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Lotte Expands Community Projects
  • Lotte Tour Development plans to significantly expand its community contribution projects in Jeju next year, as its Dream Tower complex resort project moves into full operation. The company intends to support various initiatives, including donations to animal shelters, marine litter collection, coastal cleanups, and ecosystem conservation activities. It also plans to launch new projects in various sectors. In addition, Lotte will focus on welfare initiatives such as child care support, scholarship programs, and projects to support local small businesses, aiming to address the needs of the community. 롯데관광개발, 내년 지역공헌 사업 대폭 확대 롯데관광개발이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내년 제주지역 사회공헌 사업을 확대합니다. 롯데관광개발은 유기동물 보호시설 후원과 해양쓰레기 수거 등 해안정화와 생태계 보존 활동 지원 등을 비롯해 분야별 신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 아동 돌봄 후원 등 복지사업, 예체능 분야 우수 학생 발굴을 위한 장학사업, 골목상권 지원 프로젝트 추진 등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업을 발굴할 예정입니다.
  • 2024.12.20(fri)  |  이현
  • Jeju Distributes Food Safety Training Video
  • The Jeju City Office of Education has produced and distributed a training video to schools to prepare for potential food poisoning incidents. The video includes scenarios of monitoring patients in the school health room, holding meetings for the school's food poisoning response team, and conducting investigations into suspected cases by homeroom teachers. The Jeju City Office of Education plans to use the video for staff training before the start of the new school year. 제주시교육지원청, 식중독 대응 훈련영상 제작 보급 제주시교육지원청이 학교 식중독 의심 환자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모의 훈련 영상을 제작해 학교에 보급합니다. 이번 영상에는 학교 식중독 의심 환자 발생한 경우 보건실 환자 모니터링과 학교 식중독 대책반 회의 그리고 담임교사들의 유증상자 조사 상황 등이 포함됐습니다. 제주시교육지원청은 내년 신학기 이전에 학교 교직원 연수에 활용할 방침입니다.
  • 2024.12.20(fri)  |  이현
  • 4 New Cultural Centers Opening
  • Jeju island will fully open four newly created public cultural facilities next year to expand opportunities for residents to enjoy cultural activities. The facilities set to open next year include the ‘Arko Performance Rehearsal Center at the former Academy Theater, the Jeoji (저지) Community Cultural Center, the Udo (우도) Cultural Complex, and the Seogwipo (서귀포) Dreaming Arts Center. The Arko Performance Center and Jeoji Community Cultural Center will begin operations next month, while the Udo Cultural Complex and Dreaming Arts Center will officially open in June next year after completing their program preparations. Jeju plans to entrust the professional operation of these facilities to the Jeju Foundation of Arts & Culture. 신규 조성 공공문화시설 4곳 내년부터 전면 개방 제주도가 내년부터 도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조성한 공공문화시설 4곳을 전면 개방합니다. 내년에 개방되는 시설은 옛 아카데미 극장에 들어선 '아르코 공연연습센터'와 저지 생활문화센터, 우도 복합 문화공간, 서귀포 꿈꾸는 예술터 4곳 입니다. 아르코 공연연습센터와 저지 생활문화센터는 다음달부터 운영되며 우도 문화 복합시설과 꿈꾸는 예술터는 내년 프고그램 준비를 마친 후 내년 6월 정식 개관할 예정입니다. 제주도는 전문적인 운영을 위해 제주문화예술재단에 위탁할 예정입니다.
  • 2024.12.20(fri)  |  이현
  • Road Satisfaction Up, Congestion Remains
  • User satisfaction with major roads in Jeju has seen a slight improvement. According to Jeju Province, the overall satisfaction score in this year’s survey of major roads was 76 points, up from 73 points last year. By category,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recorded in road environment comfort with 76 points, followed by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75 points), safety (73 points), and smoothness (69 points). However, the survey highlighted resolving traffic congestion during commuting hours as the most urgent issue. Other concerns included improving lane visibility and addressing concerns with frequent road construction and shoulder parking. 도로 이용 만족도 소폭 상승…출퇴근 교통체증 과제 도내 주요 도로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주요 도로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전반적 만족도는 76점으로 지난해 73점보다 높아졌다고 밝혔습니다. 영역별로는 도로환경 쾌적성 만족도 점수가 76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통정보 제공 75점, 안정성 73점, 원활성 69점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이번 조사를 통해 출퇴근시간대 교통 체증 해소가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고 차선 시인성 확보와 잦은 도로공사와 갓길 주차로 인한 불편 해소 등이 의견으로 접수됐습니다.
