 드론배우기 등입니다. 신규 신청자를 우선 선발하며 1년 이내 같은 과정의 중복 수강은 제한됩니다.
  • 2025.02.13(thur)  |  이현
  • Emergency Loan Surging
  • In response to the challenging local economy, emergency loans for financially marginalized groups have seen a significant increase. According to Jeju Province, last year, the utilization of the "Jeju Hondi Loan," a small loan product for financially excluded individuals, reached 932 people with a total of 2.43 billion won. This marks a 40% increase in the number of loans and a 42% increase in the loan amou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Notably, the 42% increase in loan amounts last year far exceeds the 25% average annual growth rate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Jeju Hondi Loan is a small loan product offering financial support for living stability, with an average loan of 2.6 million won per person, at an interest rate of 1% per year. It is available to those who have undergone debt adjustment or have been approved for individual rehabilitation and are making sincere repayments. 어려운 지역경제 속 소외계층 긴급자금 대출 급증 어려운 지역경제 사정을 반영해 금융소외계층의 긴급자금 대출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소액대출 상품인 제주혼디론 이용실적은 932명에 24억 3천만 원으로 전년에 비해 대출건수는 40%, 금액은 42% 증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금액 증가율 42%는 3년동안의 연평균 증가율 25%를 크게 웃도는 것입니다. 제주혼디론은 채무조정 확정자나 개인회생 인가 후 성실 상환자를 대상으로 연 1%의 금리로 1인당 평균 260만원의 생활안정자금 등을 지원하는 소액대출 상품입니다.
  • 2025.02.13(thur)  |  이현
  • Jeju Opens Pre-registration for Childcare
  • Ahead of the new school semester in March, Jeju City is accepting pre-registr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until February 28th. The pre-registration includes applications for childcare subsidies, daycare fees, and preschool tuition.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by visiting the local district office or through the website www.bokjiro.go.kr by February 28th. 제주시, 영유아 교육·보육 서비스 사전 접수 제주시가 3월 새학기를 앞두고 오는 28일까지 영유아 교육,보육서비스에 대한 사전 신청을 받습니다. 사전 신청 대상은 양육수당과 어린이집 보육료, 유아 학비 등 입니다. 신청은 오는 28일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복지로 누리집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 2025.02.13(thur)  |  이현
  • Jeju Seeks Food Vendors for Festival
  • Jeju City is recruiting business operators to run restaurants and food trucks at the 2025 Fire Festival, which will take place from March 14th to 16th. Eligible applicants must be registered businesses in Jeju City, either with a restaurant license or a food truck. The city plans to select 3 restaurant and 10 food truck operators. Selection will be based on five criteria, including menu originality and pricing appropriateness. Interested businesses must apply in person at Jeju City’s Hygiene Management Office by February 17th. 제주시, 들불축제 음식점·푸드트럭 운영자 모집 제주시가 들불축제 기간인 다음달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행사장에서 전문음식점이나 푸드트럭을 운영할 사업자를 모집합니다. 신청대상은 제주시에 영업신고가 된 업소나 푸드트럭이 있는 사업자이며, 전문음식점 3개소, 푸드트럭 10개소를 모집할 계획입니다. 대상자 선정은 메뉴의 독창성과 가격의 적정성 등 5개 평가 항목을 기준으로 이뤄집니다. 참가를 희망하는 사업자는 오는 17일까지 제주시 위생관리과로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 2025.02.13(thur)  |  이현
  • Delivery Fee Support Resume Next month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ll continue its additional delivery fee support program for residents, following last year's success. The program will run from March 4th to November 28th, with a limit of 400,000 won per person. However, the program may end early if the budget is exhausted. Residents can apply retroactively for delivery fees paid after January 1st this year. If additional delivery fees are listed, the full amount will be covered; if not specified, 3,000 won will be supported per shipment. Due to a limited budget, the program will cap shipping fees at 200,000 won. Last year, Jeju provided 5.38 billion won in additional delivery fees, but this year's budget is limited to just 3.36 billion KRW. 도민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 내달 4일부터 시작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해에 이어 도민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사업을 시작합니다. 지원사업은 다음달 4일부터 11월 28일까지 진행되며 1인당 지원한도는 40만원으로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에 종료될 수 있습니다. 올해 1월 1일 이후 결제한 택배비용을 소급 신청할 수 있으며 추가배송비가 명시된 경우 전액, 표시가 없으면 1건에 3천원을 지원합니다. 제한된 예산으로 인해 발송 택배는 20만원까지로 제한됩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택배 추가배송비로 53억 8천만 원 지원한 가운데 올해 확보한 예산은 33억 6천만원에 그치고 있습니다.
  • 2025.02.13(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