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Debate on Using Closed School Facility
  • Jeju School Closure Sparks Debate This is a cafe located in Hallim-eup, Jeju City. The school facility, closed due to a decline in student numbers, was remodeled and gained attention as a popular spot. However, despite being visited daily by tourists until last year, it abruptly ceased operations this year. The interior furnishings and items for sale remain untouched. The sudden closure of this popular spot was due to illegal subleasing discovered during an audit. The village association, which had leased the closed school facility for free from Jeju education authorities, was found to have illegally subleased it to a private business operator, generating improper profits. Recording Kim Kwang-soo / Jeju Superintendent of Education Leasing it to the village keeps causing these problems. Using educational land for profit-driven projects is unacceptable. Jeju education authorities terminated the use contract with the village association and announced plans to repurpose the facility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However, opinions on its specific utilization remain divided. Some local governments have proposed building public housing on the school site. Others have suggested using the facility as a preschool education center or an environmental school, which are lacking in western Jeju. Recording Kim Kwang-soo / Jeju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here are talks of establishing a western preschool education center here. Many parties are interested. But it requires funding and investment… Critics argue that Jeju education authorities have struggled to effectively utilize closed school facilities for educational purposes. In fact, 4 out of 10 closed schools in Jeju remain unused and effectively abandoned. With the superintendent declaring plans to utilize closed school facilities as public educational infrastructure, community interest is focused on how this site will be repurposed. 불법 재임대 논란…폐교 활용 방안 '분분' 제주시 한림읍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학생 수 감소로 폐교된 학교시설을 리모델링해 인기 명소로 주목받았습니다. 하지만 지난해까지 매일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던 이 곳은 올들어 갑작스레 영업을 중단했습니다. 실제 내부 집기나 판매되던 물품은 아직 정리조차 안됐습니다. 인기 명소가 하루 아침에 문을 닫은 이유는 감사 과정에서 불법 전대 행위가 적발됐기 때문입니다. 마을회가 제주교육당국으로부터 무상으로 임대받은 폐교시설을 개인사업자에게 불법으로 재임대해 부당이득을 취득한 사실이 들통났습니다. <녹취 김광수 / 제주도교육감 > 이게 마을에다가 (임대)했더니만 자꾸 이런 문제가 생겨서 수익만 접근해서 우리 교육용지를 가지고 수익 사업한다는 건 말이 안 되거든요. 제주교육당국은 마을회와 맺은 폐교 재산 사용계약을 중도 해지하고 앞으로 교육시설로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할지를 두고 의견은 분분합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학교 부지 등에 공동주택을 지어 활용하자는 의견을 제안했습니다. 일각에선 제주 서부지역에 부족한 유아교육센터나 환경학교 등으로 활용하자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녹취 김광수 / 제주도교육감 > 여기다가 서부 유아교육센터를 어떻게 해보자하는 얘기도 있고 눈독 들이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이것도 재정이 풀려야 될 얘기입니다. 투자가 필요해서... 하지만 제주교육당국은 그동안 폐교 시설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데 한계를 보여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실제 제주지역의 문을 닫은 학교 10곳 가운데 4곳 꼴로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습니다. 교육감이 폐교 시설을 공공 교육인프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한 가운데 이 곳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지 지역 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 2025.01.13(mon)  |  이현
  • 'Bbaegi' App for Large Waste Disposal
  • Jeju City will begin a trial operation of a mobile application, 'Bbaegi,' for the easy disposal of large waste items, which will run until June. The app aims to addres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visit local offices to apply for large waste disposal by offering a one-stop service through the app. This includes waste reporting, transportation, and payment. For large items such as wardrobes and sofas, users can pay a fee for transportation services to designated locations. The app also allows for the buying and selling of recyclable secondhand items. 제주시, 대형폐기물 간편 배출 앱 '빼기' 시범 운영 제주시가 오는 6월까지 대형폐기물 간편 배출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빼기'를 시범 도입해 운영합니다. 기존 대형폐기물을 배출하면서 직접 읍면동을 방문해 신청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사업으로 앱을 통해 배출 신고부터 운송, 결제까지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장롱과 소파 등 대형폐기물의 경우 일정 수수료를 부담하면 지정된 장소까지 운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재활용이 가능한 중고물품의 경우 매매도 가능합니다.
  • 2025.01.09(thur)  |  이현
  • Seogwipo to Inspect Restrooms
  • Seogwipo City will conduct special inspections of 401 public restrooms from January 13th in preparation for the increase in visitors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Inspections will cover the cleanliness of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the availability of convenience supplies, the condition of facilities, the presence of illegal cameras, and proper functioning of emergency be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spection, minor issues will be immediately addressed on-site, and any necessary repairs will be promptly handled to minimize inconvenience for users. 서귀포시, 설 명절 앞두고 공중화장실 특별점검 서귀포시가 설 명절 이용객 증가에 대비해 오는 13일부터 공중화장실 401개소를 특별점검 합니다. 이번 점검에서는 내외부 청결 상태와 편의용품 비치 상태, 시설물 파손 여부, 불법카메라 설치 여부, 비상벨 정상 작동 여부 등을 살피게 됩니다. 점검 결과에 따라 경미한 부분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즉시 보완 조치하고 보수가 필요한 사항은 신속한 조치를 통해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입니다.
