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all for Improvement on Migrant Youth Policy
  • There are growing calls for expanding educational support and strengthening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in a more systematic way for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s in the Jeju region. According to a study by the Jeju Women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whi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30 children of multicultural or foreign families in Jeju, the youth tended to pursue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vocational colleges. Some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covering their living expenses, housing, and tuition fees.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access to youth policies was significantly low for these individuals, and there were numerous reports of discrimination both in and out of schools. In response, the Jeju Research Institute has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the revision of local ordinances, to ensure that migrant youths are included as beneficiaries in various policy initiatives. "제주 국제이주배경청년 정책 접근성 높여야" 제주지역 이주배경청년을 위한 교육 지원 확대와 취창업 역량 강화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이 제주지역 다문화가족 또는 외국인가족의 자녀세대 3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이들은 특성화고등학교와 전문대학에 더 많이 진학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부는 직접 생활비와 주거비, 등록금 등을 마련하는 사례도 확인됐습니다. 특히 청년정책에 대한 접근성이 현저히 낮았고 학교 안팎에서 차별경험 사례가 상당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연구원은 이에따라 이주배경청년을 각종 정책대상에 포함하기 위한 조례 개정 등의 정책과제를 제언했습니다.
  • 2024.11.27(wed)  |  이현
  • Small Business Owners on the Brink
  • Small Business Owners on the Brink Last month, the small business sentiment index in the province stood at 65.5, the lowest level in the country. When the index is below 100, this reflects a prevailing sentiment among small business owners that economic conditions have deteriorated. This year, the index has hovered between 40 and 60, well below the baseline. As a result, last year the rate of self-employed businesses shutting down in the province exceeded 10%. A meeting of the Jeju Small Business Owners' Association was convened on Monday afternoon. During a session organized by the province to gather feedback from small business owners, attendees voiced their heightened concerns over the state of the local economy.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extensive policy support, citing their struggle to keep up with the rapid pac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external pressures. Kang Dong-woo / Vice President, Jeju Small Business Owners’ Associatio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rends are constantly changing. Many closures happen because businesses cannot keep up with the trends.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stagnant domestic demand and increasing labor costs has made it challenging for businesses to afford their four main employee insurance premiums. Park Sung-cheol / Vice President, Jeju City Small Business Owners’ Association Cities like Suncheon and Busan fully cover 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I hope the province will also actively consider supporting 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among the four main forms of insurance. Small business owners also called for simplified procedures for subsidy applications, relaxed parking enforcement, and support for hiring disabled employees in businesses with fewer than five employees. Governor Oh Young-hun acknowledged the severity of the local economic situation and vowed to thoroughly review their requests. Oh Young-hun / Governor, Jeju Province To sustain the Jeju community and help you regain stability, it’s the responsibility of Jeju officials, including myself, to provide support. The province has announced plans to increase next year’s budget for economic revitalization by 10% to 140 billion won. The funds will focus on helping small businesses by boosting domestic demand and creating jobs. "보험료도 못 내" 벼랑 끝 몰린 소상공인 지난달 도내 소상공인들의 체감 경기지수는 65.5로 전국 최저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수치가 100 미만이면 경기가 나빠졌다고 느끼는 소상공인 더 많다는 의미인데 올해 내내 40에서 60선을 오가며 기준치를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난해 도내 자영업 페업률은 10%를 넘어섰습니다. 제주도가 마련한 소상공인 현장 간담회에서도 참석자들은 지역경제 위기감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특히 기술 변화와 외부 악재 등 급변하는 영업환경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며 세심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씽크 : 강동우 / 제주도 소상공인연합회 부회장> 영업 환경, 트렌드가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 사실 폐업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고, 트렌드를 쫓아가지 못해 폐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는 반면 인건비는 상승하면서 근로자의 4대 보험료를 내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호소했습니다. <씽크 : 박성철 / 제주시 소상공인연합회 부회장> 순천시와 부산시는 (고용보험료를) 100%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4대보험 중 고용보험료에 대해서도 제주도에서 지원을 적극 검토해주셨으면… 아울러 소상공인들은 복잡한 보조금 지원 신청 절차의 간소화, 주정차 단속 완화, 5인 미만 사업장 장애인 채용 지원 등을 요구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오영훈 지사는 지역경제 상황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요구 사항들을 꼼꼼하게 살피겠다고 밝혔습니다. <씽크 : 오영훈 / 제주도지사> 제주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서 또 여러분들이 스스로 일어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는 게 제주도청을 비롯한 공직자들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도는 내년 경제활력분야 예산안을 전년 대비 10% 증액된 1400억원으로 편성하고 소상공인 위기 극복과 내수 진작, 일자리 등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2024.11.27(wed)  |  이현
  • Crackdown on Automobile Exhaust Emission
  • Seogwipo City is intensifying vehicle emissions inspections and enforcement as part of its efforts to reduce fine dust levels. This year, the city conducted video surveillance checks on emissions, inspecting 3,900 vehicles, encouraging emissions checks for over 150 cars while providing free inspections for approximately 260 vehicles. Additionally, the city carried out inspections on over 100 vehicles in 27 designated areas where idling is restricted. Seogwipo is urging drivers to take responsibility for voluntary inspections and maintenance of their vehicles while continuing to offer free emissions checks and implement ongoing enforcement efforts. 서귀포시, 자동차 배출가스 점검·단속 강화 서귀포시가 미세먼지 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자동차 배출가스 점검과 단속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올해 배출가스 비디오 촬영 단속을 실시해 3천 900대를 점검하고 150여 대에 대한 배출가스 점검을 유도했으며, 260여대에 대한 무료 점검을 진행했습니다. 이와 함께 자동차 공회전 제한지역 27개소에 대해 100여대에 대한 단속을 실시했습니다. 서귀포시는 도로 운행차의 자발적인 점검과 정비를 당부하는 한편 배출가스 무료 점검과 지속적인 단속을 실시한다는 계획입니다.
