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Reports 180 Food Complaints
  • Reports of counterfeit or substandard food products in Jeju City have seen a significant increase. According to Jeju City, 180 complaints were received this year through the Food Safety Reporting Center (No. 1399), marking a 15% increase compared to last year. Among the reported issues, foreign objects in food were the most common, with 64 cases, followed by concerns about sanitation and expired consumption dates. In response, Jeju City conducted on-site investigations and penalized 33 businesses that violated the Food Sanitation Act with administrative measures. 제주시, 부정불량식품 신고 180건…33곳 행정처분 제주시지역 부정.불량식품 신고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올해 부정불량식품통합신고센터 1399를 통해 접수된 신고 건수는 180건으로 지난해보다 15% 증가했습니다. 신고 유형별로는 이물발견이 64건으로 가장 많았고 위생관리, 소비기한 경과가 뒤를 이었습니다. 제주시는 신고 사항에 대해 현장 조사 등을 실시하고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33개 업소를 적발해 행정처분 했습니다.
  • 2024.12.19(thur)  |  이현
  • 37 Illegal Drones at Jeju Airport
  • Illegal drone flights around Jeju Airport have been detected about three times a month on average. According to Korea Airports Corporation’s Jeju Airport branch, a system to detect illegal drones has been in place since December of last year. When unauthorized drones are detected, police are immediately dispatched to the scene to apprehend the offenders. As a result, 37 incidents of illegal drone flights were detected in the past year, with administrative penalties such as fines imposed on 25 of these cases. If drones are flown without permission near the airport, violators can face fines of up to 4 million KRW and penalties of up to 5 million KRW. 제주공항 불법 드론비행 잇따라…1년새 37건 적발 제주공항 주변에서 한달에 3번 꼴로 불법드론 비행이 적발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불법드론을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미승인 불법드론을 탐지하면 경찰이 바로 현장에 출동해 검거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지난 1년간 37건이 적발돼 이 가운데 25건에 대해 과태료 부과 등의 행정처분이 이뤄졌습니다. 공항 인근에서 허가 없이 드론을 비행하다 적발되면 최대 400만원 과태료가 부과될 뿐 아니라 최대 500만원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2024.12.19(thur)  |  이현
  • Parking Exemption for Caregivers
  • It is expected that caregivers of disabled individuals will be included in the exemptions for the parking space certificate system.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explained that even though disabled individuals may have a driver’s license, it is common for them to use vehicles registered under a caregiver's name or jointly owned vehicles. However, they currently cannot receive an exemption for the parking space certificate. In response, the Commission recommended to Jeju Province that the system be revised to include vehicles registered under a caregiver's name or jointly owned vehicles in the exemptions, ensuring that the mobility rights of disabled individuals are effectively protected. Currently, in order for a disabled person to be exempted from the parking space certificate system, they must have a driver’s license and own a vehicle solely in their name. 국민권익위, 차고지증명제 장애인 예외 확대 권고 차고지증명제 예외 대상에 장애인 보호자가 포함될 전망입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장애인은 운전면허가 있어도 보호자 명의의 차량이나 공동명의 차량 이용이 흔하지만 차고지증명 예외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권익위는 장애인들의 이동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보호자 명의와 공동명의 차량도 차고지증명 예외 대상에 포함되도록 하는 내용의 제도개선을 제주도에 권고했습니다. 현재 장애인이 차고지증명 예외를 인정받으려면 장애인 본인이 운전면허를 소지하고 단독 명의의 차량을 소유해야 합니다.