  • 2025.01.09(thur)  |  이현
  • Yangji Park to Manage Access for Holidays
  • Jeju will implement special management measures at Yangji (양지) Park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from January 28 to 30. During the Lunar New Year period, the ritual hall will be closed, and the consumption of food and beverages indoors will be prohibited. Additionally, traffic controls will be in place at the park's entrance. To prevent overcrowding of visitors during the holidays, the Province is encouraging advance visits and will limit individual mourning time to approximately 5 minutes, considering the closure of the ritual hall. 양지공원, 설 연휴기간 특별관리…제례실 폐쇄 제주도가 설 연휴기간인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양지공원 특별 관리대책을 시행합니다. 이에따라 봉안시설 내 제례실을 폐쇄하고 실내 음식물 반입과 섭취를 금지합니다. 또 양지공원 진입구간에 교통통제 등이 이뤄집니다. 제주도는 설 연휴기간 추모객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사전 방문을 유도하고 개인별 추모 시간은 제례실 폐쇄를 감안해 5분 내외로 제한할 방침입니다.
  • 2025.01.09(thur)  |  이현
  • Jeju Proposes Tax Cuts for Housing
  • Jeju Province is set to announce a partial revision of the local tax exemption ordinance aimed at expanding housing supply and revitaliz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draft revision will be open for the public until the 23rd of this month. Changes include strengthening tax incentives for buyers of small-sized homes and developers of unsold apartments, as well as redesigning the long-standing tax relief program for parking lot installations. The details of the proposed revision can be found on Jeju Province's website and the onlin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portal. Comments and inquiries can be directed to the Jeju Provincial Taxation Office. 건설경기 활성화 제주도세 감면 추진 제주도가 주택공급 확대와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제주도세 감면 조례 일부개정안을 오는 23일까지 입법예고 합니다. 이번 개정안은 소형주택 원시취득자와 미분양아파트 사업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장기 운영 중인 주차장 설치지원 감면제도를 재설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입법예고 내용은 제주도 누리집과 온라인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의견 제출과 문의는 제주도 세정담당관으로 하면 됩니다.
  • 2025.01.09(thur)  |  이현
  • 81% of SMEs in Jeju Uncertain on Hiring
  • Eight out of te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Jeju have no specific or have uncertain hiring plans for the first half of this year.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Jeju Regional Headquarters of the Korea Federation of SMEs, which targeted 84 local SMEs, 81% of the companies responded that they either have no hiring plans, or their plans are undecided or flexible. This response rate represents a 16 percentage point increase compared to the second half of last year, which is believed to be influenced by the economic downturn and labor cost burdens. Additionally, the average number of hires made in the second half of last year was 0.6, while the hiring plan for the first half of this year is an average of 0.3. 중소기업 81% "상반기 인력채용 계획 없거나 유동적" 도내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상반기 인력 채용 계획이 없거나 유동적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가 도내 중소기업 84개 업체를 대상으로 상반기 인력 채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81%가 인력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 또는 유동적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이 같은 응답 비율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16%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불확실한 경기 전망과 인건비 부담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또한 지난해 하반기 채용실적은 평균 0.6명, 올해 상반기 채용계획은 평균 0.3명으로 조사됐습니다.
