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talking Crimes Drop in Jeju
  •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Stalking Act, stalking-related reports in Jeju have decreased each year. According to Jeju Provisional Police Agency, reports of stalking crimes reported to the 112 emergency number were 476 cases in 2022, 383 cases in 2023, and 358 cases last year, showing a 6.5% de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s of the end of last year, Jeju’s stalking crime rate per 100,000 residents was 53, which is 14.5%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f 62. Additionally, the case resolution rate for reported stalking crimes in the province was 57.5%,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제주 지역 스토킹 범죄 해마다 감소세 스토킹처벌법이 시행된 이후 제주에서 관련 신고가 해마다 줄어들고 있습니다.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112로 접수된 제주 지역 스토킹 범죄 신고는 2022년 476건, 2023년 383건, 지난해에는 358건으로 전년보다 6.5% 가량 줄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말 기준 인구 10만명 당 제주지역 스토킹 범죄 신고건수는 53건으로 전국 평균 62건보다 14.5%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신고 건수 대비 사건처리율은 제주가 57.5%로 전국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2025.02.03(mon)  |  이현
  • Jeju Extends Free Parking
  • The free parking time at public parking lots in Jeju will be temporarily extended. Jeju announced that the free parking time at 127 paid public parking lots across the island will be extended from 30 minutes to one hour until March 31. However, this extension will not apply to nine privately-operated parking lots, Including the Chilseong (칠성) Shopping Mall parking lot. This decision follows a proposal made during the Jeju Provincial Assembly’s Standing Policy Council meeting on January 23, aimed at stimulating the local economy and easing the financial burden on residents. 도내 공영주차장 무료 주차시간 한시적 확대 제주도내 공영주차장 무료 주차 시간이 한시적으로 확대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내 유료 공영주차장 127곳의 무료 주차시간을 3월 31일까지 30분에서 1시간으로 늘립니다. 다만 칠성상가 주차장 등 민간위탁 주차장 9곳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번 조치는 지난 23일 제주도와 제주도의회 상설정책협의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고 도민 경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차원에서 건의돼 결정됐습니다.
  • 2025.02.03(mon)  |  이현
  • JNU, Princeton Launch Learncation
  • Jeju Province and Jeju National University have partnered with Princeton University to launch a global "learncation" program, which combines learning with vacation. This is the first of its kind agreed with a prestigious foreign university, aiming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experience both academic learning and cultural immersion in Jeju. Under this agreement, approximately 15 Princeton University students will visit Jeju National University this June. Princeton, founded in 1746, is a prestigious Ivy League university in the U.S. It has ranked first in Forbes' U.S. University rankings for two consecutive years in 2024 and has produced two U.S. Presidents, as well as numerous Nobel laureates, Fields Medalists, and Pulitzer Prize winners. 제주도-제주대-美 프린스턴, 런케이션 협약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대학교가 미국의 프린스턴대학교와 학습과 휴가를 결합한 글로벌 런케이션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제주도가 해외 유수 대학과 맺는 첫 런케이션 협약으로 외국대학 학생들이 제주에서 학습과 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됩니다. 이번 협약으로 프린스턴대학교 학생 15명 내외가 오는 6월 제주대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프린스턴대는 1746년에 설립된 미국 아이비리그 명문대학으로 2024년 포브스 선정 미국 대학 순위 평가에서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역대 미국 대통령 2명과 다수의 노벨상, 필즈상, 퓰리처상 수상자를 배출했습니다.
