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Employment Drops by 8,000
  • The number of employed individuals in Jeju has decreased for six consecutive months, signaling a worsening outlook for the local job market. According to the Jeju Office of Statistics, the number of employed individuals in Jeju last month was 393,000, which is a decrease of 8,00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s a result, employment in the region has continued to decline for six months in a row since July of last year, mainly in retail, accommodation, food service, construction, and agriculture sectors. Overall, the number of employed individuals in the region dropped slightly by 1,00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le the employment rate rose by 0.1 percentage points to 69.3%. 12월 취업자 8천명 줄어…6개월 연속 감소세 제주지역 취업자 수가 6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고용시장의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 취업자 수는 39만 3천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8천명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도내 취업자 수는 도소매·숙박·음식점업과 건설업, 농림어업을 중심으로 지난해 7월부터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과 비교해 1천명 소폭 줄었고 고용률은 69.3%로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 2025.01.16(thur)  |  이현
  • Vegetable Price Gap Surged…Soybean Falls
  • The price of winter vegetables in Jeju has surged recently, and some items are facing significant price fluctuations due to abnormal weather conditions, leading to greater damage for farmers. According to Jeju Island, as of the 13th, the average shipment prices for major winter vegetables were approximately 28,000 KRW for 20 kg of winter radishes and 69,000 KRW for carrots, nearly three times higher than a year ago. For 8 kg of cabbage, the price was 13,900 KRW, more than double compared to 4,900 KRW a year ago. In contrast, soybeans, which account for 90% of national production, are facing a sharp drop in the quality of their harvest, with the ratio of marketable soybeans falling by nearly 4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amount purchased by the government has also decreased, and it is expected that farmers' income will be about half of the usual level. 채소류 품목별 가격 편차 커…콩 농가 '울상' 제주 월동채소 가격이 최근 급등한 가운데 일부 품목은 이상 기후 등으로 농가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주요 월동채소 평균 출하 가격은 20kg 기준 월동무는 2만 8천 원, 당근은 6만 9천 원으로 1년 전보다 3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8kg 기준 양배추는 1만 3천 900원으로 1년 전 4천 9백원에 비해 배 이상 높은 시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전국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콩은 상품 비율이 전년 대비 40% 가까이 떨어지고 수매량 마저 줄면서 농가 소득도 평년 대비 절반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25.01.16(thur)  |  이현
  • Jeju Fire Festival Returns with 'Digital Fire Lighting'
  • Jeju Fire Festival Returns with 'Digital Fire Lighting' After a two-year break, the Jeju Fire Festival?an event previously criticized for its potential wildfire risks and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is set to return. The Jeju City government announced their plans for this year's festival at an official briefing. This year’s festival will run from March 14 to 16 at its usual location, Saebyeol Oreum volcanic cone in Aewol-eup. Discussions with a citizen planning group and a review by advisory committees resulted in basic plans that exclude fire lighting from the festival. Instead, the festival will promote its traditional fire theme in alternative ways. Replacing actual wildfires, "digital fire lighting" will use media art with lights and visual effects to symbolize fire. The festival will offer new activities such as distributing hope saplings, guided volcanic cone environmental?or plogging?programs focused on nature's sounds, sunset and night trekking, and a national Jeju folk game competition. Hyun Kyung-ho / Representative, Jeju City To preserve the festival's traditions, fire-related content will be included. Events like the torch parade and daljip burning will use flames kindled from ceremonial fire. However, instead of setting fire to the entire oreum, we plan to incorporate media content, laser lighting, and media art. The revived festival will begin with a fire kindling ceremony at (삼성혈) Samseonghyeol, followed by a fire relay performance involving 1,000 citizens. The goal is to uphold the festival’s identity while transforming it into a participatory event. Kim Wan-geun / Mayor, Jeju City As 2025 marks the first year of change for the Jeju Fire Festival, we hope it becomes a symbol of hope and unity for the region. We ask for strong interest and support from residents. However, the decision to retain events like the torch parade, daljip (moon house) burning, and fireworks?despite past emphasis on a fireless, eco-friendly festival?has reignited controversy. A proposed local ordinance in Aewol-eup that conditionally permits fire lighting at the volcanic cone is currently pending a Provincial Council vote, after being sent back for review. Meanwhile, the debate surrounding the festival continues. '디지털 불놓기'로 3월 재개…일부 논란 산불 위험과 환경 훼손 논란 등이 이어져온 제주들불축제가 2년 만에 재개됩니다. 