  • 2024.12.20(fri)  |  이현
  • Jeju's Abandoned Homes Rise 34%
  • Over 1,000 abandoned houses that have been uninhabited for over a year have been identified in Jeju.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re are currently 1,159 abandoned houses in the region, which is a 34.4% increase compared to five years ago. The distribution of these abandoned houses is notably higher in rural areas. Hangyeong-myeon (한경면) had the highest percentage at 9.5%, followed by Hanlim-eup (한림읍), Aewol-eup (애월읍), Daejeong-eup (대정읍), and Seongsan-eup (성산읍). Regarding the condition of the houses, 73% were categorized as grade 2 houses, which can be utilized after safety measures and repairs. Grade 1 houses, which are ready for immediate use, accounted for 10%, while 17% were deemed grade 3 houses that need to be demo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Jeju plans to commission the Jeju Research Institute to develop a plan for managing these abandoned houses. 도내 방치된 빈집 1,159호…5년 전보다 34% 증가 제주도내에 1년 이상 거주하지 않은 방치된 빈집이 1천호가 넘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방치된 빈집은 모두 1,159호로 5년 전보다 34.4% 증가했습니다. 특히 읍면 지역 빈집 분포도가 높았는데 한경면이 9.5%로 가장 많았고 한림읍, 애월읍, 대정읍, 성산읍 순으로 많았습니다. 빈집의 상태는 안전 조치와 수리 후에 활용 가능한 2등급 빈집이 73%로 가장 많았고 바로 사용 가능한 1등급은 10%, 철거해야 하는 3등급 빈집은 17%로 조사됐습니다. 제주도는 이번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주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빈집 정비 계획을 수립할 계획입니다.
  • 2024.12.20(fri)  |  이현
  • Cuts in School Trip Subsidies for Multi-Child Families
  • Cuts in School Trip Subsidies for Multi-Child Families High schools across Jeju are struggling to finalize plans for next year’s school trips. The decision stems from the Jeju Education Office's policy to reduce financial support for school trip expenses for multi-child families. This year, the average cost per high school student for a school trip is approximately 700,000 won. The Jeju Education Office covered 400,000 won of that per student and fully funded remaining expenses for low-income and multi-child families. Starting next year, the support for multi-child families will be capped at 600,000 won, with any shortfall expected to be covered by school budgets. This shift has raised concerns due to the significant financial burden it imposes on schools. In 2022, the Jeju Education Office became the first in the nation to redefine multi-child families to include households with two children instead of three, as part of its expanded welfare initiative.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eligible students rose from 29% to over 55%, drastically increasing the financial strain on overcrowded schools. Some schools face annual additional school trip costs of tens of millions of won. In response, schools are exploring options such as shortening the usual 4-day, 3-night trips or reducing other educational programs. Phone Interview High School Official A For schools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like ours, covering school trip expenses from our budget is not a simple matter. Phone Interview High School Official B Most school trips from the mainland are 3 days and 2 nights. We're considering adopting the same schedule. Teacher unions have also voiced opposition to the confusion caused by the policy. They argue that the decision to reduce school trip subsidies was made unilaterally, without sufficient dialogue with educators. Critics also point out the inconsistency of the policy, especially given the Jeju Education Office’s prior focus on expanding educational welfare by broadening the definition of multi-child families. INTERVIEW Hyun Kyung-yun / Jeju Teachers' Union Head Telling schools to figure out the extra funding for multi-child family school trips on their own essentially sends the message that the education office is no longer taking responsibility. There’s a clear lack of consistency in policy. The Jeju Education Office's decision has sparked criticism. It is seen as not only a reduction in educational welfare but also a regressive step in tackling the low birthrate crisis. 