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Vietnam Boost Tourism
  •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urism Association recently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the Long An Province Tourism Association. Under this agreement, the two organizations will focus on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nformation sharing, product development, and promotional activities, aiming to enhance bilateral tourism. In particular, they expressed challenges in expanding charter flights between Jeju and Ho Chi Minh City and agreed to discuss future measures to improve accessibility. 제주도관광협회, 베트남 롱안성과 관광 교류 '맞손'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가 최근 베트남 롱안성 관광협회와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두 기관은 상호 지속 가능한 관광 개발과 정보공유, 상품개발, 판촉 등 기업 간 교류 협력을 기반으로 상호 관광 활성화에 힘쓰게 됩니다. 특히 제주와 호치민 간 전세기 노선 확대에 대한 어려움에 공감하고 향후 접근성 확대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 2024.12.05(thur)  |  이현
  • Jeju Expands AI Textbook Pilots
  • Ahead of the introduction of AI-powered digital textbooks, the Jeju Education Office is expanding the number of pilot and research schools applying digital-based innovative teaching models. This year, 17 schools used educational software similar to AI digital textbooks, and starting next year, 21 schools will implement the initiative. Additionally, teacher training for the use of AI digital textbooks began on November 18. The education authorities plan to introduce AI digital textbooks in English, mathema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classes for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1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1st-year high school students starting in the new academic year. 도교육청, AI디지털교과서 도입 대비 선도학교 확대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앞서 디지털 기반의 수업 혁신 학습 모델을 적용하는 시범, 연구학교가 확대 운영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올해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와 유사한 교육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시범, 연구학교를 17군데 운영한데 이어 내년에는 21개교로 확대합니다. 이 밖에도 최근 공개된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사 연수를 지난 달 18일부터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교육당국은 내년 신학기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년을 대상으로 영어와 수학, 정보 교과에 처음으로 도입합니다.
  • 2024.12.05(thur)  |  이현
  • Jeju Grades Life Satisfaction as Average
  • Results of a survey revealed that Jeju residents are at an average level in regards to life satisfaction. Using last year's social survey data, the Jeju Women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analyzed the life satisfaction of Jeju residents, revealing an average score of 3.15 out of 5. By age group, residents in their 30s reported the highest satisfaction at 3.26, while those aged 60 and above had the lowest score of 3.04.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higher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s were linked to greater satisfaction. Among factors, the housing environment scored the highest at 3.54, followed by the living environment at 3.43. In contrast, transportation scored the lowest at 2.88, and income level was rated even lower at 2.81. 도민 삶의 만족도 '중간수준'…60대 이상 낮아 제주도민의 삶의 만족도는 중간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이 지난해 사회조사 원자료를 활용해 제주도민의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3.15점으로 나왔습니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3.26점으로 가장 높은 반면 60대 이상은 3.04점으로 가장 낮았고 가구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만족 요인 가운데 주거환경 3.54점, 생활환경 3.43점으로 높았고 반대로 교통수단 2.88점, 소득수준의 경우 2.81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 2024.12.05(thur)  |  이현
  • Budget Vote Delayed to the 10th