제주시는 공식 브리핑을 통해 올해 들불축제와 관련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번 축제는 오는 3월 14일부터 16일까지 기존 축제 장소인 애월읍 새별오름 일대에서 개최됩니다. 시민기획단 논의 결과와 자문단 검토 과정 등을 거친 기본계획에 따라 핵심 콘텐츠인 '불 놓기'는 하지 않되 '불'을 테마로 전통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들불이 빠진 빈 자리는 빛과 조명 등 미디어아트로 불을 형상화 해 일명 디지털 불놓기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또 축제기간에 새희망 묘목 나눠주기, 자연의 소리를 들으며 해설가와 함께 하는 오름 플로깅, 일몰 시간과 야간 트래킹, 제주 민속놀이 전국대회 등 새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현경호 / 제주시 관광진흥과장> 축제 전통성 차원에서 (불 관련 콘텐츠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채화된 불씨로 달집태우기 등의 횃불 대행진 행사들은 개최하면서 오름 전면에 불 놓던 거를 여러 가지 미디어 콘텐츠 기술, 레이저 조명이라든지 미디어아트를 복합해서 연출을 하겠다는 겁니다. 이번에 재개되는 들불축제는 삼성혈에서의 불씨 채화를 시작으로 1천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하는 불씨 전달 퍼포먼스 등을 통해 축제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시민참여 축제로 만들어가겠다는게 제주시의 구상입니다. <김완근 / 제주시장> 2025년 제주들불축제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첫 해인 만큼 제주를 대표하는 희망과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하지만 논의 과정 등을 통해 '불'없는 친환경 생태 축제를 계속 강조해왔던 것과는 달리 횃불 대행진과 달집 태우기, 불꽃쇼 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애월읍 일부 주민들이 오름 불 놓기를 조건부로 명문화한 주민 발의 조례가 제주도의 재의 요구로 도의회의 표결을 남겨두고 있어 들불축제와 관련한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 2025.01.16(thur)  |  이현
  • Jeju to Inspect Livestock Hygiene
  •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Lunar New Year, Jeju City anticipates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for rituals and gifts. As a result, the city will carry out special hygiene inspections on livestock products until the 24th. The inspections will focus on businesses handling livestock products, ensuring compliance with hygiene management standards and checking for false labeling of origin or livestock traceability. If intentional or serious violations are detected during the inspections, the city plans to impose penalties such as business suspension or fines. 제주시, 설 명절 대비 축산물 특별 위생점검 제주시가 다가오는 설 명절을 맞아 제수용과 선물용 축산물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오는 24일까지 축산물 특별 위생점검을 실시합니다. 이에따라 축산물 취급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생 관리 기준 준수와 원산지나 축산물 이력제의 허위 표시 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점검을 통해 고의성이 있거나 중대한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 영업정지 또는 과태료 등을 부과할 방침입니다.
  • 2025.01.13(mon)  |  이현
  • Seogwipo Offers Child Health Subsidy
  • Seogwipo City will provide a monthly subsidy of 50,000 KRW for children aged 8 to 12, whose household income is at or below 120% of the median income. Applications can be made by visiting the local district office or through the online government portal, gov.kr. The Children's Health Subsidy will be provided in the form of Tamnaneonjeon (탐나는전) credit and can be used at over 1,100 affiliated establishments in the province, including sports academies and gyms. 서귀포시,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월 5만 원 지원 서귀포시가 8살 이상 12살 이하 중위소득 120% 이하 아동들에게 매달 5만 원의 아동건강체험활동비를 지원합니다.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온라인 정부24를 통해 가능합니다. 건강체험활동비는 탐나는전 충전방식으로 지급되며 운동 관련 학원과 체육관 등 도내 1천100여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25.01.13(mon)  |  이현
  • Jeju to Build Eco-Friendly Food Tech
  • The Province has announced a plan to develop a Green Food Tech ecosystem by 2035. Key elements of the strategy include developing customized strategic foods using Jeju’s unique clean resources, improving the food industry’s structure through the use of AI and renewable energy to create environmentally friendly smart manufacturing standards. It will also leverage Jeju's characteristics as an international tourist city to develop tailored food tourism information services and provide convenient mobile ordering and payment systems. Additionally, the plan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innovative infrastructure in the Jeju Science Park, such as the Green Bio Venture Campus and the Food Tech Research Support Center, to enhance the industry ecosystem's competitiveness. Jeju Island aims to foster 50 K-RE100 companies with annual sales exceeding 5 billion KRW, produce 5 publicly listed companies, and create 500 new jobs through this strategy. 