  • 2025.01.09(thur)  |  이현
  • Illegal Chinese Fishing Vessels Caught
  • Foreign fishing vessels engaged in illegal activities in South Korean waters have been repeatedly caught by the Coast Guard. According to the Jeju Coast Guard, on the morning of the 6th, at approximately 8:40 AM, a Chinese vessel was caught operating without permission approximately 140 km southwest of Chagwido (차귀도) Island. Earlier, on the afternoon of the 3rd, another Chinese trawl vessel was caught illegally operating 126 km southwest of Marado (마라도). The vessel turned off it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and attempted to flee but was captured. Over the course of four days, from the 2nd to the 5th, a total of three foreign vessels engaged in illegal fishing were detained. The Coast Guard plans to strengthen its crackdown on illegal foreign fishing vessels this year through surprise inspections and other measures. Jeju Coast Guard 우리해역 침범 불법 조업 중국 어선 잇따라 적발 우리나라 해역에서 불법 조업을 하던 외국어선들이 잇따라 해경에 적발됐습니다.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지난6일 아침 8시 40분쯤 차귀도 남서쪽 약 140km 해상에서 허가 없이 조업하던 중국 범장망 어선이 적발됐습니다. 이보다 앞선 지난 3일 오후에는 마라도 남서쪽 약 126km 해상에서 불법 조업하다 적발되자 선박자동식별장치 등을 끄고 도주한 중국 범장망 어선이 나포되는 등 지난 2일부터 5일 동안 불법조업 외국어선 3척이 나포됐습니다. 해경은 올해도 불시 단속 등을 통해 불법 조업 외국어선에 대한 단속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 2025.01.09(thur)  |  이현
  • Jeju Cabbage Exports Resume After 5 Years
  • Jeju Cabbage Exports Resume After 5 Years Workers are busy sorting cabbages. Well-trimmed cabbages are being packed into boxes and loaded into cargo containers for export. Jeju cabbage exports, which had halted for five year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ve restarted. This resumption is attributed to both the cabbage’s exceptional sweetness and a robust production traceability system that tracks data from planting to harvest. Lee Jeong-sook / Representative, Agricultural Cooperative Corporation I thought exports would resume quickly after COVID ended, but it took some time. I think factors like the production traceability system that satisfies Japan and the excellence of Jeju cabbages played a role in this. This resumption after 5 years involves 24 local farms, with a target of exporting about 1,000 tons by April. Exports should stabilize cabbage supply, resolving issues like overproduction and wasteful disposal in production areas. Kim Hak-jong / President, Jeju Cabbage Association Right now, export contracts yield 40% less profit compared to domestic markets. So why are we doing this? For long-term plans?when there’s a surplus of spring shipments, this helps distribute them more evenly. Jeju’s agricultural sector plans to leverage renewed exports to Japan as a base for diversifying into other international markets and securing ongoing export growth for Jeju agricultural goods. Kang Dong-man / President, Jeju Agricultural Products Supply Management Association We need to move toward the global market. So, we started with Japan and Taiwan, the closest markets. Using this as an opportunity, we aim to export even larger quantities. However, the issue of double logistics costs incurred when transporting to other regions like Busan is a key challenge that must be addressed to further expand the export of Jeju’s agricultural products. 제주산 양배추 5년 만에 수출 재개 양배추 선별 작업이 한창입니다. 잘 손질된 양배추들이 박스에 담겨 수출을 위한 화물차 컨테이너로 옮겨집니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제주산 양배추 수출길이 5년만에 재개됐습니다. 제주산 양배추의 우수한 단맛뿐 아니라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의 정보가 담긴 생산이력제가 수출 재개의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이정숙 / OO영농조합법인 대표> 코로나 끝나면 금방 재개될 줄 알았는데 좀 걸린 것 같습니다. 여러 가지 일본에서 만족할 만한 생산이력제라든지 저희 제주 양배추 농산물의 우수성 이런 것들이 작용해서 아마 다시... 이번 5년 만의 재개에는 지역의 24개 농가가 참여하고 4월까지 1천톤 내외의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과잉생산과 산지폐기 등이 빈번한 상황에 양배추 수급을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학종 / 제주양배추연합회 회장> 지금 국내 대비 수출 계약(수익)이 마이너스 40%... 그럼에도 이걸 왜 했냐 하면 장기적인 계획에서 이제 향후 예상되는 봄철 홍수 출하됐을 때 분산 출하의 목적도 있고... 제주 농산물 단체들은 이번 일본 수출 재개를 발판삼아 해외 시장을 다각화하고 제주농산물의 수출 활로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강동만 / 제주농산물수급관리연합회 회장> 이제 세계로 나가야 되지 않겠느냐. 그래서 제일 가까운 일본, 대만 쪽으로 먼저 선정을 해서 수출을 하게 됐는데 이걸 기회로 해서 더 많은 물량이 나갈 수 있도록... 다만 부산 등 다른 지역으로 운송하며 발생하는 이중물류비에 대해서는 제주산 농산물의 수출 확대를 위해 해결해야할 과제로 꼽힙니다.
  • 2025.01.09(thur)  |  이현
  • Jeju Launches Fundraising for Projects
  • Jeju Island is launching a fundraising campaign for this year’s Hometown Love Donation program, aimed at preserving the island's Oreums (오름) and establishing a pet healing shelter. Each of the two projects has a fundraising goal of 100 million KRW, and donors will be able to choose which project they would like to support. To express gratitude to the donors, Jeju plans to install plaques on the outer walls of the oreum (오름) shelters and in the pet playground area of the pet healing shelter. 올해 고향사랑기부 '오름 보전·반려동물 쉼터' 모금 제주도가 올해 고향사랑기부금으로 오름 보전과 반려동물 힐링 쉼터 조성을 위한 모금을 시작합니다. 두 사업은 각각 1억 원의 모금을 목표로 기부자가 원하는 사업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제주도는 기부자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기 위해 오름쉼터 외벽과 반려견 놀이터 부지 내에 명판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 2025.01.06(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