  • 2025.02.03(mon)  |  이현
  • Jeju Colleges Raise Tuition
  • Tuition fees at colleges in Jeju are set to rise significantly this year, adding to the financial burden on students and parents. Jeju Halla University recently held a tuition review committee meeting and decided to increase tuition by an average of 5.26% this year to enhanc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vide better student support. Jeju Tourism University, citing financial difficulties, will raise tuition by 5.49% this year, following a 5.62% increase last year, reaching the legal maximum limit. On the other hand,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Jeju International University, a private university, have decided to freeze their tuition fees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도내 전문대 등록금 최대폭 '인상'…제주대 '동결' 제주지역 전문대학들이 올해 등록금을 최대 폭으로 인상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제주한라대는 최근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열고 교육환경 개선과 원활한 학생 지원을 위해 올해 등록금을 평균 5.26% 인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제주관광대도 대학 재정 운영난을 이유로 지난해 5.62% 인상한 데 이어 올해 법정 상한인 5.49% 올리기로 했습니다. 반면 국립대학교인 제주대와 사립대학인 제주국제대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 2025.02.03(mon)  |  이현
  • Overcrowded Jeju High Schools Persist
  • Despite declining student numbers due to low birth rates, overcrowded high school classes in Jeju remain unavoidable this year. All standardized high schools in Jeju City have been classified as overcrowded, with the issue expected to be resolved after 2027 when some specialized schools transition to general high schools. Joseph Kim reports. Overcrowded Jeju High Schools Persist [Slug] This year’s Jeju high school students: 18,843, Up by 10 from last year The number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this year is 18,843. This is an increase of only 0.1%, or 10 students, compared to last year. The number of classes has also decreased by four, from 708 to 704. [Slug] Low birth rates keep high schools overcrowded The declining student population is attributed to the effects of low birth rates. However, some high schools will inevitably continue to have overcrowded classes this year.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s high school student placement plan,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n general high schools in Seogwipo City has decreased from 28 to 27. In specialized high schools in urban areas, the number has been reduced from 25 to 24. However, the situation in standardized general high schools in Jeju City's urban areas is different. CG-IN Among the 284 classrooms,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exceeds 28, meaning all classrooms are categorized as overcrowded. Compared to the 35% overcrowding rate in non-standardized high schools and 1.9% in specialized high schools, Jeju's standardized general high schools have the highest overcrowding rate nationwide. CG-OUT [Slug] Record-high middle school enrollment, High school overcrowding to worsen Moreover, this year’s incoming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 many born during the "black dragon" year baby boom, making it the highest middle school enrollment in a decade. As a result, the issue of overcrowded high school classes is expected to worsen in the coming years. Meanwhile,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already utilized all available classrooms and modular classrooms, making it difficult to alleviate overcrowding. Audio Recording Oh Soon-young / Representativ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e have already maximized the use of available classrooms in schools, and some schools have even introduced modular classrooms. Given these efforts, this is the best we can manage at this point. [녹취 오순영 / 제주도교육청 교육행정과장 ] 저희가 학교에서 가용할 수 있는 교실을 다 가용했고 일부 학교는 모듈러 교실도 배치를 하고 하면서.. 최대치로 잡아본 게 지금 이렇게 잡은 거고요. [Slug] Overcrowding expected to ease after 2 specialized high schools convert to general schools However, after Jeju High School and Jeju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convert into general high schools and a new specialized high school is established in 2027, the overcrowding issue is expected to be resolved. [Reporter] Joseph Kim [Camera] Kim Yong-min Despite a decline in student numbers due to low birth rates, delays in restructuring Jeju’s high school system and a temporary birth surge have led to continued overcrowding in standardized general high schools, making them the most overcrowded in the country. Joseph Kim, KCTV. 학생 주는데 과밀학급 불가피…"2027년 이후에나" [올해 제주 고교생 1만8,843명…전년比 10명 늘어] 올해 제주지역 고등학교 학생 수는 1만 8천 843명입니다. 지난해보다 0.1%, 열명이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 학급 수 역시 704학급으로 전년 대비 4학급이나 감소했습니다. [저출산 영향…일부 고교 과밀학급 '불가피'] 저출산 여파로 학생 수 감소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올해도 일부 고등학교의 과밀학급 구성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도교육청의 고등학교 학생배치 계획을 보면 올해 서귀포시 일반고등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는 종전 28명에서 27명으로 1명이 줄었습니다. 