  • Due to disagreements between Jeju Province and Jeju Provincial Council over the new year's budget, and the added impact of President Yoon's martial law declaration, the final processing of the budget has been postponed to the 10th. The Provincial Council automatically adjourned the 2nd plenary session of the 433rd Regular Session, scheduled for December 4th. The new year’s budget and unresolved issues from the 433rd session will be addressed at the first plenary meeting of the 434th extraordinary session on the 10th. The provincial council plans to cut approximately 60 billion KRW from the budget and allocate more funds to local administrative areas, while Jeju Province opposes the large cuts. The province is also questioning the validity of some proposed increases. 비상계엄 여파, 새해 예산안 처리 10일로 연기 새해 예산안 처리를 놓고 제주도와 의회가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비상계엄 여파까지 겹치며 오늘 예정된 본회의 최종 처리가 오는 10일로 연기됐습니다. 제주도의회는 지난4일 예정이었던 제433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자동 폐회하고 오는 10일 열리는 제43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새해 예산안을 포함해 433회 미처리 안건을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도의회는 600억 안팎을 삭감해 읍면동 등의 예산에 증액하겠다는 입장이고, 제주도는 삭감 규모가 크다며 반대하며 일부 증액사업에 대해 타당성을 따져 부동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2024.12.05(thur)  |  이현
  • Jeju Council: Martial Law a Rebellion
  • In response to President Yoon Suk-yeol's (윤석열) declaration of martial law, the Jeju Provincial Council has stated that it is a clear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an act of rebellion. At a press conference, Chairman Lee Sang-bong(이상봉), alongside other Council members expressed that the actions of President Yoon and his associates remain acts of rebellion that cannot be excused or overlooked. They further stressed the people’s will for the President’s immediate resignation and urged a prompt investigation. Meanwhile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members failed to align their views in time and did not attend the press conference. 제주도의회, "계엄 선포는 명백한 내란 행위"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제주도의회가 명백한 국헌 문란이자 내란 행위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이상봉 의장을 비롯해 제주도의회 소속 의원들은 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계엄을 해제한다 해도 윤석열 대통령과 이에 가담한 인사들의 내란죄가 덮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즉각 대통령에서 물러나라는 것이 국민의 명령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사퇴와 내란죄에 대한 즉각적인 수사를 촉구했습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상봉 의장의 제안에도 불구하고 여당인 국민의힘 소속 도의원들은 의견 조율이 늦어져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 2024.12.05(thur)  |  이현
  • Vegetable Prices and Heating Costs Rise
  • Vegetable Prices and Heating Costs Rise Last month, consumer prices in Jeju increased by 1.2% compared to a year ago. This marks a 0.5 percentage point increase compared to October’s inflation rate. Up until July of this year, the inflation rate in Jeju hovered in the 2% range, but slowed to the 1% range in August. From September, it remained in the 0% range for two consecutive months before slightly rising again last month. Breaking down last month’s consumer price increase by category, agricultural, livestock, and fisheries products rose by 2.1%. Industrial goods also transitioned to an upward trend. Electricity, gas, water, and services continued to show a slight upward trajectory from the previous month. Although inflation appears to have stabilized, a sharp increase in vegetable prices continues to strain household budgets. Key kimchi-making ingredients, such as radishes, saw prices surge by more than 70%, and cucumber prices remained high. Other vegetables, including young radishes, pumpkins, broccoli, spinach, and tomatoes, also experienced notable price hikes. Meanwhile, cabbage,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golden cabbage” controversy, has seen its price growth slow to single digits as supply stabilized. Additionally, urban gas rates have risen by 5.5%, increasing heating costs, while insurance premiums have surged by 15%, further straining household finances. INTERVIEW Kim Ji-beom / Jeju Office, Statistics Korea Due to poor crop yields caused by last summer’s heatwave, vegetable prices remain high. Moreover, some industrial goods saw price increases due to exchange rate fluctuations, excluding oil products, along with the impact of ri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premiums. The government anticipates continued price stability in December, barring unforeseen external disruptions. However, the ongoing challenges of high prices will persist for ordinary households. 물가 1%대 '글쎄'…채소 급등·난방비 부담 지난달 제주지역 소비자물가는 1년 전과 비교해 1.2% 올랐습니다. 10월 상승폭과 비교하면 0.5%포인트 확대됐습니다. 올들어 지난 7월까지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를 유지하다 8월 1%대로 둔화됐습니다. 