다자녀 수학여행 지원 축소…학교 '혼란' 일선 고등학교마다 내년도 수학여행 계획 수립을 앞두고 고민에 빠졌습니다. 제주교육당국이 다자녀 가정에 대한 수학여행 경비 지원을 축소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올해 기준 한명의 고등학생에 소요되는 수학여행 경비는 평균 70만원 선 제주도교육청은 이 가운데 한명당 40만원을 지원하고 저소득층과 다자녀 가정 학생들에게는 나머지 경비도 지원해왔습니다. 하지만 내년부터 다자녀 가정 학생들에게는 최대 60만원까지만 지원하고 부족한 경비는 학교 예산으로 부담하도록 지침을 보냈습니다. 문제는 학교가 부담해야 할 수학여행 경비가 만만치 않다는데 있습니다. 지난 2022년 제주도교육청은 교육복지를 확대한다며 전국에서 처음으로 다자녀 기준을 세 자녀 가정에서 두 자녀 가정으로 완화했습니다. 이 때문에 다자녀 가정 지원대상 학생은 종전 29%에서 절반을 웃도는 55%까지 확대됐습니다. 이처럼 다자녀 가정 학생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일부 과밀 학교에서 부담해야할 수학여행 경비는 연간 수천만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학교에선 종전 3박4일로 가던 수학여행 일정을 단축하거나 다른 교육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전화녹취 A 고등학교 관계자 ] 저희 같은 경우에는 학생 수가 많기 때문에 학교에서 사실 (수학여행 경비) 이것을 부담하는 게 아주 쉬운 부분은 아니어서... [전화녹취 B 고등학교 관계자 ] (육지에서) 수학여행 오는 팀들이 보통 2박 3일로 오거든요. 이렇게 하면 이제 저희도 2박 3일로 갔다 올까 (검토중입니다.) 이처럼 혼란에 교원단체들도 반발하고 있습니다. 교육 현장과의 사전 공감대 없이 수학여행 경비 지원 축소를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는 겁니다. 무엇보다 교육복지 확대를 기치로 다자녀 기준 완화에 앞장섰던 제주교육당국의 정책 일관성도 흔들리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현경윤 / 전교조 제주지부장 ] 다자녀에 대해서 수학여행비 추가 지원을 학교에서 알아서 (부담)해라라고 한다라는 건 교육청에서 더 이상 우리는 그거에 대해 책임지지 않겠다라는 메시지잖아요. 이게 (정책의) 일관성이 없어요. 제주도교육청의 이번 결정이 교육 복지 축소 우려를 넘어 저출산 위기극복에 '역행'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보입니다.
  • 2024.12.20(fri)  |  이현
  • Challenges in Jeju Growing Income Polarization
  • Challenges in Jeju Growing Income Polarization Fewer than two out of ten Jeju residents experienced upward economic mobility within a year.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s first-ever Income Mobility Statistics based on labor and business income, 36.3% of Jeju residents experienced upward or downward income mobility in 2022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is income mobility rate is the second-highest among the 17 regions in Korea, following Incheon. Of those who experienced income mobility, 18.3% moved to a higher income bracket, while 18.1% moved to a lower bracket. The remaining 63.7% remained in the same income bracket as the previous year. From 2018 to 2022, annual income mobility rates have fluctuated. Upward mobility decreased slightly from 18.5% in 2018 to 18.3% in 2022, while downward mobility declined from 20.3% to 18.1% over the same period. However, the percentage of people maintaining their income bracket has increased since 2020, indicating a decline in social mobility. In 2022, the highest income bracket (quintile 5), representing the top 20% of earners, had the highest retention rate of 83.7%. This means 8 out of 10 people in the top income bracket in 2021 remained in that group the following year. Meanwhile, the lowest income bracket (quintile 1), representing the bottom 20% of earners, had a retention rate of 69.1%, the second-highest among all brackets. INTERVIEW Choi Paul / Director of Economic and Social Statistics Research, Statistics Korea Incheon, Jeju, and Gyeonggi showed high mobility, while Sejong, Jeonbuk, and Ulsan showed lower mobility. Regions lik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Jeju, which are highly dynamic and heavily influenced by tourism, tend to show more significant income mobility changes. With income mobility becoming more challenging through labor income alone, and the highest and lowest income brackets showing the strongest retention rates, concerns are mounting about the deepening of income inequality. 