동지역의 특성화고등학교 학급당 정원도 25명에서 24명으로 감축했습니다. 하지만 제주시 동지역 일반고 평준화고등학교의 상황은 다릅니다. CG-IN 전체 284개 교실 가운데 학급당 정원은 28명을 넘어 모든 교실이 과밀 학급으로 분류됩니다. 비평준화고등학교의 경우 과밀학급 비율이 35% 특성화고의 경우 1.9% 수준과 비교하면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CG-OUT [중학생 역대 최다…당분간 고교 과밀 '심화'] 더욱이 올해 중학교 신입생이 출산 붐이 일었던 흑룡띠 학생들로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당분간 고등학교의 과밀학급 문제가 더욱 심화될 전망입니다. 이런 가운데 제주도교육청은 현재 교원 확보와 교실로 활용 가능한 공간은 최대한 이용하고 있는 상태로 과밀 해소는 쉽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녹취 오순영 / 제주도교육청 교육행정과장 ] 저희가 학교에서 가용할 수 있는 교실을 다 가용했고 일부 학교는 모듈러 교실도 배치를 하고 하면서.. 최대치로 잡아본 게 지금 이렇게 잡은 거고요. ["특성화고 2개교 일반고 전환 이후 과밀 해소 기대"] 다만 특성화고인 제주고등학교와 제주여상이 일반고로 전환되고 새로운 특성화고가 만들어지는 2027년 이후에는 이 같은 과밀 학급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KCTV : Joseph Kim] 저출산 영향으로 학생 수가 줄고 있지만 제주고교 체제 개편이 늦어지고 일시적 출산 붐 영향까지 겹치면서 전국 최고이 평준화고 일반고 과밀학급 문제는 반복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2.03(mon)  |  이현
  • Jeju Starts Early Wildfire Alert
  • With an increase in visitors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period, the likelihood of wildfires has risen, prompting Jeju to begin its spring wildfire prevention period earlie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ll set up wildfire prevention headquarters in 16 agencies, including Hallasan (한라산) National Park,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wns, and will implement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Additionally, around 200 wildfire monitors will be deployed to key peaks and hiking trails, and real-time monitoring will be conducted 24/7 through AI-powered CCTV video analysis. 제주도, 봄철 산불 조심기간 조기 운영 설 연휴기간 귀성객과 성묘객 증가에 따라 산불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제주도가 봄철 산불 조심기간을 앞당겨 운영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한라산국립공원과 행정시, 읍면 등 모두 16개 기관에 산불 방지대책본부 상황실을 설치하고 비상근무체제를 구축합니다. 또 산불 감시인력 200여 명을 주요 오름과 등산로에 배치하고 AI기능이 탑재된 CCTV 영상 분석을 통해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합니다.
  • 2025.01.24(fri)  |  이현
  • Deploy Safety Monitors on Construction
  • Jeju City will deploy safety and health monitors at construction sites to ensure safety starting next month, for a period of five months. Two monitors were selected through the public works program for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y will visit 2-3 construction sites daily to provide guidance and promote safety awareness. Key inspection items include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the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adherence to safety regulations. There will also be an emphasis on promoting activities to prevent major accidents. 제주시, 내달부터 건설현장 안전보건지킴이 배치 제주시가 공사현장 안전 확보를 위해 다음달부터 5개월간 건설현장에 안전보건지킴이를 배치해 운영합니다. 안전보건지킴이는 상반기 공공근로사업으로 2명이 최종 선발됐으며, 하루 2~3군데 건설현장을 직접 방문해 계도와 홍보활동을 하게 됩니다. 주요 점검 사항은 안전시설 설치상태와 개인보호구 착용 여부,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으로 중대재해 예방 홍보활동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 2025.01.24(fri)  |  이현
  • Jeju to Add 4 Electric Buses
  • Jeju City will add four more eco-friendly electric low-floor buses to Aewol-eup (애월읍) this year. The newly introduced electric buses can travel up to 374 km on a full charge and can accommodate 40 passengers. Being low-floor buses, they are expected to help alleviate public transportation difficul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In addition to the new buses, Jeju City plans to install two more charging stations at the Hagwi (하귀) public bus turnaround in Aewol-eup (애월읍). 제주시, 올해 전기 저상버스 4대 추가 도입 제주시가 올해 친환경 전기 저상버스 4대를 애월읍에 추가 도입합니다. 이번에 도입 예정인 전기버스는 완충시 374km를 운행할 수 있고, 40명이 탑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상버스여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교통약자의 대중교통 이용 불편 해소가 기대됩니다. 제주시는 전기버스 추가 도입에 따라 애월읍 내 하귀 공영버스 회차지에 충전기 2대도 추가 설치할 계획입니다.
  • 2025.01.24(fri)  |  이현
  • Jeju Consumer Sentiment Drops
  • The consumer sentiment index in Jeju has slightly decreased, falling below the benchmark. According to the Bank of Korea Jeju Branch, the consumer sentiment index for this month is 85.6, a drop of 1.5 points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As a result, the index has remained below the benchmark for 18 consecutive months since August 2023. A consumer sentiment index below 100 indicates that more households have a negative outlook on the economic situation. 제주 소비자심리지수 소폭 하락…기준치 하회 제주지역 소비자심리지수가 소폭 하락하면서 기준치를 밑돌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이달 도내 소비자심리지수는 85.6으로 전월 대비 1.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도내 소비자심리지수는 2023년 8월부터 18개월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작으면 경제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가구가 더 많다는 의미입니다.
  • 2025.01.24(fri)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