9월부턴 두 달 연속 0%대 상승률을 기록한 뒤 지난달 다시 오름폭이 다소 커졌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2.1% 오른 가운데 공업제품도 상승세로 전환됐습니다. 전기와 가스, 수도 그리고 서비스는 지난달에 이어 소폭의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비교적 안정세에 접어들었지만 채소류 가격이 급등해 장바구니 부담은 여전합니다. 우선 김장철 대표 채소인 무 가격이 70% 이상 껑충 뛰었고 오이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열무와 호박. 브로콜리, 시금치, 토마토 등도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금배추’ 논란까지 일었던 배추는 최근 수급이 안정되면서 한 자릿수 상승률로 내려앉았습니다. 여기에 겨울철 도시가스가 5.5% 오르며 난방비 부담을 키우는데다가 보험료까지 15% 오르면서 서민가계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지범 / 통계청 제주사무소 경제조사팀장> 지난여름 폭염으로 인한 작황 부진의 여파로 채소 가격이 여전히 높게 형성되고 있고 석유류를 제외한 환율 상승에 따른 일부 공업제품 가격 상승과 더불어 실손보험료의 인상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정부는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는 한 12월에도 물가 안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누적된 고물가로 인해 서민경제 어려움은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 2024.12.05(thur)  |  이현
  • Jeju Stone Park's Wish Tower
  • Jeju Stone Park is running a Wish Tower program to celebrate the year-end and New Year. The program invites visitors to write their wishes on paper and hang them on stone towers, which are the park's iconic symbols. The goal is to encourage visitors to share positive energy and support each other's hopes and dreams. The program is open to everyone and will run until early next year. After the program ends, the wishes will be collected and displayed at the "Jeju Dolchaengie (돌챙이) Festival" in April, where a ceremony will be held in hopes of fulfilling these wishes. 돌문화공원, 연말연시 소원탑 프로그램 운영 제주돌문화공원이 연말연시를 맞아 소망을 기원하는 소원탑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돌문화공원의 대표 상징물인 돌탑을 활용해 관람객들이 자신의 소망을 적은 소원지를 매달며 서로의 소망을 응원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내년 초까지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돌문화공원은 소원탑 프로그램이 끝난 후 소원지를 모두 모아 내년 4월 개최되는 '제주 돌챙이 축제'에서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염원하는 행사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 2024.12.02(mon)  |  이현
  • Jeju Seeks Senior Program Participants
  • Jeju City is recruiting participants for next year's senior jobs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grams until December 20. A total of 9,800 participants will be selected across four fields. Seniors wishing to participate should bring identification and visit their local community center to apply. Participants will be selected based on criteria such as income level and household composition, with high-scoring applicants given priority. Results will be individually notified starting from the end of the year through the application centers. 제주시, 노인일자리·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제주시가 다음 달 20일까지 내년 노인일자리와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모집 인원은 4개 분야, 9천800여 명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어르신은 신분증 등을 지참해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등에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참여자는 소득수준과 세대구성 등 선발기준에 따라 고득점자순으로 선정되며 결과는 연말부터 접수기관을 통해 순차적으로 개별 통보될 예정입니다.
  • 2024.12.02(mon)  |  이현
  • Jeju City Seeks Care Service Providers
  • Ahead of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Jeju ‘Dolbom’ (돌봄) Care Service next year, Jeju City is recruiting service providers through an open call, with applications accepted until December 10. The recruitment covers seven service types, including meal support, exercise guidance, disinfection, and sanitation, and installation of safety and convenience facilities. A total of 15 service providers will be selected. Interested organizations can apply in person at Jeju City Hall. Selected providers will be contracted for two years, starting from the agreement date. The Jeju Value Care Service is a local care policy that offers customized and integrated care services, available to all residents of Jeju. 제주시, 제주가치돌봄 서비스 제공기관 모집 내년 제주가치돌봄 서비스 전면 시행에 앞서 제주시가 다음 달 10일까지 서비스 제공기관을 공개 모집합니다. 모집 분야는 식사지원과 운동지도, 방역소독, 안전편의 시설 설치 등 7개 서비스 유형에 대해 15개소를 모집할 계획입니다. 참여 희망 기관은 제주시로 방문 접수하면 되고 선정된 기관은 협약일로부터 2년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제주가치돌봄사업은 도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제주형 돌봄 정책입니다.
  • 2024.12.02(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