  • 2024.12.19(thur)  |  이현
  • Safety Measures in Place for Mt. Halla
  • To ensure the safety of visitors aiming to watch the first sunrise of the new year at Halla Mountain, Jeju is focusing on accident prevention. The Jeju World Natural Heritage Center has established a safety management plan for allowing nighttime hiking to the summit of Halla Mountain. Accordingly, they plan to strengthen control lines at the sunrise viewing points and deploy safety personnel. Additionally, they will conduct inspections of trail facilities and prepare emergency supplies to prevent hypothermia, ensuring preparedness for potential safety accidents. 한라산 새해맞이 탐방객 안전관리 강화…안전요원 배치 내년 첫 해돋이를 한라산에서 맞으려는 탐방객들의 안전을 위해 제주도가 사고 예방에 집중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 정상 야간 산행 허용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에 따라 해돋이 전망대에 통제선을 강화하고 안전관리원을 배치할 계획입니다. 또 탐방로 시설물 점검과 저체온증 예방을 위한 응급구조용 안전용품을 준비하는 등 안전 사고에 대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4.12.19(thur)  |  이현
  • Archery Inspiring Jeju Youth
  • Archery Inspiring Jeju Youth Students standing in a line, repeatedly pull and release rubber bands. With serious expressions, they diligently practice under the watchful eye of their instructor before picking up a bow. After practicing with the bowstring, they begin using actual bows. [On-Site Recording] Straighten up, stretch your left arm, good. Keep it close to your cheek. A little closer, like this. Like national archery team members, the students shoot their arrows toward the target with confidence. INTERVIEW Lim Yebin / 4th Grade, Aewol Elementary School It’s my first time trying archery today, and it was fun doing it with my friends. The instructors taught us so well, and I really loved archery right away. The Hyundai Department Store archery team, who are currently training in Jeju, spent a day teaching archery to local students. Interacting with the children, the athletes fondly recalled their early archery experiences as they carefully explained the key points to remember when drawing the bowstring. INTERVIEW Lee Eun-kyung / Coach, Hyundai Department Store Archery Team Korean archery is the best in the world, but it’s not easy for kids in our country to experience it. So we find significant meaning in providing opportunities like this for children to try archery. Since last year, the Hyundai Department Store archery team has been promoting archery by visiting schools in Jeju and sharing their expertise. INTERVIEW Moon Mi-hee / Teacher, Aewol Elementary School We applied for this because it’s a great way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the kids. After actually experiencing it, it turned out to be even better than expected. Above all, participating students had a chance to witness the dedication and hard work of the archers firsthand, fostering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sport. 양궁의 매력…'온몸으로 느껴요' 일렬로 늘어선 학생들이 고무줄을 당겼다 놨다를 반복합니다. 활을 잡기 전 훈련으로 선생님의 지도에 사뭇 진지한 표정을 짓습니다. 활시위를 당기는 훈련이 끝나자 직접 활을 들어봅니다. [현장 싱크 ] 딱 펴고 왼팔 펴고 좋아 볼에 붙일게요. 더 이렇게 붙여야지. 마치 국가대표 양궁 선수라도 된 과녘을 향해 지체없이 활을 날립니다. [인터뷰 임예빈 / 애월초 4학년 ] 오늘 양궁 처음 해보는데 친구들과 하면서 재미있었고 선생님들이 더욱 잘 가르쳐 주셔서 너무 양궁이 첫번째로 좋았어요. 전지 훈련 중인 제주연고팀인 현대백화점 선수들이 제주 학생들을 위해 1일 양궁 교사로 나섰습니다. 활시위를 당길 때 주의 사항 등을 꼼꼼히 알려주며 선수들은 아이들과 함께 처음 활을 당겼던 그 시절로 돌아갔습니다. [인터뷰 이은경 / 현대백화점 양궁단 감독 ] 한국 양궁이 세계 최고인데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양궁을 체험하기가 쉽지 않거든요. 이렇게 양궁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는 거에도 저희는 큰 의미를 두고 있고요. 현대백화점 선수들은 지난해부터 양궁의 매력을 알리기 위해 제주학교를 찾아 재능기부에 나서고 있습니다. [인터뷰 문미희 / 애월초 교사 ] 아이들한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좋아서 신청을 했는데 진짜 체험을 해보니 더 좋더라고요. 무엇보다 참가한 어린 학생들은 선수들의 땀과 눈물의 의미를 몸소 체험하며 양궁과 좀 더 가까워지는 계기가 됐습니다.