소득계층 상승 '바늘 구멍'…양극화 고착 우려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이 상승한 도민은 10명 중 2명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근로와 사업소득을 바탕으로 처음 개발한 소득이동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제주에서 전년과 비교해 소득분위가 상승하거나 하락한 사람은 36.3% 조사됐습니다. 이 같은 소득분위 이동비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천 다음으로 높은 수치입니다. 소득분위 이동자 중 계층이 상승한 사람은 18.3% 하락한 사람은 18.1%였습니다. 나머지 63.7%는 전년과 같은 소득분위를 유지했습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연도별 소득분위 이동 비율을 보면 상승과 하락 이동 모두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했습니다. 상승 이동은 2018년 18.5%에서 2022년 18.3%로 0.2%포인트 내렸고 하락 이동은 같은 기간 20.3%에서 18.1%로 2.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다만 유지 비율은 2020년부터 증가하고 있는데 그만큼 사회 이동성이 줄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2022년 소득분위별 유지 비율을 보면 상위 20%에 속하는 고소득자인 5분위가 83.7%로 가장 높았습니다. 2021년 5분위였던 사람 10명 중 8명은 이듬해에도 5분위를 유지했다는 뜻입니다. 빈곤층인 하위 20%에 속하는 1분위의 소득분위 유지 비율은 69.1%로 5분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씽크 : 최바울 / 통계청 통계개발원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 인천·제주·경기가 높고 세종·전북·울산이 이동성이 낮았습니다. 아무래도 수도권 지역 그리고 관광업이 많이 있는 제주도 지역에서는 역동적인 소득분위의 변화가 많이 나타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근로소득만으로는 계층 상승이 어려워진데다가 5분위와 1분위의 소득 유지 비율이 다른 분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소득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2024.12.20(fri)  |  이현
  • Jeju Fills the Gap for Winter Needs
  • Jeju City will focus on identifying and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during the winter season using a Welfare Blind Spot Detection System until December 17. Target groups for assistance include people at risk of losing essential services including electricity, gas, and water, as well as individuals facing overdue payments. This includes people with disabilities, elderly living alone, and households with unstable housing conditions. Additionally, in preparation for winter cold spells and heavy snow, the city will provide winter supplies to 19 vulnerable households. The city will also conduct safety checks, including inspections of fire extinguisher installations. 제주시, 겨울철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제주시가 다음 달 17일까지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활용해 겨울철 취약계층을 집중 발굴해 지원합니다. 발굴 대상은 전기와 가스, 수도 등이 끊기거나 요금 체납 위기 요인이 있는 장애인과 독거노인, 주거취약가구 등입니다. 이와 함께 겨울철 한파와 폭설 등에 대비해 컨테이너와 비닐하우스 등에 거주하는 주거취약 19가구에는 겨울 용품 구입비용을 지원하고 소화기 설치상태 점검 등 안전 점검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 2024.12.19(thur)  |  이현
  • Didim-Seed Account for Kids Expanded
  • Starting next year, the eligibility for the Didim Seed Account, which helps low-income children build assets, will be expanded. According to Jeju City, the expansion will allow children from lower-income families, as well as those from single-parent households and near-poverty groups, to benefit, in addition to children under child protection and those from families with an income below 50% of the median. Those wishing to apply can visit their local community center or apply online through platforms like Bokjiro (복지로) or Gov.KR. The Didim Seed Account matches the amount saved by the child, guardian, or through sponsorship at a 1:2 ratio, with the government contributing up to 100,000 KRW per month. The account matures when the child turns 18. 내년부터 아동 디딤씨앗통장 가입 대상 확대 내년부터 저소득 아동의 자산 형성을 돕는 '디딤씨앗통장' 가입 대상이 확대됩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이번 가입대상 확대로 기존 보호아동과 중위소득 50% 이하에서 차상위계층과 한부모가정 아동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신규 가입을 희망하는 경우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복지로와 정부24 등 온라인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디딤씨앗통장은 아동이 후원을 받거나 본인 또는 보호자가 저축하면 정부가 적립 금액의 1대 2 비율로 월 10만원까지 매칭해 주게 되며 만기는 해당 아동이 18살이 되는 달 까지입니다.
  • 2024.12.19(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