  • 2024.11.25(mon)  |  이현
  • Jeju Council Wins SNS Award
  • Jeju Provincial Council has won the Grand Prize at the 10th Annual SNS Awards, organized by the Korea Association for Social Contents' Development. In this year's evaluation, the Jeju Provincial Council was recognized for effectively delivering essential policies and information through its YouTube channel and for producing content that listens to the voices of residents, thereby enhancing communication. Notably, this year, council members took on the role of "storytellers" by personally appearing on YouTube, drawing considerable attention. The official YouTube channel of the Jeju Provincial Council saw a significant increase in views, from around 36,000 in 2022, to 170,000 in 2023, and 240,000 this year. 제주도의회, 제10회 올해의 SNS 대상 수상 제주특별자치도의회가 사단법인 한국소셜콘텐츠진흥협회의 제10회 올해의 SNS에서 유튜브 부문 종합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번 평가에서 제주도의회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필요한 정책과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고 도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콘텐츠 제작으로 소통을 강화했다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특히 올해는 도의원이 '스토리텔러'로 직접 유튜브에 출연하며 관심을 모았습니다. 제주도의회의 공식 유튜브 조회수는 2022년 3만 6천여회에서 지난해 17만회, 올해는 24만 회로 증가했습니다.
  • 2024.11.25(mon)  |  이현
  • Jeju Exports Drop 15.7%
  • Jeju's exports fell last month, mainly due to a decline in semiconductor shipments, the region's top export.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the Province's total exports for the month was 15 million USD, a 15.7% drop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Semiconductor exports dropped sharply by 49% due to sluggish global demand, while seafood and agricultural product exports also fell by 16% and 37%, respectively. The sharp increase in aircraft parts exports helped mitigate some of the negative effects of the decline in semiconductor exports. 지난달 제주 수출 15.7% 감소…반도체 부진 제주지역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부진 여파로 지난달 수출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무역협회에 제주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수출액은 1천 5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5.7% 감소했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글로벌 수요 침체로 효자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49% 급감했고 수산물은 16%, 농산물은 37% 각각 줄었습니다. 다만 항공기 부품 수출이 급증하면서 반도체 수출 감소 여파를 일정 부분 메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11.25(mon)  |  이현
  • Jeju’s New Bus System Draws Attention
  • Jeju is moving forward with its high-end express bus project, and local governments from other regions have been visiting Jeju to learn from its efforts. According to the Province, local governments from cities such as Paju (파주), Changwon (창원), Seoul, and Daejeon (대전) ?many of which operate or are planning to introduce Bus Rapid Transit (BRT) systems?have recently visited Jeju. The visit included an observation of a model bus stop set up near the Tamna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Visitors have also experienced the newly introduced two-door buses, allowing them to directly test the safety features and convenience of upgraded transportation. Starting this month, Jeju plans to gradually deploy 171 low-floor, two-door buses on the Donggwang-ro (동광로) to Nohyeong-ro (노형로) route. 제주 섬식정류장·양문형 버스 벤치마킹 잇따라 제주도가 제주형 간설급행버스체계 고급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다른 지역 지자체의 방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최근 파주시와 창원시, 서울시, 대전시 등 BRT를 운영하거나 도입을 준비중인 주요 지방자치단체들이 제주를 방문해 탐라장애인복지관 인근에 설치된 체험용 정류장을 견학하고 있습니다. 또 좌측면 승강구가 추가로 설치된 양문형 버스 시승을 통해 안전 기능과 환승 편의성을 직접 체험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이달부터 동광로에서 노형로 구간에 양문형 저상버스 171대를 순차적으로 투입할 예정입니다.