  • 2024.12.19(thur)  |  이현
  • JNU to Move Sara Campus
  • Jeju National University is moving forward with plans to relocate its Sara Campus, which train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ts Ara Campus.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ently plans to construct a College of Education building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Ara Campus, with an investment of 42.3 billion KRW through the BTL (Build-Transfer-Lease) method. The relocation site being considered is an empty lot near the College of Engineering's Building 4 on the Ara Campus. Jeju National University plans to start the project with an informational session on the 17th, aiming to begin construction in 2026 and complete the move by the 2028 academic year. 제주대 사라캠퍼스, 아라캠퍼스 통합 이전 본격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제주대학교 사라캠퍼스의 아라캠퍼스 이전이 본격 추진됩니다. 교육부는 최근 BTL 방식으로 423억원을 투입하는 제주대학교 아라캠퍼스 내 교육대학 건립 기본계획을 고시했습니다. 이전 예정지로는 제주대 공과대학 4호관 인근 공터가 우선 검토되고 있습니다. 제주대는 17일 사업설명회를 시작으로 2026년 착공해 2028학년도부터 이전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 2024.12.16(mon)  |  이현
  • Jeju City Recruits Wildlife Trappers
  • Jeju City is recruiting 21 individuals for its wildlife capture team, which will focus on nuisance wildlife such as magpies and crows, from the 17th to the 19th of this month. Applicants must have lived in Jeju for at least a year, have a history of hunting and trapping, and no violations of related laws. Applications can only be submitted in person at Jeju City's Environmental Management Department. This year, Jeju's wildlife capture team has already captured approximately 3,700 nuisance animals. 제주시, 유해야생동물 대리포획단 모집 제주시가 17일부터 19일까지 까치와 까마귀 등 유해야생동물 대리포획단 21명을 모집합니다. 응모 자격은 제주시에 1년 이상 거주하며 수렵과 포획 실적이 있고 관련 법 위반 사실이 없는 수렵인입니다. 신청은 제주시 환경관리과로 본인 방문 접수만 가능합니다. 제주시 대리포획단은 올해 유해야상동물 3천700여 마리를 포획했습니다.
  • 2024.12.16(mon)  |  이현
  • Jeju Offers Free Bus Rides for Children
  • Starting next month, Jeju will expand eligibility for the Jeju Transportation Welfare Cards to children aged 6 to 12, allowing them to ride public buses for free. The new eligibility includes children born between 2012 and 2019, with those born in 2012 transitioning to a youth fare once they pass their birthday. This expansion will benefit 43,000 additional children, bringing the total number of eligible recipients across Jeju to 188,000. To ensure smooth card distribution, Jeju will implement a birth-year-based application schedule starting on the 23rd of this month. 다음달부터 6~12세 어린이 버스이용 '무료' 제주특별자치도가 다음달부터 일반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제주교통복지카드 발급대상을 6살에서 12살 어린이까지로 확대합니다. 추가 발급대상은 2012년부터 2019년생으로 2012년생의 경우 생일이 지나면 청소년 요금으로 전환됩니다. 이번 확대조치로 4만 3천명의 어린이가 새롭게 교통복지혜택을 받게 되며 제주 전체적으로 무료이용대상은 18만 8천명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제주도는 원활한 카드발급을 위해 오는 23일부터 출생연도별 신청요일제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 2024.12.16(mon)  |  이현
  • Jeju Adopts Time-Based Speed Limits
  • The Jeju Municipal Police Bureau is implementing time-based speed limit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region. This system will be applied to a 320-meter section of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 near Seongsan-eup (성산읍) Shinsan (신산) Elementary School. From 7 a.m. to 9 p.m., a speed limit of 30 km/h will be enforced during school hours, while the limit will be raised to 50 km/h from 9 p.m. to 7 a.m. when traffic is lighter. The Jeju Municipal Police Bureau plans to introduce this measure officially starting on the 20th of next month, after a month-long period of guidance and public awareness campaigns.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첫 도입 제주도 자치경찰단이 시간대에 따라 속도제한을 달리하는 시간제 속도제한을 도내 최초로 시행합니다. 이번 시간제 속도제한은 성산읍 신산초등학교 어린이보호구역 일부 320미터 구간에서 이뤄집니다. 통학 시간인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어린이보호구역에 일률 적용되는 시속 30km의 제한속도가 유지되며, 통행량이 적은 밤 9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시속 50km로 완화합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한달간 계도와 홍보기간을 거쳐 다음달 20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입니다.
  • 2024.12.16(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