2035년까지 제주 그린 푸드테크 생태계 조성 제주특별자치도가 오는 2035년까지 그린 푸드테크 생태계 조성 전략을 마련해 추진합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제주의 청정 특화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전략식품을 개발하고 인공지능과 신재생에너지로 환경친화 스마트 제조 표준화로 식품산업의 체질을 개선합니다. 또 국제관광도시의 특징을 살려 맞춤형 관광식품 정보 서비스 개발과 함께 편리한 모바일 주문과 결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에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와 푸드테크연구지원센터 등 혁신 기반시설을 조성해 산업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제주도는 이같은 전략을 통해 매출 50억 이상 K-RE100 기업 50개사 육성과 상장기업 5개사 배출, 신규 일자리 500개 창출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 2025.01.13(mon)  |  이현
  • Students Drive Digital Shift for SMEs
  • The project leveraging university student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all businesses is showing significant results. The Jeju RIS Intelligent Service Center, in collaboration with Jeju Island and Kakao, has been running the project since November of last year. They matched 23 university digital supporters with 23 small businesses and merchant associations, providing one-on-one support for customized digital transformation. As a result, 18 of the businesses successfully created KakaoTalk channels, securing a potential customer base of 7,200 people. 대학생 활용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사업 성과 대학생을 활용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제주 RIS지능형서비스단이 주관하고 제주도와 카카오가 협력한 이번 사업은 지난해 11월부터 대학생 디지털 서포터즈 23명을 소상공인과 상인회 23개소에 1대1로 매칭해 맞춤형 디지털 전환을 지원했습니다. 이를 통해 18개소가 카카오톡 채널을 새로 개설했으며 잠재적 고객으로 7천 200명을 확보하기도 했습니다.
  • 2025.01.13(mon)  |  이현
  • Norovirus & Flu Cases Rise
  • Seogwipo Public Health Center has urged caution in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as cases of norovirus infection and influenza have been on the rise during the winter season. Over the past five weeks, norovirus infections nationwide have increased by 3.6 times, and influenza cases have reached the highest level since 2016. The health cent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earing masks and proper handwashing to prevent infection. Norovirus can be transmitted through contaminated water or food, or through patient droplets, and it tends to occur predominantly among young children in group settings. 노로바이러스·인플루엔자 환자 증가…"예방 주의" 서귀포보건소가 최근 노로바이러스감영증과 인플루엔자 등 동절기 감염병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감염병 예방에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최근 전국적으로 5주간 노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가 3.6배 증가하고 인플루엔자 환자 역시 2016년 이래 최고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마스크착용과 올바른 손씻기 등을 강조했습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환자 비말에 의해 감염될 수 있으며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발생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 2025.01.13(mon)  |  이현
  • Jeju Boosts Local Spending
  • Jeju is holding a consumption promotion event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for the upcoming Lunar New Year holiday. The event, which runs until January 31, focuses on a 10,000 KRW refund through the "Tamnaneunjeon” (탐나는전) app and 3,000 KRW delivery fee support for the Jeju public delivery app "Meokkaebi." (먹깨비) During the event period, customers who make a purchase of 50,000 KRW or more at partner stores with annual sales of 1 billion KRW or less will receive a 10,000 KRW refund through the Tamnaneunjeon (탐나는전) app. The payment methods are flexible, including cash, credit or debit cards, with up to three refunds per person. The Meokkaebi app delivery fee support will cover 3,000 KRW for customers who order food worth 4,000 KRW or more, with one refund per day. The program will continue until the budget is exhausted and will be available year-round. 지역상권 활성화 소비촉진 행사…탐나는전 환급 제주도가 설 명절을 맞아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소비촉진 행사를 실시합니다. 오는 31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탐나는전 1만원 환급과 제주 공공배달앱 먹깨비 3천원 배달비 지원을 중심으로 이뤄집니다. 행사 기간 중 연매출 10억 이하 가맹점에서 하루에 5만 원 이상 구매할 경우 1만원을 탐나는 전 앱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구매 방식은 현금이나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제한이 없으며 1인당 최대 세차례까지 가능합니다. 먹깨비 배달비 지원은 4천원 이상 음식을 주문한 고객에게 1일 1회 3천원을 지원하게 되며 예산 소진때까지 연중 계속해서 진행됩니다.
  • 2025.01.13(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