  • 2024.11.25(mon)  |  이현
  • Respiratory Infections on the Rise
  • With the weather getting colder, respiratory infections are on the rise, prompting a call for caution. Jeju Province reported that earlier this month, the number of doctor visits for influenza virus infections was 6.9 per 1,000 outpatient visits, which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However, it remains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f 4. Additionally, whooping cough has been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particularl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7 to 19. The first death from whooping cough was reported in another region, and in Jeju, approximately 100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past month. The government is urging the public to follow preventive measures such as vaccinations and personal hygiene practices to combat respiratory infections. 날씨 추워지면서 호흡기 감염병 환자 증가 주의 최근 날씨가 추워지면서 호흡기 감염병 환자가 증가하면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달 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경우 외래환자 1천명당 의사환자가 6.9명으로 전주 보다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 4명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 백일해는 올들어 전국적으로 7살에서 19살까지의 소아 청소년을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고 다른지방에서 첫 사망자가 나왔으며 제주에서는 최근 한달간 100명 가량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제주도는 호흡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접종과 함께 개인 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4.11.25(mon)  |  이현
  • Additional 50 April 3rd Victims Acquitted
  • 50 individuals convicted for offenses regarding the April 3rd Incident have been acquitted in a retrial. The Jeju District Court's retrial for the 4.3 incident recently concluded that there was no evidence to support the charges against all 50 individuals. Since the first ruling in 2022, 2,085 of the 2,530 individuals listed in the military trial prisoner records for the Jeju 4.3 incident have had their honor restored. The number of victims acquitted in the general trials has increased to a total of 269. 4·3 군사·일반재판 수형인 50명 재심서 무죄 4.3 수형인 50명이 재심 재판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 받았습니다. 제주지방법원 4.3 재심 재판부는 최근 검찰 합동수행단이 청구한 군사재판과 일반재판 수형인 50명 전원에게 혐의를 입증할 증거가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로써 지난 2022년 첫 선고 이후 현재까지 군사재판 수형인 명부에 있는 2천 5백 30명 가운데 2천 85명의 명예가 회복됐습니다. 군사재판과 더불어 무죄 선고를 받은 일반 재판 수형인 희생자 269명으로 늘어났습니다.
  • 2024.11.25(mon)  |  이현
  • Free Bus Fares For All Youth?
  • Free Bus Fares For All Youth? Starting next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will be able to use buses for free. This change comes after the ordinance exempting elementary students from bus fares was revised in April. As the Jeju Provincial Council deliberates next year’s budget, discussions are in full swing to includ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ree bus fare policy. Jeju Provincial Council Education Committee member (강경문) Kang Kyung-moon argues that funds currently used to subsidize roundtrip transport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muting long distances could instead enable free bus fares for all youth. He stated that while youth account for 16% of total bus users, transitioning to free fares would require an annual budget in the 10 billion won range, which could be covered by the existing transportation subsidies. Recording Kang Kyung-moon / Jeju Provincial Council Member We calculated a maximum usage increase of 30%, which would cost about KRW 10 billion. Even then, we’d have KRW 500 million left over. The Jeju Education Office has shown a positive stance toward expanding youth fare exemptions. However, it emphasized the need for discussions with the province, which currently shoulders about half of the commuting subsidy costs. Kang Dong-sun /Representative, Jeju Education Office It's a good proposal, but what concerns us is how to successfully negotiate with the province. Meanwhile, the province has expressed that while a thorough budget analysis is needed, the proposal c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efforts to promote public transportation. This raises hopes that free bus rides for youth could become a reality. 내년부터 모든 청소년 버스요금 무료? 내년부터 제주지역 초등학생들은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 4월 초등학생의 버스 요금을 면제하는 내용을 담은 조례가 개정됐기 때문입니다. 제주도의회의 내년도 예산안 심사가 한창인 가운데 대중교통 요금 면제 대상에 중,고등학생까지 포함하자는 논의가 활발합니다.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 강경문 의원은 현재 일정 거리 이상을 통학하는 중고등학생에게 지급하는 왕복 교통비를 활용하면 모든 청소년들의 무료 버스 이용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강 의원은 청소년 버스 이용률은 전체 이용자의 16%로 무료로 전환하더라도 연간 100억원 대 예산이 필요한데 현재 지급되는 교통비로 감당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녹취 강경문 / 제주도의원 ] 많은 청소년들이 이용을 해서 30% 증가율 최대치를 잡아봤는데 그게 100억 원이 들어갔습니다. 그래도 5억 원이 남아요. 청소년 버스 요금 면제 확대 제안에 제주교육당국도 긍정적인 입장입니다. 다만 현재 통학비의 절반 가량을 부담하는 제주특별자치도와의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 강동선 / 제주도교육청 안전국장 ] 좋은 제안이라고 했는데 다만 걱정되는 건 제주도와의 협의를 어떻게 이끌어낼 건가에 대한 고민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한편 버스 요금 면제 대상 확대 제안에 대해 제주도는 면밀한 예산 분석이 필요하지만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청소년들의 버스 무료 이용이 현실화될 지 주목됩니다.
  • 2024.11.25(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